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아그노에이테 아델포이 기노스쿠신 가르 노몬 랄로 호티 호 노모스 퀴리유에이 투 안드로푸 에프 호손 크로논 제
개역개정,1 형제들아 내가 법 아는 자들에게 말하노니 너희는 그 법이 사람이 살 동안만 그를 주관하는 줄 알지 못하느냐
새번역,1 ㉠형제자매 여러분, 나는 율법을 아는 사람들에게 말을 합니다. 율법은, 사람이 살아 있는 동안에만 그 사람을 지배한다는 것을 알지 못합니까? / ㉠그, '형제들'
우리말성경,1 형제들이여, 내가 율법을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 말합니다. 여러분은 율법이 사람이 살아 있는 동안에만 그 사람을 지배한다는 것을 알지 못합니까?
가톨릭성경,1 형제 여러분, 여러분이 율법을 아는 사람들이기에 말합니다. 율법은 사람이 살아 있는 동안에만 그 위에 군림한다는 사실을 모릅니까?
영어NIV,1 Do you not know, brothers--for I am speaking to men who know the law--that the law has authority over a man only as long as he lives?
영어NASB,1 Or do you not know, brethren (for I am speaking to those who know the law), that the law has jurisdiction over a person as long as he lives?
영어MSG,1 You shouldn't have any trouble understanding this, friends, for you know all the ins and outs of the law--how it works and how its power touches only the living.
영어NRSV,1 Do you not know, brothers and sisters--for I am speaking to those who know the law--that the law is binding on a person only during that person's lifetime?
헬라어신약Stephanos,1 η αγνοειτε αδελφοι γινωσκουσιν γαρ νομον λαλω οτι ο νομος κυριευει του ανθρωπου εφ οσον χρονον ζη
라틴어Vulgate,1 an ignoratis fratres scientibus enim legem loquor quia lex in homine dominatur quanto tempore vivit
히브리어Modern,1 או הלא ידעתם אחי ולידעי התורה אנכי מדבר כי התורה תשלט על האדם כל ימי חייו׃
성 경: [롬7:1]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내가 법 아는 자들에게 말하노니 - 이 표현은 바울이 법을 아는 자들과 법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구분하기 위해 제한적인 의미로 사용한 것이 아니다(Murray). 바울은 오히려 모든 사람이 법을 알고 있다는 전제하에 이 표현을 사용했다.
율법이 사람의 살 동안만 그를 주관하는 줄 알지 못하느냐 - 혹자는 '율법'을 예수께서 "너희 유전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폐하는도다"(마 15:6)라고 말씀하셨던 변질된 유대인의 율법으로 이해했다(Hendriksen). 그러나 이 해석은 본절과 내용상 별로 상관이 없으며 '율법'이라는 용어에 너무 집착한 해석이다. 또 어떤 사람은 '율법'이 구약에 기록된 '율법' 중 특히 '모세 율법'을 가리킨다고 주장하고 있다(Murray). 사실 바울은 '율법'을 '모세 율법'의 의미로 사용했다(3:19;5:13;고전 9:8, 9;14:21;갈 3:10, 19). 본절에서 '율법'에 해당하는 헬라어 '호 노모스'(*)는 상반절의 '법'과는 달리 관사 '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모스'(*)는 신약성경에서 관사를 가지고 있으면 구약 '율법'의 의미로 번역될 수 있다. 그러나 본절에서 3절까지를 반드시 모세의 율법과 관련된 결혼 규례로 볼 수 없다. 이 결혼 규례는 어느 나라에서나 통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것이다. 사람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이와 같은 법의 강제성(强制性)하에 있게 된다는 사실이 본 구절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이다. 한편 '살 동안만'이라는 표현은 '사람의 전생애 동안'을 의미하는 것이지, '율법에 종 노릇하는 동안의 삶'(갈 4:8, 9)으로 (origen, Ambrose, Erasmus) 한정될 근거가 거의 없다.
헤 가르 휘판드로스 귀네 토 존티 안드리 데데타이 노모 에안 데 아포다네 호 아네르 카테르게타이 아포 투 노무 투 안드로스
개역개정,2 남편 있는 여인이 그 남편 생전에는 법으로 그에게 매인 바 되나 만일 그 남편이 죽으면 남편의 법에서 벗어나느니라
새번역,2 결혼한 여자는, 그 남편이 살아 있는 동안에는 법으로 남편에게 매여 있으나, 남편이 죽으면 남편의 법에서 풀려납니다.
우리말성경,2 결혼한 여자가 그 남편이 살아 있는 동안에는 법으로 남편에게 매여 있으나 그 남편이 죽으면 남편의 법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가톨릭성경,2 혼인한 여자는 남편이 살아 있는 동안에만 율법으로 그에게 매여 있습니다. 그러나 남편이 죽으면 남편과 관련된 율법에서 풀려납니다.
영어NIV,2 For example, by law a married woman is bound to her husband as long as he is alive, but if her husband dies, she is released from the law of marriage.
영어NASB,2 For the married woman is bound by law to her husband while he is living; but if her husband dies, she is released from the law concerning the husband.
영어MSG,2 For instance, a wife is legally tied to her husband while he lives, but if he dies, she's free.
영어NRSV,2 Thus a married woman is bound by the law to her husband as long as he lives; but if her husband dies, she is discharged from the law concerning the husband.
헬라어신약Stephanos,2 η γαρ υπανδρος γυνη τω ζωντι ανδρι δεδεται νομω εαν δε αποθανη ο ανηρ κατηργηται απο του νομου του ανδρος
라틴어Vulgate,2 nam quae sub viro est mulier vivente viro alligata est legi si autem mortuus fuerit vir soluta est a lege viri
히브리어Modern,2 כי אשה בעלת בעל קשורה היא באישה כפי התורה בחייו ובמות הבעל פטורה היא מתורת בעלה׃
성 경: [롬7:2]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남편 생전에는 법으로 그에게 매인 바되나 - 고전 7:39에서 바울은 본절과 동일한 내용의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고전 7:39에서는 '법으로'란 말이 생략되어 있다. 본절에서 이 말이 첨가되어 있는 것은 1절에서 3절까지의 비유가 율법 아래 있던 사람이 율법에서 어떻게 해방되느냐 하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법으로'라는 말이 강조적으로 첨가되어 있다.
그 남편이 죽으면 남편의 법에서 벗어났느니라 - 여인이 남편에게서 해방될 수 있는 길은 두 가지이다. (1) 본절의 진술과 같이 남편이 죽으면 그 여인은 남편에게서 해방된다. (2) 여인 자신이 죽게 되면 역시 남편에게서 해방된다. 4절 이하의 설명에 따르면 '율법'은 '남편'에 비유되고 있다. 그런데 '율법'은 죽을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1-3절의 비유를 문자적으로 적용시킬 필요는 없다. 다만 굳이 그렇게 하고자 한다면 여인 자신이 죽음으로써 남편에게서 해방되는 것으로 본문을 고쳐야만 한다. 이렇게 되면 여인에 비유될 수 있는 신자는 그의 옛 사람이 그리스도와 함께 죽음으로써 율법에서 해방되었다는 6:3, 4, 6의 진술과 합치(合致)될 수 있다.
아라 운 존토스 투 안드로스 모이칼리스 크레마티세이 에안 게네타이 안드리 헤테로 에안 데 아포다네 호 아네르 엘류데라 에스틴 아포 투 노무 투 메 에이나이 아우텐 모이칼리다 게노메넨 안드리 헤테로
개역개정,3 그러므로 만일 그 남편 생전에 다른 남자에게 가면 음녀라 그러나 만일 남편이 죽으면 그 법에서 자유롭게 되나니 다른 남자에게 갈지라도 음녀가 되지 아니하느니라
새번역,3 그러므로 남편이 살아 있는 동안에 그 여자가 다른 남자에게로 가면, 그 여자는 간음한 여자라는 말을 듣게 됩니다. 그러나 남편이 죽으면 그 법에서 해방되는 것이므로, 다른 남자에게로 갈지라도 간음한 여자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말성경,3 그러므로 남편이 아직 살아 있을 때 여자가 다른 남자에게 간다면 간음한 여자라 불릴 것입니다. 그러나 만일 남편이 죽으면 그 법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다른 남자에게 가더라도 간음한 여자가 되지 않습니다.
가톨릭성경,3 그러므로 남편이 살아 있는 동안에 다른 남자에게 몸을 맡기면 간통한 여자라고 불리지만, 남편이 죽으면 그 율법에서 자유로워져, 다른 남자에게 몸을 맡겨도 간통한 여자가 되지 않습니다.
영어NIV,3 So then, if she marries another man while her husband is still alive, she is called an adulteress. But if her husband dies, she is released from that law and is not an adulteress, even though she marries another man.
영어NASB,3 So then if, while her husband is living, she is joined to another man, she shall be called an adulteress; but if her husband dies, she is free from the law, so that she is not an adulteress, though she is joined to another man.
영어MSG,3 If she lives with another man while her husband is living, she's obviously an adulteress. But if he dies, she is quite free to marry another man in good conscience, with no one's disapproval.
영어NRSV,3 Accordingly, she will be called an adulteress if she lives with another man while her husband is alive. But if her husband dies, she is free from that law, and if she marries another man, she is not an adulteress.
헬라어신약Stephanos,3 αρα ουν ζωντος του ανδρος μοιχαλις χρηματισει εαν γενηται ανδρι ετερω εαν δε αποθανη ο ανηρ ελευθερα εστιν απο του νομου του μη ειναι αυτην μοιχαλιδα γενομενην ανδρι ετερω
라틴어Vulgate,3 igitur vivente viro vocabitur adultera si fuerit cum alio viro si autem mortuus fuerit vir eius liberata est a lege ut non sit adultera si fuerit cum alio viro
히브리어Modern,3 והנה אם תחיה לאיש אחר בחיי בעלה נאפת יקרא לה אבל אחרי מות בעלה פטורה היא מן התורה ואיננה נאפת בהיותה לאיש אחר׃
성 경: [롬7:3]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본절에서 바울은 (1) 결혼 관계에 있는 여인이 그 관계를 지속시키지 못했을 때 '음부'가 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율법에 의한 정죄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율법은 그 아래 있는 자들에게 조금도 자유를 주지 않으면서 그것을 범하는 자에게는 어김없이 정죄하게 된다. (2) 남편의 법에서 해방된 여인의 자유에 대해서 진술하고 있다. 본래 성도는 죄의 종이요 율법 아래 있던 자였으나, 그것에서 해방될 수 있는 길은 그것에 대하여 죽는 것뿐이다(4절).
