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목공 / 목구멍 / 목기 / 목도하다 / 목도리

굿윌러 2022. 9. 5. 21:50

목공(carpenter)

나무를 다루어 물건을 만드는 일, 혹은 그 일을 하는 사람. 히브리어 원어는 대장장이나 석수 또는 목수와 같이 손으로 연장을 써서 무엇인가를 만드는 기술자에 대하여 폭넓게 쓰고 있는데, 개역성경에서는 목공으로 번역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나무로 된 물건을 제작하는 기술자를 의미한다. 느부갓네살 왕 때 바벨론에 잡혀간 유대인 포로들 중 하나로 기술자를 가리키며(왕하24:8-16;렘24:1;29:2), 이사야서에서 우상을 만드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되었다(사41:7;44:13-15). <비교> 목수

목구멍(throat)

입속 맨 안 쪽의 기도와 식도로 통하는 곳을 가리킨다. 목구멍은 흔히 죄와 관련되어 비유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시편에서는 열린 무덤과 같이 속에썩은 것들이 가득함을 의미하는 말로서, 악인의 악한음모나 윤리적 타락을 나타낼 때 사용되었다(시5:9). 신약에서 바울은 구원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헬라인이나 유대인이나 다 죄 아래 있음을 말할 때 말로짓는 죄를 묘사하는 방편으로 사용하였다(롬3:13). 또한 우상은 목구멍이 있어도 소리내지 못한다는 표현으로 우상의 무능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다(시 115:7).

목기(vessel of wood)

나무로 만든 그릇. 성경에서는 정결법의 규례에서 언급되었는데 목기에 부정한 짐승의 주검이 떨어져 목기가 부정하게 되면 물에 담그어 저녁까지 두어 정결케 해야 하였다. 여기에는 이스라엘 백성이 거룩히 구별되며 정화되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레11:32;15:12).

목도하다(behold)

'몸소 직접 보다'의 뜻으로, 목격과 같은 의미를 지닌 말로서, 구약에서 여러 차례 언급되었다. 여호와의 행하신 일을 직접 보고 깨닫는 것을 표현할 때 사용했으며(신3:21;수24:7), 어떤 큰 일을 시도하기 위해 지도자가 백성들을 설득할 때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히스기야가 종교 개혁을 시도하기 위해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을 모아 하나님이 행하신 일을 상기시켜 주는 장면(대하29:8;30:7)에서, 그리고 느헤미야가 성벽 중건의 절실함을 설득하기 위해 방백들에게 호소하는 장면에서 나타난다(느2:17). 시편에서 악인들의 멸망과 의인들의 승리를 간구하는 노래에서도 나타난다(시54:7;59:10).

목도리(wimple)

목에 두르는 천이나 뜨개것, 털가죽 따위를 일컫는 말이다. 성경에서는 주로 부인들이 어떤 직물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고 그와 같은 천으로 머리와 얼굴, 목과 같은 신체상부를 싸는 데 사용되었던 복장의 한 종류로 나타나는데, 목도리보다는 외투나 장옷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할 듯하다. 이사야서에서 언급된 이 단어는 예루살렘 여자들(부인들)의 사치와 교만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사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