호스테 아델포이 무 카이 휘메이스 에다나토데테 토 노모 디아 투 소마토스 투 크리스투 에이스 토 게네스다이 휘마스 헤테로 토 에크 네크론 에게르덴티 히나 카르포포레소멘 토 데오
개역개정,4 그러므로 내 형제들아 너희도 그리스도의 몸으로 말미암아 율법에 대하여 죽임을 당하였으니 이는 다른 이 곧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이에게 가서 우리가 하나님을 위하여 열매를 맺게 하려 함이라
새번역,4 나의 ㉡형제자매 여러분, 그러므로 여러분도 그리스도의 몸으로 말미암아, 율법에 대해서는 죽임을 당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다른 분, 곧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살아나신 그분에게 속하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하나님을 위하여 열매를 맺게 하기 위함입니다. / ㉡그, '형제들'
우리말성경,4 그러므로 내 형제들이여, 여러분도 그리스도의 몸으로 인해 율법에 대해 죽은 자가 됐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다른 분, 곧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분에게 속해 하나님을 위해 열매를 맺게 하려는 것입니다.
가톨릭성경,4 나의 형제 여러분, 여러분도 이와 같이 그리스도의 몸 덕분에 율법과 관련해서는 죽음으로써, 다른 분 곧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나신 분의 차지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하느님을 위한 열매를 맺게 되었습니다.
영어NIV,4 So, my brothers, you also died to the law through the body of Christ, that you might belong to another, to him who was raised from the dead, in order that we might bear fruit to God.
영어NASB,4 Therefore, my brethren, you also were made to die to the Law through the body of Christ, that you might be joined to another, to Him who was raised from the dead, that we might bear fruit for God.
영어MSG,4 So, my friends, this is something like what has taken place with you. When Christ died he took that entire rule-dominated way of life down with him and left it in the tomb, leaving you free to "marry" a resurrection life and bear "offspring" of faith for God.
영어NRSV,4 In the same way, my friends, you have died to the law through the body of Christ, so that you may belong to another, to him who has been raised from the dead in order that we may bear fruit for God.
헬라어신약Stephanos,4 ωστε αδελφοι μου και υμεις εθανατωθητε τω νομω δια του σωματος του χριστου εις το γενεσθαι υμας ετερω τω εκ νεκρων εγερθεντι ινα καρποφορησωμεν τω θεω
라틴어Vulgate,4 itaque fratres mei et vos mortificati estis legi per corpus Christi ut sitis alterius qui ex mortuis resurrexit ut fructificaremus Deo
히브리어Modern,4 לכן אחי הומתם גם אתם לתורה בגוית המשיח להיותכם לאחר לאשר נעור מן המתים למען נעשה פרי לאלהים׃
성 경: [롬7:4]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너희도 그리스도의 몸으로 말미암아 율법에 대하여 죽임을 당하였으니 - 바울은 율법이 죽을 수 없다는 이유 때문에 사람이 죽어야 그 사람이 율법에서 자유함을 얻을 수 있음을 가르치고 있다. 그런데 율법에서 자유함을 얻기 위해 죽는 것은 바로 옛사람인 바, 이 옛 사람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음을 맛보게 되었다. 바울은 우리의 옛사람이 그리스도와 함께 죽은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그리스도의 몸으로 말미암아'라는 말을 덧붙이고 있다.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이에게 가서 - 율법에 대하여 죽음으로써 사람은 율법에서 벗어났다. 위의 비유에서는 율법(남편)이 죽는 것으로 묘사되었으나 율법은 죽을 수 없기에 여인이 죽어야 한다(2절 주석 참조). 이 여인도 직접 죽을 수 없고 결국 대신 죽은 자에게 붙어 있게 됨으로써 그 죽음이 인정받게 된다. 그 후에 여인된 성도는 율법으로부터 자유하게 되었으므로 다시 사신자와 연합하게 된다. 여기서 '살아나신 이에게 가서'란 표현은 무엇보다도 결혼 관계의 성립을 보여주고 있다. 결혼 관계에 들어가는 것은 또한 두 몸이 한 몸으로 연합됨을 가리킨다. 이처럼 바울은 6장에서는 성도와 그리스도와의 연합(聯合)에 대해 추상적으로 설명했으나(6:3-6). 본장에서는 결혼 관계를 비유하여 보다 구체화 시키고 있다.
우리로 하나님을 위하여 열매를 맺히게 하려 함이니라 - 성도가 그리스도와 연합함으로써 맺히게 될 열매에 대한 견해는 학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혹자는 결혼의 비유의 연속으로 보고 결실로서 '자손을 생산하는 것'과 연관짓고 있다(Fritzsche, Reiche). 그러나 이처럼 '열매'를 결혼으로 인한 자손으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 열매는 '거룩함에 이르는 열매'(6:22)를 연상시킨다. 그래서 하나님을 위해 맺는 열매는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거룩과 의라고 할 수 있다(Calvin). 즉 성도가 그리스도와 연합함으로써 '의'를 얻고 '거룩'하게 되는 것 자체가 하나님께 대하여 열매를 맺는 것이며 이것이야말로 6장과 본장에서 말하는 '열매'의 본질이다. '열매'에 대해서는 6:22의 주석을 참조 비교하라.
호테 가르 에멘 엔 테 사르키 타 파데마타 톤 하마르티온 타 디아 투 노무 에네르게이토 엔 토이스 멜레신 헤몬 에이스 토 카르포포레사이 토 다나토
개역개정,5 우리가 육신에 있을 때에는 율법으로 말미암는 죄의 정욕이 우리 지체 중에 역사하여 우리로 사망을 위하여 열매를 맺게 하였더니
새번역,5 이전에 우리가 육신을 따라 살 때에는, 율법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죄의 욕정이 우리 몸의 지체 안에서 작용해서, 죽음에 이르는 열매를 맺었습니다.
우리말성경,5 우리가 육신에 있을 때는 율법으로 인한 죄의 정욕이 우리 지체 속에서 작용해 죽음에 이르는 열매를 맺게 했습니다.
가톨릭성경,5 사실 전에 우리가 육에 갇혀 있을 때에는, 율법으로 말미암아 생겨난 죄 많은 여러 욕정이 우리 지체 안에서 작용하여 죽음에 이르는 열매를 맺게 하였습니다.
영어NIV,5 For when we were controlled by the sinful nature, the sinful passions aroused by the law were at work in our bodies, so that we bore fruit for death.
영어NASB,5 For while we were in the flesh, the sinful passions, which were aroused by the Law, were at work in the members of our body to bear fruit for death.
영어MSG,5 For as long as we lived that old way of life, doing whatever we felt we could get away with, sin was calling most of the shots as the old law code hemmed us in. And this made us all the more rebellious. In the end, all we had to show for it was miscarriages and stillbirths.
영어NRSV,5 While we were living in the flesh, our sinful passions, aroused by the law, were at work in our members to bear fruit for death.
헬라어신약Stephanos,5 οτε γαρ ημεν εν τη σαρκι τα παθηματα των αμαρτιων τα δια του νομου ενηργειτο εν τοις μελεσιν ημων εις το καρποφορησαι τω θανατω
라틴어Vulgate,5 cum enim essemus in carne passiones peccatorum quae per legem erant operabantur in membris nostris ut fructificarent morti
히브리어Modern,5 כי בעת היותנו בבשר תשוקות החטא אשר התעוררו על ידי התורה היו פעלות באברינו לעשות פרי למות׃
성 경: [롬7:5]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우리가 육신에 있을 때에는 - 바울은 항상 '육신'(*, 사릍스)을 '영' (*, 프뉴마)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사용하여 죄와 대항하기에 무기력한 인성과 그에 근거하는 삶의 방식을 나타낸다(8:3-9). '육신' 그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이 '육신'을 통해서 죄가 왕 노릇하기 때문에 '육신'은 '죽을 몸'(6:12)이다. 이런 이유로 바울은 '그리스도를 알기 이전의 인간'에 대해서 '육신'이라고 했으며, 또한 그리스도를 알지만 율법에 종 노릇하며 죄에 거하는 자들에게도 이 말을 적용했다(고전 3:1, 3). 그리스도를 믿는 성도들은 신분상으로 육신에 속한 자가 아니라 영에 속한 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신에 속한 자 같이 행동하는 것은 그일을 행하는 사람 자신 뿐 아니라 그를 불러 의인되게 하신 하나님을 욕되게 하는 것이다(2:24). 어쨋든 본절에서 육신은 그리스도를 알기 이전의 상태 즉, 그리스도와 무관(無關)한 삶을 살던 때의 신분을 가리킨다.
죄의 정욕이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타 파데마타 톤 하마르티온'(*)은 죄악의 성격을 갖는 정욕을 의미하는데, 혹자는 '색욕, 분노, 증오, 악한 뜻, 투기, 시기, 터무니없는 두려움'등으로 해석한다(Hendriksen). 그러나 본절에서는 좀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어서, '죄로 나아가고자 하는 욕구'(Meyer, Gifford, Murray)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바울은 7절과 8절에서 '죄의 정욕' 중 '탐심'을 대표적인 것으로 언급한다. 한편 바울은 '죄의 정욕'이 타락한 인간의 본성 자체에서 일어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율법'으로 말미암는다고 진술하고 있다(7, 8절 주석 참조).
우리 지체 중에 역사하여 - 여기서 '지체'는 '육신'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죄가 지체를 통해서 실제화되기 때문에 '역사하다'란 말과 어울리는 '지체'란 용어를 사용했다. 즉 사람의 '지체'는 죄에 붙잡혀 사용되면 '불의의 병기'이며 하나님께 붙잡혀 사용되면 '의의 병기'로 역사하게 된다(6:13).
우리로 사망을 위하여 열매를 맺게 하였더니 - 이 말은 6:13에서와 같이 사람의 지체가 '불의의 병기'로 사용된 것을 가리킨다. 이것은 하나님을 위하여 열매맺는 것( 4절)과 반대로 죄와 연합하여 죄의 종노릇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상태에 빠진 사람은 사망 가운데 있으며 하나님과 단절된 상태로 있다. 이러한 상태가 그의 열매이며, 최종적으로는 영원한 사망의 열매로 이어진다.
뉘니 데 카테르게데멘 아포 투 노무 아포다논테스 엔 호 카테이코메다 호스테 둘류에인 헤마스 엔 카이노테티 프뉴마토스 카이 우 팔라이오테티 그람마토스
개역개정,6 이제는 우리가 얽매였던 것에 대하여 죽었으므로 율법에서 벗어났으니 이러므로 우리가 영의 새로운 것으로 섬길 것이요 율법 조문의 묵은 것으로 아니할지니라
새번역,6 그러나 지금은, 우리를 옭아맸던 것에 대하여 죽어서, 율법에서 풀려났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문자에 얽매인 낡은 정신으로 하나님을 섬기지 않고, 성령이 주시는 새 정신으로 하나님을 섬깁니다.
우리말성경,6 그러나 이제는 우리가 우리를 옭아매던 것에 대해 죽었으므로 율법에서 벗어났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령의 새로운 것으로 섬기고 문자에 의한 해묵은 것으로 섬기지 않습니다.
가톨릭성경,6 그러나 우리가 이제는, 우리를 사로잡고 있던 율법과 관련해서는 죽음으로써 그것에서 벗어났습니다. 그리하여 법전이라는 옛 방식이 아니라 성령이라는 새 방식으로 하느님을 섬기게 되었습니다.
영어NIV,6 But now, by dying to what once bound us, we have been released from the law so that we serve in the new way of the Spirit, and not in the old way of the written code.
영어NASB,6 But now we have been released from the Law, having died to that by which we were bound, so that we serve in newness of the Spirit and not in oldness of the letter.
영어MSG,6 But now that we're no longer shackled to that domineering mate of sin, and out from under all those oppressive regulations and fine print, we're free to live a new life in the freedom of God.
영어NRSV,6 But now we are discharged from the law, dead to that which held us captive, so that we are slaves not under the old written code but in the new life of the Spirit.
헬라어신약Stephanos,6 νυνι δε κατηργηθημεν απο του νομου αποθανοντες εν ω κατειχομεθα ωστε δουλευειν ημας εν καινοτητι πνευματος και ου παλαιοτητι γραμματος
라틴어Vulgate,6 nunc autem soluti sumus a lege morientes in quo detinebamur ita ut serviamus in novitate spiritus et non in vetustate litterae
히브리어Modern,6 אבל עתה נפטרנו מן התורה כי מתנו לאשר היינו אסורים בו למען נעבד מעתה לפי התחדשות הרוח ולא לפי ישן הכתב׃
성 경: [롬7:6]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이제는 우리가 얽매였던 것에 대하여 죽었으므로 율법에서 벗어났으니 - 여기서 두 문장은 같은 의미를 지닌다. 즉 '얽매였던 것에 대하여 죽었다'는 진술은 율법에서 벗어난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Murray). '우리가 얽매였던 것에 대하여'에 해당하는 헬라어 '엔 호 카테이코메다'(*) 가운데 관계 대명사 '호'(*)는 '율법'(*, 투 노무)을 선행사로 갖는 것이 분명하다. 비록 관계대명사 '호'(*)는 여격이고, '투 노무'(*)는 소유격이어서 어울리지 않는 것 같지만 이는 '호'(*)의 전치사 '엔'(*, '...안에')이 여격을, '투 노무'(*, '율법')의 전치사 '아포'(*, '...로부터')가 소유격을 수반하므로 차이가 날 뿐이다. 그러므로 '얽매였던 것'은 '율법'을 설명해 주는 말이다. 율법은 사람을 얽매는 것이고, 여기에서 벗어나는 것은 죽는 방법 외에 다른 길이 없다. 사람의 정욕과 율법이 조화를 이루면 이처럼 과격한 방법이 아니고서는 율법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그래서 그리스도께서 대표(代表)로 죽으신 것이다.
영의 새로운 것으로 섬길 것이요 - 바울은 '영'이란 용어를 매우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영'을 '성령'으로 해석하지만(Hendriksen, Murray, Stott, Harrison) 그 한 단어로 '영'이란 용어가 지닌 의미를 완전히 드러낼 수 없다. 바울이 '영'(*, 프뉴마)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용례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8장에서 '영'은 '육신'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이것은 '영'이 죄에 대해서 전혀 배타적임을 가리킴과 동시에 율법에서 벗어났음을 보여준다. (2) '영'은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갖게 된 '새생명'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이때에는 '영'이 '성령'과 동일시될 수 있다(8:14). (3) 본절에서와 같이 '영'은 '의문'(儀文)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즉 '의문'이 옛 시대의 지배 원리였던 것과는 반대로 '영'은 새시대의 지배 원리이다. 물론 새시대의 지배 원리는 '성령'에 의해 주도되는 것이지만 새시대의 지배 원리 자체와 성령은 동일시될 수 없다. 새시대의 지배 원리에 속한 것으로는 '영'과 '복음'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성령과 사람의 영이 8장에서 구분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고전 6:17에서는 '주와 합하는 자는 한 영이니라'고 언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실들로 볼 때 바울이 '영'이란 용어를 사용할 때에, 어떤 곳에서는 새 생명을 주고 구원에 이르게 하는 새시대의 지배 원리에 대해 적용하기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절은 '성령의 새롭게 하시는 것'(Murray)으로 해석하기 보다는 '새시대의 지배 원리를 따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 운 에루멘 호 노모스 하마르티아 메 게노이토 알라 텐 하마르티안 우크 에그논 에이 메 디아 노무 텐 테 가르 에피뒤미안 우크 에데인 에이 메 호 노모스 엘레겐 우크 에피뒤메세이스
개역개정,7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을 하리요 율법이 죄냐 그럴 수 없느니라 율법으로 말미암지 않고는 내가 죄를 알지 못하였으니 곧 율법이 탐내지 말라 하지 아니하였더라면 내가 탐심을 알지 못하였으리라
새번역,7 그러면 우리가 무엇이라고 말을 하겠습니까? 율법이 죄입니까? 그럴 수 없습니다. 그러나 율법에 비추어 보지 않았다면, ㉢나는 죄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율법에 ㉣"탐 내지 말아라" 하지 않았다면, ㉢나는 탐심이 무엇인지를 알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 ㉢여기서부터 7장 전체에 반복해서 나타나는 '나'는, 바울이 자기 자신을 지칭하는 대명사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율법 아래 있는 인간 일반을 대표해서 지칭하는 수사학적 대명사로 사용된 것임 ㉣출 20:7; 신 5:21
우리말성경,7 그러면 우리가 무슨 말을 하겠습니까? 율법이 죄입니까? 결코 그럴 수 없습니다. 율법에 비춰 보지 않았다면 나는 죄를 알지 못했을 것입니다. 율법이 “탐내지 말라”고 하지 않았다면 나는 탐심을 알지 못했을 것입니다. 출20:17;신5:21
가톨릭성경,7 그렇다면 우리가 무엇이라고 말해야 합니까? 율법이 죄입니까?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그러나 율법이 없었다면 나는 죄를 몰랐을 것입니다. 율법에서 “탐내서는 안 된다.” 고 하지 않았으면 나는 탐욕을 알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영어NIV,7 What shall we say, then? Is the law sin? Certainly not! Indeed I would not have known what sin was except through the law. For I would not have known what coveting really was if the law had not said, "Do not covet."
영어NASB,7 What shall we say then? Is the Law sin? May it never be! On the contrary, I would not have come to know sin except through the Law; for I would not have known about coveting if the Law had not said, "YOU SHALL NOT COVET."
영어MSG,7 But I can hear you say, "If the law code was as bad as all that, it's no better than sin itself." That's certainly not true. The law code had a perfectly legitimate function. Without its clear guidelines for right and wrong, moral behavior would be mostly guesswork. Apart from the succinct, surgical command, "You shall not covet," I could have dressed covetousness up to look like a virtue and ruined my life with it.
영어NRSV,7 What then should we say? That the law is sin? By no means! Yet, if it had not been for the law, I would not have known sin. I would not have known what it is to covet if the law had not said, "You shall not covet."
헬라어신약Stephanos,7 τι ουν ερουμεν ο νομος αμαρτια μη γενοιτο αλλα την αμαρτιαν ουκ εγνων ει μη δια νομου την τε γαρ επιθυμιαν ουκ ηδειν ει μη ο νομος ελεγεν ουκ επιθυμησεις
라틴어Vulgate,7 quid ergo dicemus lex peccatum est absit sed peccatum non cognovi nisi per legem nam concupiscentiam nesciebam nisi lex diceret non concupisces
히브리어Modern,7 אם כן מה נאמר הכי התורה חטא היא חלילה אלא לא ידעתי את החטא בלתי על ידי התורה כי לא הייתי יודע החמוד לולי אמרה התורה לא תחמד׃
성 경: [롬7:7]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율법과 죄]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하리요 - 이 표현은 '그런즉 어찌하리요'(6:15)라는 말과 마찬가지로 앞에서 설명한 바에 대해서 부연 설명을 하든지 아니면 앞의 내용과 연결시키면서 또 다른 주제로 전환하기 위한 바울의 상투적인 문장 전개 방법이다(3:1;4:1, 10;6:1;8:31;9:14, 30;10:8).
율법이 죄냐 - 바울이 지금까지 율법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취했으므로 그의 글을 읽는 사람들은 율법이 죄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생각하게 될 수도 있고,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율법을 주신 사실에 대해 의아하게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울이 지금까지 율법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취한 것은 율법으로 구원에 이를 수 없으며 사람이 육신의 지배를 받을 때는 율법이 도리어 죄를 깨닫게 하고, 죄의 정욕에 사로잡히게 한다는 사실을 지적하기 위한 것이다.
율법으로 말미암지 않고는 내가 죄를 알지 못하였으니 - 이 말은 '율법이 없는 곳에는 범함도 없느니라'(4:15)는 표현과 일맥 상통한다. 죄는 율법 때문에 생성되는 것도 아니며 율법안에 있는 것도 아니다. 바로 우리 안에 있다(Calvin). 다만 율법은 그 죄를 죄로 규정하면서 하나님의 의를 나타낸다. '율법으로 말미암지'란 말은 율법이 죄를 깨닫게 해주는 데에 꼭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율법에 가까이 서 있는 사람은 자신이 죄인임을 더욱 확실하게 깨닫게 된다.
율법이 탐내지 말라 하지 아니하였더면 - 바울은 율법 중 탐심(貪心)을 경계하는 구절을 대표적으로 언급한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1) 탐심은 인간의 심성 속에 은밀하게 자리잡고 있으며 실제적인 범법 행위가 아니기 때문에 사람들이 죄로 깨닫지 못한다. 그러나 율법은 인간의 심성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악한 동기도 죄라고 가르쳐 줌으로써 죄를 깨닫게 하여 하나님의 의를 드러낸다. 인간 사회에서는 '탐심'으로는 죄가 성립되는게 아니지만, 하나님 앞에서는 모든 악한 동기조차 죄로 규정된다(마 5:27, 28;6:1-4, 18). (2) 아담과 하와의 타락이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요일 2:16)으로 표현될 수 있듯이 타락한 인간의 죄는 탐욕에서 출발한다. 이것은 또한 우상 숭배와 같다(골 3:5). 바울이 '탐욕'을 우상 숭배와 같이 취급한 이유는 둘다 '헛된 것'을 추구하면서 하나님과 원수가 되기 때문이다.
아포르멘 데 라부사 에 하마르티아 디아 테스 엔톨레스 카테이르가사토 엔 에모이 파산 에피뒤미안 코리스 가르 노무 하마르티아 네크라
개역개정,8 그러나 죄가 기회를 타서 계명으로 말미암아 내 속에서 온갖 탐심을 이루었나니 이는 율법이 없으면 죄가 죽은 것임이라
새번역,8 그러나 죄는 이 계명을 통하여 틈을 타서, 내 속에서 온갖 탐욕을 일으켰습니다. 율법이 없으면 죄는 죽은 것입니다.
우리말성경,8 그러나 죄가 계명으로 인해 기회를 타서 내 안에 각종 탐심을 일으켰습니다. 율법이 없으면 죄는 죽은 것입니다.
가톨릭성경,8 이 계명을 빌미로 죄가 내 안에 온갖 탐욕을 일으켜 놓았습니다. 사실 율법과 상관이 없을 경우 죄는 죽은 것입니다.
영어NIV,8 But sin, seizing the opportunity afforded by the commandment, produced in me every kind of covetous desire. For apart from law, sin is dead.
영어NASB,8 But sin, taking opportunity through the commandment, produced in me coveting of every kind; for apart from the Law sin is dead.
영어MSG,8 Don't you remember how it was? I do, perfectly well. The law code started out as an excellent piece of work. What happened, though, was that sin found a way to pervert the command into a temptation, making a piece of "forbidden fruit" out of it. The law code, instead of being used to guide me, was used to seduce me. Without all the paraphernalia of the law code, sin looked pretty dull and lifeless,
영어NRSV,8 But sin, seizing an opportunity in the commandment, produced in me all kinds of covetousness. Apart from the law sin lies dead.
헬라어신약Stephanos,8 αφορμην δε λαβουσα η αμαρτια δια της εντολης κατειργασατο εν εμοι πασαν επιθυμιαν χωρις γαρ νομου αμαρτια νεκρα
라틴어Vulgate,8 occasione autem accepta peccatum per mandatum operatum est in me omnem concupiscentiam sine lege enim peccatum mortuum erat
히브리어Modern,8 וימצא החטא סבה לו במצוה לעורר בקרבי כל חמוד כי מבלעדי התורה החטא מת הוא׃
성 경: [롬7:8]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율법과 죄]
죄가 기회를 타서 - 본문은 '죄'(*, 하마르티아)가 주체로서, 인격성(人格性)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기회를'(*, 아포르멘) 엿보다가 '취한다'(*, 라부사)는 의미이다. 이처럼 죄가 인격성을 가지고 능동적인 활동을 한다는 표현은 죄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그 유래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해리슨(Harrison)의 말대로 본절 배후에 유혹과 타락에 관한 창세기 기사가 깔려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죄'가 인격성을 가진 주체로 표현되는 것은 사단의 교활한 특성을 반영하고자 한 것이다. 틈만 보이면 달려드는 맹수 같은 성격을 가진 죄의 모습을 보여준다.
계명으로 말미암아 내 속에서 각양 탐심을 이루었나니 - 이 말을 달리 표현하자면, '탐심이 속에서 잠재해 있다가 계명으로 인해서 드러난다'라는 의미이다. 이 표현은 이미 7절 하반절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의미이기도 하다. 인간의 마음이 백지와 같음을 전제하고 죄가 계명을 통해 탐심을 유발시킨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미 인간 내부에 있는 탐심이 죄의 요구를 따라 계명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온갖 탐심을 이룬다는 말이다. 이처럼 끝없이 유발되는 죄로 인하여 인간은 도무지 살길을 찾을 수 없게 된다.
법이 없으면 죄가 죽은 것임이니라 - 본 구절은 '율법이 없는 곳에는 범함도 없느니라'(4:15)는 말씀과 의미상 같다. 왜냐하면 '죄가 죽었다'(*, 네크라)는 것은 죄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죄에 대한 인식이 법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뜻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Calvin). 아무튼 본장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죄 자체는 항상 활동하고 있으나 인간 편에서 법이 없을 때는 그 죄를 죄로 여기지 못하고 있었는데 율법의 죄를 밝히 드러나게 함으로써 인간은 자신이 죄인임을 깨닫게 된다는 사실이 본장에서 강조되고 있다.
에고 데 에존 코리스 노무 포테 엘두세스 데 테스 엔톨레스 헤 하마르티아 아네제센
개역개정,9 전에 율법을 깨닫지 못했을 때에는 내가 살았더니 계명이 이르매 죄는 살아나고 나는 죽었도다
새번역,9 전에는 율법이 없어서 내가 살아 있었는데, 계명이 들어오니까 죄는 살아나고,
우리말성경,9 전에 율법이 없었을 때는 내가 살아 있었지만 계명이 들어오자 죄는 살아나고
가톨릭성경,9 전에는 내가 율법과 상관없이 살았습니다. 그러나 계명이 들어오자 죄는 살아나고
영어NIV,9 Once I was alive apart from law; but when the commandment came, sin sprang to life and I died.
영어NASB,9 And I was once alive apart from the Law; but when the commandment came, sin became alive, and I died;
영어MSG,9 and I went along without paying much attention to it. But once sin got its hands on the law code and decked itself out in all that finery, I was fooled, and fell for it.
영어NRSV,9 I was once alive apart from the law, but when the commandment came, sin revived
헬라어신약Stephanos,9 εγω δε εζων χωρις νομου ποτε ελθουσης δε της εντολης η αμαρτια ανεζησεν εγω δε απεθανον
라틴어Vulgate,9 ego autem vivebam sine lege aliquando sed cum venisset mandatum peccatum revixit
히브리어Modern,9 ואני חייתי מלפנים בלא תורה וכאשר באה המצוה ויחי החטא׃
성 경: [롬7:9]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율법과 죄]
전에 법을 깨닫지 못할 때에는 - 그리스도를 알기 이전이라도 바울은 율법을 잘 알고 있었다. 바울은 율법의 각 조문에 대해 익히 잘 알고 있었으며 그것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는 누구 못지않게 자신이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 할지라도 그는 '하나님의 의를 모르고 자기 의를 세우려고 힘써 하나님의 의를 복종치 아니한'(10:3)사람이었다. 이런 의미에서 그리스도를 알기 이전의 바울은 율법에 대한 지식은 있었으나 깨달음이 없었던 것이다.
계명이 이르매 죄는 살아나고 나는 죽었도다 - '계명이 이르매'란 표현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계명을 깨닫게 되매'라는 말로 의역이 가능하다. 그리고 '살아나고'에 해당하는 헬라어 '아네제센'(*)은 '아나자오'(*)의 부정과거 동사로 본래 '다시 살아나다', '희생하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본절에서는 단순히 '활동하게 되다'라는 의미이다(Hendriksen). 죄가 본래부터 있었으나 사람이 계명에 대해 깨닫기 시작하면 죄가 자기 속에서 활동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이 깨달음이 커지면 커질수록 죄의 요구도 함께 커지므로, 죄에 대한 자신감보다는 죄를 이겨내지 못하는 자신의 무능력을 깨닫게 된다.
에고 데 아페다논 카이 휴레데 모이 헤 엔톨레 헤 에이스 조엔 하우테 에이스 다나톤
개역개정,10 생명에 이르게 할 그 계명이 내게 대하여 도리어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 되었도다
새번역,10 나는 죽었습니다. 그래서 나를 생명으로 인도해야 할 그 계명이, 도리어 나를 죽음으로 인도한다는 것이 드러났습니다.
우리말성경,10 나는 죽었습니다. 생명에 이르게 할 그 계명이 나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이 됐습니다.
가톨릭성경,10 나는 죽었습니다. 그래서 생명으로 이끌어야 하는 계명이 나에게는 죽음으로 이끄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영어NIV,10 I found that the very commandment that was intended to bring life actually brought death.
영어NASB,10 and this commandment, which was to result in life, proved to result in death for me;
영어MSG,10 The very command that was supposed to guide me into life was cleverly used to trip me up, throwing me headlong.
영어NRSV,10 and I died, and the very commandment that promised life proved to be death to me.
헬라어신약Stephanos,10 και ευρεθη μοι η εντολη η εις ζωην αυτη εις θανατον
라틴어Vulgate,10 ego autem mortuus sum et inventum est mihi mandatum quod erat ad vitam hoc esse ad mortem
히브리어Modern,10 ואני מתי והמצוה אשר נתנה לחיים היא נמצאה לי למות׃
성 경: [롬7:10]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율법과 죄]
생명에 이르게 할 그 계명이 - 이스라엘 백성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계명은 '생명과 복의 근원'이었다(신 5:31-33). 그렇기 때문에 이스라엘 백성은 그 계명을 지킴으로써 생명을 얻게 되어 있었다(겔 20:11). 이처럼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율법을 주신 목적은 범죄할 기회를 주자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의의 길에서 인간의 생명을 지도하고 규정하여 생명을 보존하자는데 있다(Murray). 그리고 율법의 정신을 바로 깨달은 시 119편의 저자는 '내가 모든 재물을 즐거워함같이 주의 증거의 도를 즐거워하였나이다'(시 119:14)고 고백했다. 따라서 바울이 지금까지 부정적으로 언급해온 율법은 그 진정한 정신이 망각된 형식적인 유대인의 율법이기도 하며 또한 사람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함으로써 그 기능을 다하는 의미에서의 그 율법이다(갈 3:23-25).
내게 대하여 도리어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 되었도다 - 인간은 어느 누구도 모든 계명을 다 지킬 수 없으므로, 그 계명에 따라 사형 선고를 받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여기에는 바울 자신도 예외가 아니다. 바울은 엄격한 율법 교육을 받았으나, 그것은 그에게 생명에 대한 희망보다 오히려 비참한 절망감과 정죄(定罪)만 주었다. 이러한 체험은 종교 개혁자 루터(Luther)도 마찬가지였다. 그가 믿음에 대한 눈을 뜨기 전에는 형식적인 교리와 규정들이 그를 짓누르며 생명에 대한 소망이 전혀 없는 사망의 상태가 그를 괴롭힐 뿐이었다. 본절의 '되었도다'에 해당하는 헬라어 '휴레데'(*)는 '발견하다'는 뜻의 동사 '휴리스코'(*)의 단순 과거 수동태 형으로서 문자적으로 '발견되었다'는 의미이다. 바울은 그리스도를 믿고 거듭난 이후에 비로소 율법과 계명이 자신을 정죄하며 그 자체 안에서는 죽음밖에 없음을 확연히 깨닫게 되었다.
헤 가르 하마르티아 아포르멘 라부사 디아 테스 엔톨레스 엨세파테센 메 카이 디 아우테스 아펰테이넨
개역개정,11 죄가 기회를 타서 계명으로 말미암아 나를 속이고 그것으로 나를 죽였는지라
새번역,11 죄가 그 계명을 통하여 틈을 타서 나를 속이고, 또 그 계명으로 나를 죽였습니다.
우리말성경,11 죄가 계명으로 인해 기회를 타서 나를 속이고 그 계명으로 나를 죽였습니다.
가톨릭성경,11 죄가 계명을 빌미로 나를 속이고 또 그것으로 나를 죽인 것입니다.
영어NIV,11 For sin, seizing the opportunity afforded by the commandment, deceived me, and through the commandment put me to death.
영어NASB,11 for sin, taking opportunity through the commandment, deceived me, and through it killed me.
영어MSG,11 So sin was plenty alive, and I was stone dead.
영어NRSV,11 For sin, seizing an opportunity in the commandment, deceived me and through it killed me.
헬라어신약Stephanos,11 η γαρ αμαρτια αφορμην λαβουσα δια της εντολης εξηπατησεν με και δι αυτης απεκτεινεν
라틴어Vulgate,11 nam peccatum occasione accepta per mandatum seduxit me et per illud occidit
히브리어Modern,11 כי מצא החטא סבה במצוה להתעות אתי ויהרגני על ידה׃
성 경: [롬7:11]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율법과 죄]
표현 방법상 본절은 8절과 같지만 내용면에서는 서로 다르다. 8절은 죄를 드러나게 하는 계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본절은 계명을 통해서 죄가 사람에게 철저한 좌절감을 맛보게 한다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나를 속이고 - 복음으로 말미암아 죄에 대하여 죽었다고 선포했던 바울은 이제 계명을 지킬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으나 이전과 같이 자신이 죄를 짓고 있음을 깨달았다. 죄에 대하여 죽었으므로 마땅히 계명을 지킬 수 있어야 함에도 현실은 그렇지 못하기에, 바울은 죄가 계명을 통해서 자기에게 속임수를 쓰는 것으로 이해했던 것이다. 이 속임수는 죄가 계명을 통해서 바울로 하여금 죄의식을 갖게 함으로써 '네가 그래도 죄에 대해서 죽었다고 자랑할 수 있느냐 ?'고 정죄하는 것을 가리킨다. 바울은 이와 같은 속임당함에 의한 심한 좌절과 고민 가운데 있게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속이고'에 해당하는 헬라어 '여세파테센'(*)이 '여사파타오'(*)의 단순 과거 능동태 형으로서 '완전히 길을 잃게 만들었다'(mislead)는 점에서 분명하다.
나를 죽였는지라 - 이 표현은 9절 하반절의 '나는 죽었도다'란 고백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Murray). 혹자는 바울이 죄로 인한 '사망의 의식'을 갖게 된 것은 그리스도를 만나기 이전 율법을 추종하던 때의 일이라고 주장한다(Hendriksen).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다음에 계속 이어지는 구절들에 의해 결코 지지를 받을 수 없다. 왜냐하면 다음에 이어지는 구절들은 그리스도를 믿는 자에게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갈등에 대한 묘사이기 때문이다.
호스테 호 멘 노모스 하기오스 카이 헤 엔톨레 하기아 카이 디카이아 카이 아가데
개역개정,12 이로 보건대 율법은 거룩하고 계명도 거룩하고 의로우며 선하도다
새번역,12 그러므로 율법은 거룩하며, 계명도 거룩하고 의롭고 선한 것입니다.
우리말성경,12 그러므로 율법도 거룩하고 계명도 거룩하고 의롭고 선합니다.
가톨릭성경,12 그러나 율법은 거룩합니다. 계명도 거룩하고 의롭고 선한 것입니다.
영어NIV,12 So then, the law is holy, and the commandment is holy, righteous and good.
영어NASB,12 So then, the Law is holy, and the commandment is holy and righteous and good.
영어MSG,12 But the law code itself is God's good and common sense, each command sane and holy counsel.
영어NRSV,12 So the law is holy, and the commandment is holy and just and good.
헬라어신약Stephanos,12 ωστε ο μεν νομος αγιος και η εντολη αγια και δικαια και αγαθη
라틴어Vulgate,12 itaque lex quidem sancta et mandatum sanctum et iustum et bonum
히브리어Modern,12 ובכן התורה היא קדושה והמצוה קדושה וישרה וטובה׃
성 경: [롬7:12]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율법과 죄]
이로 보건대 - 계명 자체가 사람에게서 죄를 유발(誘發)시키는 것이 아니라 죄가 계명을 도구로 하여 사람을 속이고 정죄하는 이 모든 사실을 종합적으로 생각해 본다는 의미에서 바울은 본절의 접속사(*, 호스테)를 사용하게 된 것이다.
율법도 거룩하며...의로우며 선하도다 - 이 선언은 직접적으로 7절의 '율법이 죄냐 ?'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지만, 문자적으로는 율법과 계명이 지닌 속성을 표현해 주고 있다. 율법에는 하나님의 의가 투영(投影)되어 있으므로 그 자체는 거룩하고 의로우며 선할 수밖에 없다.
토 운 아가돈 에모이 에게네토 다나토스 메 게노이토 알라 헤 하마르티아 히나 파네 하마르티아 디아 투 아가두 모이 카테르가조메네 다나톤 히나 게네타이 칻 휘페르볼렌 하마르톨로스 헤 하마르티아 디아 테스 엔톨레스
개역개정,13 그런즉 선한 것이 내게 사망이 되었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오직 죄가 죄로 드러나기 위하여 선한 그것으로 말미암아 나를 죽게 만들었으니 이는 계명으로 말미암아 죄로 심히 죄 되게 하려 함이라
새번역,13 그러니 그 선한 것이 나에게 죽음을 안겨 주었다는 말입니까? 그럴 수 없습니다. 그러나 죄를 죄로 드러나게 하려고, 죄가 그 선한 것을 방편으로 하여 나에게 죽음을 일으켰습니다. 그것은 계명을 방편으로 하여 죄를 극도로 죄답게 되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말성경,13 그러면 선한 것이 내게 죽음을 가져다 주었다는 말입니까? 결코 그럴 수 없습니다. 오히려 죄가 죄로 드러나도록 하기 위해 그 선한 것으로 내게 죽음을 가져왔습니다. 이는 계명으로 인해 죄가 더욱 죄가 되게 하려는 것입니다.
가톨릭성경,13 그렇다면 그 선한 것이 나에게는 죽음이 되었다는 말입니까?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죄가 그 선한 것을 통하여 나에게 죽음을 가져왔습니다. 죄가 죄로 드러나게, 죄가 계명을 통하여 철저히 죄가 되게 하려는 것입니다.
영어NIV,13 Did that which is good, then, become death to me? By no means! But in order that sin might be recognized as sin, it produced death in me through what was good, so that through the commandment sin might become utterly sinful.
영어NASB,13 Therefore did that which is good become a cause of death for me? May it never be! Rather it was sin, in order that it might be shown to be sin by effecting my death through that which is good, that through the commandment sin might become utterly sinful.
영어MSG,13 I can already hear your next question: "Does that mean I can't even trust what is good [that is, the law]? Is good just as dangerous as evil?" No again! Sin simply did what sin is so famous for doing: using the good as a cover to tempt me to do what would finally destroy me. By hiding within God's good commandment, sin did far more mischief than it could ever have accomplished on its own.
영어NRSV,13 Did what is good, then, bring death to me? By no means! It was sin, working death in me through what is good, in order that sin might be shown to be sin, and through the commandment might become sinful beyond measure.
헬라어신약Stephanos,13 το ουν αγαθον εμοι γεγονεν θανατος μη γενοιτο αλλα η αμαρτια ινα φανη αμαρτια δια του αγαθου μοι κατεργαζομενη θανατον ινα γενηται καθ υπερβολην αμαρτωλος η αμαρτια δια της εντολης
라틴어Vulgate,13 quod ergo bonum est mihi factum est mors absit sed peccatum ut appareat peccatum per bonum mihi operatum est mortem ut fiat supra modum peccans peccatum per mandatum
히브리어Modern,13 הכי הטובה היתה לי למות חלילה אלא החטא למען יראה כי חטא הוא הביא לי על ידי הטובה את המות למען אשר יהיה החטא לחטאה יתרה על ידי המצוה׃
성 경: [롬7:13]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본절에서 바울은 계명이 선하다는 사실을 변증하면서, 그 선한 계명과 죄 그리고 성도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요약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계명은 성도들 가운데 있는 죄를 죄로 드러나게 한다. 이때 성도는 심한 죄의식을 느끼게 되며 선을 행하여 거룩하게 되고자 했던 소망이 좌절되어 심한 절망감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계명은 성도로 하여금 스스로 의롭게 되며 선한 삶을 살겠다는 결심을 허무하게 만든다. 이러한 현상은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된 성도가 그 신분에 걸맞는 삶을 살아보려고 하는 데서 비롯된다. 그러나 계명이 성도의 삶을 좌절시킨다 하더라도 계명 그 자체는 악한 것이 아니다. 바울은 이와 관련하여 계명이 성도를 허무와 좌절에 빠지게 한다면 폐기(廢棄)되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율법 폐기론 내지는 율법 무용론을 염두에 두고 이에 대하여 '결코 그럴 수 없느니라'(*, 메 게노이토)고 분명히 잘라 말하고 있다.
오이다멘 가르 호티 호 노모스 프뉴마티코스 에스틴 에고 데 사르키노스 에이미 페프라메노스 휘포 텐 하마르티안
개역개정,14 우리가 율법은 신령한 줄 알거니와 나는 육신에 속하여 죄 아래에 팔렸도다
새번역,14 우리는 율법이 신령한 것인 줄 압니다. 그러나 나는 육정에 매인 존재로서, 죄 아래에 팔린 몸입니다.
우리말성경,14 우리는 율법이 신령한 줄 압니다. 그러나 나는 죄 아래 팔려 육신에 속해 있습니다.
가톨릭성경,14 우리가 알고 있듯이 율법은 영적인 것입니다. 그러나 나는 육적인 존재, 죄의 종으로 팔린 몸입니다.
영어NIV,14 We know that the law is spiritual; but I am unspiritual, sold as a slave to sin.
영어NASB,14 For we know that the Law is spiritual; but I am of flesh, sold into bondage to sin.
영어MSG,14 I can anticipate the response that is coming: "I know that all God's commands are spiritual, but I'm not. Isn't this also your experience?" Yes. I'm full of myself--after all, I've spent a long time in sin's prison.
영어NRSV,14 For we know that the law is spiritual; but I am of the flesh, sold into slavery under sin.
헬라어신약Stephanos,14 οιδαμεν γαρ οτι ο νομος πνευματικος εστιν εγω δε σαρκικος ειμι πεπραμενος υπο την αμαρτιαν
라틴어Vulgate,14 scimus enim quod lex spiritalis est ego autem carnalis sum venundatus sub peccato
히브리어Modern,14 כי ידעים אנחנו שהתורה היא רוחנית ואני של בשר ונמכר תחת יד החטא׃
성 경: [롬7:14]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우리가 율법은 신령한 줄 알거니와 - 율법이 신령하다는 것은 율법의 기원이 하나님께로서 시작되었음을 가리킨다(Black). 실제로 '신령한'(*, 프뉴마티코스)이란 형용사는 신약성경에서 세상적이고 육적인(*, 사르키노스) 것과 대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전 2:13, 15;3:1;10:3, 4;12:1;15:44;엡 5:19;골 1:9;벧전 2:5). 그러나 율법이 비록 신적인 기원을 가진 신령한 것이지만, 그것이 지닌 약점(弱點)은 아무것도 온전케 만들 수 없다는 점이다(히 7:19).
나는 육신에 속하여 죄 아래 팔렸도다 - 율법이 신령한 것이었던 점과 반대로 바울은 자신이 육신에 속한(*, 사르키노스) 자라고 고백한다. '육신에 속한 자'란 죄에 대해 저항력이 없는 자를 가리킨다. 바울이 6장에서 이미 자기가 그리스도와 함께 죄에 대하여 죽었다고 선포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를 육신에 속한 자라고 고백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성도가 그리스도와 함께 죄에 대하여 죽은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율법과 관련해서 볼 때, 성도는 항상 육신에 속한 자이며 죄인일 뿐이다. 그리스도를 믿고 중생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신령한 율법을 지킬 수 없다는 의미에서 성도는 육신에 속한자요 죄 아래 팔린 자와 같은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 대해서 혹자는 이것이 정상적인 그리스도인의 생활이 아니라고 주장한다(Thomas). 그렇다면 본절이 바울 자신의 체험에서 우러난 고백이 아니라는 말이 성립된다. 그러나 바울은 이신 칭의(3:21-4:25)와 그것에서 비롯된 하나님과의 화해(5:1-21) 그리고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함께 거룩(성화)의 성취(6:1-23)에 대해서 논리를 전개해 왔고, 본장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것에 걸맞는 삶을 살아보려고 시도했으나 다시 율법의 굉장한 벽에 부딪힌 체험을 고백한 것이다. 따라서 본절은 비정상적인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진술이 아니라 지극히 정상적인 그리스도인이 겪는 신앙의 갈등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죄 아래 팔렸도다'라는 말은 '죄에서 해방되었다'(6:18, 22)는 말과 대조적인 표현이다. 성도는 이 두 가지 신분을 동시에 지니고 사는 존재라는 사실을 무시하면 본장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호 가르 카테르가조마이 우 기노스코 우 가르 호 델로 투토 프라쏘 알 호 미소 투토 포이오
개역개정,15 내가 행하는 것을 내가 알지 못하노니 곧 내가 원하는 것은 행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미워하는 것을 행함이라
새번역,15 나는 내가 하는 일을 도무지 알 수가 없습니다. 내가 해야겠다고 생각하는 일은 하지 않고, 도리어 해서는 안 되겠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우리말성경,15 나는 내가 행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이는 내가 원하는 것은 행하지 않고 오히려 증오하는 것을 행하기 때문입니다.
가톨릭성경,15 나는 내가 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나는 내가 바라는 것을 하지 않고 오히려 내가 싫어하는 것을 합니다.
영어NIV,15 I do not understand what I do. For what I want to do I do not do, but what I hate I do.
영어NASB,15 For that which I am doing, I do not understand; for I am not practicing what I would like to do, but I am doing the very thing I hate.
영어MSG,15 What I don't understand about myself is that I decide one way, but then I act another, doing things I absolutely despise.
영어NRSV,15 I do not understand my own actions. For I do not do what I want, but I do the very thing I hate.
헬라어신약Stephanos,15 ο γαρ κατεργαζομαι ου γινωσκω ου γαρ ο θελω τουτο πρασσω αλλ ο μισω τουτο ποιω
라틴어Vulgate,15 quod enim operor non intellego non enim quod volo hoc ago sed quod odi illud facio
히브리어Modern,15 כי את אשר אני פעל לא ידעתי כי אינני עשה את אשר אני רצה בו כי אם אשר שנאתי אתו אני עשה׃
성 경: [롬7:15]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나의 행하는 것을 내가 알지 못하노니 - 이 표현은 바울 자신이 행하는 것 자체를 깨닫지 못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바울 자신이 자신의 행위에 대해서 결코 이해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왜냐하면 자신이 뜻하는 바와 실제로 행동으로 옮겨지는 것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여기서 성도의 신앙적인 갈등은 최고조에 달하게 된다.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다는 사실에 대한 회의가 찾아들게 되는 시점이 바로 이때이다.
에이 데 호 우 델로 투토 포이오 쉼페미 토 노모 호티 칼로스
개역개정,16 만일 내가 원하지 아니하는 그것을 행하면 내가 이로써 율법이 선한 것을 시인하노니
새번역,16 내가 그런 일을 하면서도 그것을 해서는 안 되겠다고 생각하는 것은, 곧 율법이 선하다는 사실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우리말성경,16 그러나 내가 원하지 않는 것을 행한다면 나는 율법이 선하다는 것을 시인하는 것입니다.
가톨릭성경,16 그런데 내가 바라지 않는 것을 한다면, 이는 율법이 좋다는 사실을 내가 인정하는 것입니다.
영어NIV,16 And if I do what I do not want to do, I agree that the law is good.
영어NASB,16 But if I do the very thing I do not wish to do, I agree with the Law, confessing that it is good.
영어MSG,16 So if I can't be trusted to figure out what is best for myself and then do it, it becomes obvious that God's command is necessary.
영어NRSV,16 Now if I do what I do not want, I agree that the law is good.
헬라어신약Stephanos,16 ει δε ο ου θελω τουτο ποιω συμφημι τω νομω οτι καλος
라틴어Vulgate,16 si autem quod nolo illud facio consentio legi quoniam bona
히브리어Modern,16 ובעשותי את אשר לא רציתי בו הנני מודה בזאת כי התורה טובה היא׃
성 경: [롬7:16]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내가 원치 아니하는 그것을 하면 - 바울이 마음으로 바라는 것은 율법에 따라 의롭고 정당한 것이지만, 실제로 그 생각이 행동으로 나타날 때에는 그 원하는 바가 나오지 않고 원치 아니하는 바가 나타난다. 이에 대한 해결책을 도출해 내기 위해 바울은 앞에서 했던 말을 다시 조건문 형식으로 반복한다. 동시에 그는 독자들로 하여금 그가 제시하게 될 해결책에 대하여 주의를 기울이게 하고 있다.
내가 이로 율법의 선한 것을 시인하노니 - 율법은 인간 스스로의 힘과 의지로 지켜질 수 없다. 율법을 행하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죄 아래 매인 자신의 모습만 발견할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율법은 인간의 의지로 도달될 수 없는 지고선(Summum Bonum)이다. 율법은 바울이 원치 않는 바를 행할 때마다 그 자신을 정죄한다. 이때 바울은 율법이 선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뉘니 데 우케티 에고 카테르가조마이 아우토 알라 헤 오이쿠사 엔 에모이 하마르티아
개역개정,17 이제는 그것을 행하는 자가 내가 아니요 내 속에 거하는 죄니라
새번역,17 그렇다면, 그와 같은 일을 하는 것은 내가 아니라, 내 속에 자리를 잡고 있는 죄입니다.
우리말성경,17 그러나 지금 그것을 행하는 사람은 내가 아니라 내 안에 거하는 죄입니다.
가톨릭성경,17 그렇다면 이제 그런 일을 하는 것은 더 이상 내가 아니라, 내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죄입니다.
영어NIV,17 As it is, it is no longer I myself who do it, but it is sin living in me.
영어NASB,17 So now, no longer am I the one doing it, but sin which indwells me.
영어MSG,17 But I need something more! For if I know the law but still can't keep it, and if the power of sin within me keeps sabotaging my best intentions, I obviously need help!
영어NRSV,17 But in fact it is no longer I that do it, but sin that dwells within me.
헬라어신약Stephanos,17 νυνι δε ουκετι εγω κατεργαζομαι αυτο αλλ η οικουσα εν εμοι αμαρτια
라틴어Vulgate,17 nunc autem iam non ego operor illud sed quod habitat in me peccatum
히브리어Modern,17 ועתה לא אנכי עוד הפעל אתו כי אם החטא הישב בי׃
성 경: [롬7:17]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이제는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뉘니데'(*, '그러면 이제는')는 3:21의 '이제는'과 같지만 본절에서는 어떤 주제의 전환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러면' 또는 '그런즉'을 의미하는 '운'(*)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Barmby). 따라서 15절과 16절에 이어지는 논리의 진전이 본절에서 제시되는데, 15절에서는 원치 아니하는 것을 행한다는 것을, 16절에서는 이처럼 원치 않는 것을 행할지라도 율법이 선하다는 것을 서술하고 나서 본절에서는 더욱 분석적이고 세밀하게 이 사실을 말하고자 '그러면 이제는'이라는 접속사로 시작한다.
이것을 행하는 자가 내가 아니요 내 속에 거하는 죄니라 - 바울은 자기가 원치 않는 것을 행하게 하는 것이 자기 자신이 아니라 자기 내부에 도사리고 있는 죄라고 고백한다. 그러나 비록 죄가 자기 의지의 소산이 아니라 할지라도 자기 속에서 나온 것이다. 즉 바울은 죄가 기회를 탈 수 있는 불의의 병기로 자기 몸을 죄에게 드렸던 점에 있어서 책임을 면할 수 없다. 그리고 본절에서 바울은 선을 행하려는 자아와 그 자아를 이기고 나타나는 죄를 구분하여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다. 자기 속에 죄가 실제로 존재하며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을 뿐 아니라, 비록 자기 속에 죄가 실제로 존재하며 활동하고 있어도, 자신의 실체는 이미 의롭다 인정받은 의인임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과 죄를 구분해서 생각하고 있다.
오이다 가르 호티 우크 오이케이 엔 에모이 투트 에스틴 엔 테 사르키 무 아가돈 토 가르 델레인 파라케이타이 모이 토 데 카테르가제스다이 토 칼론 우
개역개정,18 내 속 곧 내 육신에 선한 것이 거하지 아니하는 줄을 아노니 원함은 내게 있으나 선을 행하는 것은 없노라
새번역,18 나는 내 속에 곧 내 육신 속에 선한 것이 깃들여 있지 않다는 것을 압니다. 나는 선을 행하려는 의지는 있으나, 그것을 실행하지는 않으니 말입니다.
우리말성경,18 나는 내 안, 곧 내 육신 속에 선한 것이 거하지 않는 줄을 압니다. 원함은 내게 있으나 선을 행하는 것은 없습니다.
가톨릭성경,18 사실 내 안에, 곧 내 육 안에 선이 자리 잡고 있지 않음을 나는 압니다. 나에게 원의가 있기는 하지만 그 좋은 것을 하지는 못합니다.
영어NIV,18 I know that nothing good lives in me, that is, in my sinful nature. For I have the desire to do what is good, but I cannot carry it out.
영어NASB,18 For I know that nothing good dwells in me, that is, in my flesh; for the wishing is present in me, but the doing of the good is not.
영어MSG,18 I realize that I don't have what it takes. I can will it, but I can't do it.
영어NRSV,18 For I know that nothing good dwells within me, that is, in my flesh. I can will what is right, but I cannot do it.
헬라어신약Stephanos,18 οιδα γαρ οτι ουκ οικει εν εμοι τουτεστιν εν τη σαρκι μου αγαθον το γαρ θελειν παρακειται μοι το δε κατεργαζεσθαι το καλον ουχ ευρισκω
라틴어Vulgate,18 scio enim quia non habitat in me hoc est in carne mea bonum nam velle adiacet mihi perficere autem bonum non invenio
히브리어Modern,18 כי ידעתי אשר בי בבשרי לא ישב טוב הן הרצון יש עמדי אבל עשות הטוב לא מצאתי׃
성 경: [롬7:18]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내 속 곧 내 육신에 - 성도의 신분은 영에 속한 자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죄를 대항하기에 무기력한 '육신'(*, 사릍스)을 가지고 있는 신분이다. 이 육신이 있는 한 죄는 항상 기회를 타서 성도로 하여금 자신의 생각과는 다른 방향으로 가게 한다. 이러한 체험은 바울이라고해서 예외일 수 없다. 누구든지 이러한 현실을 인정치 않는 자는 외식자가 되든지 완전주의자가 될 것이다. 외식자는 자신의 잘못을 항상 합리화시키기에 바쁠 것이며 완전주의(Perfectionism)를 추구하는 사람은 다시 율법주의로 되돌아가서 평생 갈등과 고민 가운데서 허덕이게 될 것이다.
원함은 내게 있으나 선을 행하는 것은 없노라 - 마음은 선한 것을 행하려고 결심하지만 육신이 연약하여 마음의 원하는 바를 실천할 수 없다(마 26:41). 이러한 사실은 인간 속에 내재하고 있는 부패의 뿌리가 얼마나 큰 가를 잘 보여 주고 있다. 비록 거듭나서 하나님을 믿고 따르고자 결심하지만 죄가 연약한 육신을 장악하여 성도로 하여금 선한 일을 위해서는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성도는 이 사실을 깨닫고 무력한 상태를 벗어나려고 애쓰면 쓸수록 철저한 패배로 인한 비참함만 맛볼 뿐이다(24절).
우 가르 호 델로 포이오 아가돈 알라 호 우 델로 카콘 투토 프라쏘
개역개정,19 내가 원하는 바 선은 행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원하지 아니하는 바 악을 행하는도다
새번역,19 나는 내가 원하는 선한 일은 하지 않고, 도리어 원하지 않는 악한 일을 합니다.
우리말성경,19 내가 원하는 선은 행하지 않고 오히려 원하지 않는 악을 행합니다.
가톨릭성경,19 선을 바라면서도 하지 못하고, 악을 바라지 않으면서도 그것을 하고 맙니다.
영어NIV,19 For what I do is not the good I want to do; no, the evil I do not want to do--this I keep on doing.
영어NASB,19 For the good that I wish, I do not do; but I practice the very evil that I do not wish.
영어MSG,19 I decide to do good, but I don't really do it; I decide not to do bad, but then I do it anyway.
영어NRSV,19 For I do not do the good I want, but the evil I do not want is what I do.
헬라어신약Stephanos,19 ου γαρ ο θελω ποιω αγαθον αλλ ο ου θελω κακον τουτο πρασσω
라틴어Vulgate,19 non enim quod volo bonum hoc facio sed quod nolo malum hoc ago
히브리어Modern,19 כי אינני עשה הטוב אשר אני רצה בו כי אם הרע אשר אינני רצה בו אותו אני עשה׃
성 경: [롬7:19]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본절은 15-18절까지의 진술을 요약하고 있다. 바울은 지금까지의 진술을 요약 반복함으로써 앞에서 언급했던 내용이 분명히 어떤 사실에 대한 것이었는지 보여 줌과 동시에 지금까지 고백한 신앙적인 딜레마(dilemma)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에 대한 대답을 이끌어 갈 준비를 하고 있다.
에이 데 호 우 델로 에고 투토 포이오 우케티 에고 카테르가조마이 아우토 알라 헤 오이쿠사 엔 에모이 하마르티아
개역개정,20 만일 내가 원하지 아니하는 그것을 하면 이를 행하는 자는 내가 아니요 내 속에 거하는 죄니라
새번역,20 내가 해서는 안 되는 것을 하면, 그것을 하는 것은 내가 아니라, 내 속에 자리를 잡고 있는 죄입니다.
우리말성경,20 만일 내가 원하지 않는 것을 행한다면 그것을 행하는 사람은 내가 아니라 내 안에 거하는 죄입니다.
가톨릭성경,20 그래서 내가 바라지 않는 것을 하면, 그 일을 하는 것은 더 이상 내가 아니라 내 안에 자리 잡은 죄입니다.
영어NIV,20 Now if I do what I do not want to do, it is no longer I who do it, but it is sin living in me that does it.
영어NASB,20 But if I am doing the very thing I do not wish, I am no longer the one doing it, but sin which dwells in me.
영어MSG,20 My decisions, such as they are, don't result in actions. Something has gone wrong deep within me and gets the better of me every time.
영어NRSV,20 Now if I do what I do not want, it is no longer I that do it, but sin that dwells within me.
헬라어신약Stephanos,20 ει δε ο ου θελω εγω τουτο ποιω ουκετι εγω κατεργαζομαι αυτο αλλ η οικουσα εν εμοι αμαρτια
라틴어Vulgate,20 si autem quod nolo illud facio non ego operor illud sed quod habitat in me peccatum
히브리어Modern,20 ואם את אשר לא רציתי בו אני עשה לא עוד אנכי הפעל כי החטא הישב בקרבי׃
성 경: [롬7:20]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이를 행하는 자가 내가 아니요 내 속에 거하는 죄니라 - 본구절은 17절의 반복이다. 그러나 바울이 유도해 내는 내용은 서로 다르다. 본절에서는 상반절에서 '내가 원치 아니하는 그것을 하면'이라는 조건절이 언급된 다음 본구절이 곧바로 언급된 반면, 17절에서는 본절 상반절과 똑같은 조건절이 16절 상반절에 언급되고 그 다음 17절에서 본구절과 같은 말이 진술되기 전 16절 하반절에 '율법이 선한 것을 시인하노니'라는 말이 첨가되어 있다. 이러한 차이는 본 구절에서 언급된 말이 16절과 17절에서는 율법이 선하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것과 연관지어져 있으나 본절에서는 우리 속에 있는 두 가지 서로 상반된 세력에 대한 진술과 연관되어 있기(21-23절) 때문이다. 그리고 바울이 17절에서 언급했던 말을 본절에서 다시 반복한 것은 그리스도를 믿는 성도들이 겪어야 하는 심각한 신앙적 현실을 일깨워 주기 위함이다. 한편 본절을 따로 떼어서 생각하면 죄를 짓는 우리의 현실을 합리화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바울은 극복되어야 할 신앙적 현실이라는 차원에서 본구절을 언급하고 있으므로, 이를 우리의 죄를 합리화시키는 진술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휴리스코 아라 톤 노몬 토 델론티 에모이 포이에인 토 칼론 호티 에모이 토 카콘 파라케이타이
개역개정,21 그러므로 내가 한 법을 깨달았노니 곧 선을 행하기 원하는 나에게 악이 함께 있는 것이로다
새번역,21 여기에서 나는 법칙 하나를 발견하였습니다. 곧 나는 선을 행하려고 하는데, 그러한 나에게 악이 붙어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말성경,21 그러므로 나는 하나의 법칙을 깨달았습니다. 곧 선을 행하기 원하는 나에게 악이 함께 있다는 것입니다.
가톨릭성경,21 여기에서 나는 법칙을 발견합니다. 내가 좋은 것을 하기를 바라는데도 악이 바로 내 곁에 있다는 것입니다.
영어NIV,21 So I find this law at work: When I want to do good, evil is right there with me.
영어NASB,21 I find then the principle that evil is present in me, the one who wishes to do good.
영어MSG,21 It happens so regularly that it's predictable. The moment I decide to do good, sin is there to trip me up.
영어NRSV,21 So I find it to be a law that when I want to do what is good, evil lies close at hand.
헬라어신약Stephanos,21 ευρισκω αρα τον νομον τω θελοντι εμοι ποιειν το καλον οτι εμοι το κακον παρακειται
라틴어Vulgate,21 invenio igitur legem volenti mihi facere bonum quoniam mihi malum adiacet
히브리어Modern,21 ובכן מצא אני בי זה החק אנכי רצה לעשות הטוב ודבק בי הרע׃
성 경: [롬7:21]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내가 한 법을 깨달았노니 - 일반적으로 바울은 '법'이란 단어를 율법에 대하여 사용했다. 그러나 본절에서는 그 뜻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혹자느 이 '법'을 다음에 언급되고 있는 세가지 법, 곧 하나님의 법(22절), 마음의 법(23절), 죄의 법(23절)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Calvin). 그리고 혹자는 이 '법'이 '하나님의 법'만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Murray). 또한 이 주장을 뒷바침하는 해석을 유도하기 위해 '법'이란 단어 앞에 수단을 가리키는 전치사를 써서 '법에 의해서'라는 의미로 의역하는 학자도 있다(Erasmus). 그러나 머레이(Murray)의 주장은 큰 설득력이 없다. 왜냐하면 22절과 23절에서 하나님의 법과 그와 같은 의미를 지닌 마음의 법만 강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와 대조되고 있는 '죄의 법'도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절의 '법'은 하나님의 법과 죄의 법이 우리 몸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대립의 원리를 의미한다. 혹자는 이를 '지배 원리'(governing principle) 또는 단순히 '원리' 정도로 해석하는 데(Harrison, Black), 이것은 본절에 사용된 '법'의 의미에 접근을 했으나 그 의미를 완전히 드러내지는 못한다. 선을 행하기 원하는 나에게 악이 함께 있는 것이로다 - 19절에서 바울은 선을 행하고자 하는 자신의 의지와는 반대로 악을 행하는 자신의 모순된 행위에 대해서 언급했으나, 본절에서는 그러한 모순된 행위가 발생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즉 그 이유는 자신 속에 선을 행하고자 하는 의지와 함께 악이 공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설명함으로써 바울은 악을 외부적인 어떤 요인이 아니라 사람 내부에 존재하는 실체(實體)로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악은 인간 내부에서 잠잠히 있지 않고 항상 인간의 모든 지체를 지배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Hendriksen).
쉬네도마이 가르 토 노모 투 데우 카타 톤 에소 안드로폰
개역개정,22 내 속사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되
새번역,22 나는 속사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나,
우리말성경,22 내가 속사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지만
가톨릭성경,22 나의 내적 인간은 하느님의 법을 두고 기뻐합니다.
영어NIV,22 For in my inner being I delight in God's law;
영어NASB,22 For I joyfully concur with the law of God in the inner man,
영어MSG,22 I truly delight in God's commands,
영어NRSV,22 For I delight in the law of God in my inmost self,
헬라어신약Stephanos,22 συνηδομαι γαρ τω νομω του θεου κατα τον εσω ανθρωπον
라틴어Vulgate,22 condelector enim legi Dei secundum interiorem hominem
히브리어Modern,22 כי לפי האדם הפנימי חפצתי בתורת אלהים׃
성 경: [롬7:22]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내 속 사람으로는 - 혹자는 23절과 25절에서 대조되고 있는 마음과 육신이 몸과 영 또는 정신과 물질 간의 어떤 형이상학적인 구별이 아니라 윤리적인 구별이라고 주장한다(Murray). 이와 반대로 혹자는 고후 4:16을 근거로 하여 속 사람을 썩어질 겉 사람과 대조되는 것으로 이해한다(Calvin, Black). 더 나아가 혹자는 속 사람을 인간의 실질적인 자아로서 영(spirit)과 혼(soul)과 같은 비물질적인 부분으로, 겉 사람을 사람의 몸과 그 지체로 이해한다(Lenski). 여기서 후자의 주장들은 바울의 전체 사상 중에서 인간 이해 부분에 대해서는 만족시켜 줄 수 있으나 본절 이하에서는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비록 속 사람이 23절과 25절의 '마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을지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윤리적인 구분을 위한 것이지 인간의 실체를 구분하려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절에서는 윤리적인 면에서 속 사람을 단순히 선을 행하고자 하는 자아로 규정하고 악을 행하는 다른 자아와 구분시키고 있다.
하나님의 법을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토 노모 투 데우'(*)가 '율법'을 의미하는지 8:2의 언급과 같은 '성령의 법'을 의미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하나님의 법'을 '율법'으로 이해한다(Hendriksen, Murray, Harrison, Lenski). 그렇지만 '하나님의 법'이 '성령의 법'과 일치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반드시 율법과 동일시할 필요는 없다. 지금 바울이 진술하고자 하는 것은 속 사람이 가지고 있는 '선을 행하고자 하는 의지'를 일으키는 '거룩한 원리나 힘'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바울은 이러한 거룩한 원리를 따르기를 즐거워한다고 고백하고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법'이 '율법'이나 '계명'을 포괄하는 '거룩한 원리'로 해석되어도 문제될 것이 없다.
즐거워하되 - 여기에 해당하는 헬라어 '쉬네도마이'(*)는 일차적으로 '...와 함께 즐거워하다'로 직역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치사 '쉰'(*, '함께')과 결합된 합성 동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렌스키는 '...와 교제 하거나 교제하게 되어 즐거워한다'는 해석을 제안한다. 그러나 본절에서는 '함께'라는 의미를 강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순히 '...을 즐거워하다'(delight in, KJV, NIV, RSV). '...을 기뻐하다'(rejoice in;Scott, Robertson)라고 해석하는 것이 낫다. 또한 이 동사가 1인칭 단수를 나타내므로 '내가...을 즐거워하되'라고 이해해야 한다.
블레포 데 헤테론 노몬 엔 토이스 멜레신 무 안티스트라튜오메논 토 노모 투 노오스 무 카이 아이크말로티존타 메 엔 토 노모 테스 하마르타이스 토 온티 엔 토이스 엘레신 무
개역개정,23 내 지체 속에서 한 다른 법이 내 마음의 법과 싸워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으로 나를 사로잡는 것을 보는도다
새번역,23 내 지체에는 다른 법이 있어서 내 마음의 법과 맞서서 싸우며, 내 지체에 있는 죄의 법에 나를 포로로 만드는 것을 봅니다.
우리말성경,23 내 지체 안에서 하나의 다른 법이 내 마음의 법과 싸워 나를 내 지체 안에 있는 죄의 법의 포로로 잡아가는 것을 봅니다.
가톨릭성경,23 그러나 내 지체 안에는 다른 법이 있어 내 이성의 법과 대결하고 있음을 나는 봅니다. 그 다른 법이 나를 내 지체 안에 있는 죄의 법에 사로잡히게 합니다.
영어NIV,23 but I see another law at work in the members of my body, waging war against the law of my mind and making me a prisoner of the law of sin at work within my members.
영어NASB,23 but I see a different law in the members of my body, waging war against the law of my mind, and making me a prisoner of the law of sin which is in my members.
영어MSG,23 but it's pretty obvious that not all of me joins in that delight. Parts of me covertly rebel, and just when I least expect it, they take charge.
영어NRSV,23 but I see in my members another law at war with the law of my mind, making me captive to the law of sin that dwells in my members.
헬라어신약Stephanos,23 βλεπω δε ετερον νομον εν τοις μελεσιν μου αντιστρατευομενον τω νομω του νοος μου και αιχμαλωτιζοντα με τω νομω της αμαρτιας τω οντι εν τοις μελεσιν μου
라틴어Vulgate,23 video autem aliam legem in membris meis repugnantem legi mentis meae et captivantem me in lege peccati quae est in membris meis
히브리어Modern,23 אך ראה אני באברי חק אחר הלחם לחק שכלי ויוליכני שבי לתורת החטא אשר באברי׃
성 경: [롬7:23]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내 지체 속에서 - '지체'(肢體)는 '육신'과 동일한 의미다. 이 지체는 단순히 몸의 각 부분으로서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죄와 대항하기에 전혀 무기력하며 죄로 인해 사망의 형벌을 받을 수밖에 없는 '죄의 몸'의 각 부분을 가리킨다. 비록 '지체' 그 자체는 '육신'과 마찬가지로 악한 것이 아니지만 죄가 연약한 육신의 지체를 통해서 역사하기 때문에 '지체'는 불의의 병기로 사용되는 것이다(6:13). 그러나 우리의 지체는 반드시 하나님께 드려져야 하는데 성령에 의해 인도함을 받을 때에라야 의의 병기로 하나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 다른 법이 내 마음의 법과 싸워 - '마음의 법'은 22절의 '하나님의 법'에 상응하는 관계에 있다. 그리고 이 법은 하나님을 위해서 살려고 하는 선한 의지를 일으키며 '한 다른 법'인 '죄의 법'과 투쟁 관계에 있는 법이다. 다시 말해 '마음의 법'은 마음자체에서 일어나는 '법'이 아니라, 하나님을 위해 살려고 하는 의지를 선한 양심 안에서 일으키는 거룩한 원리이다. 한편 바울은 '한 다른 법'과 '마음의 법'이 투쟁 관계에 있음을 보여 주기 위해 '싸워'라는 동사를 사용하고 있다. 즉 성도안에는 이 두가지 법이 서로 지배력을 행사하려고 투쟁하고 있으므로 성도는 자신도 모른 사이에 갈등 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 바울은 본 구절을 통해 성도들 가운데 일어나는 갈등이 당연한 것임을 알려주고 있는 것이다. 만일 바울이 이러한 언급을 성도들에게 하지 않았다면, 성도들은 이 두 법의 갈등으로 인한 신앙적 고민을 해결할 수 없었을 것이다.
죄의 법 아래로 나를 사로잡아 오는 것을 보는도다 - '하나님의 법'이나 '마음의 법'이 단순히 율법이나 계명만을 의미하지 않듯이 '죄의 법' 역시 어떤 명문화된 법을 의미하지 않고 죄가 역사하는 원리 또는 죄의 세력을 지칭한다. 하나님의 법과 죄의 법이 싸워 마땅히 하나님의 법이 이겨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 죄의 법이 하나님의 법을 이기고 성도를 죄의 법의 노예로 만들어 버린다. 이것이 성도가 현재의 삶 가운데서 겪게 되는 실상이다. 바울이 성도가 겪게 되는 신앙적인 현실에 대해 이토록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성도 자신이 현실에서 죄에 사로잡혀 있는 존재임을 깨닫게 하며 (2) 이러한 비참한 현실 가운데서 성도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구속의 은혜가 지닌 넓이와 깊이를 깨닫게 하기 위함이다. (3) 그런데 여기에는 성도 자신의 실존이 변화되어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죄의 법이 심각한 도전을 해도 성도는 하나님의 법을 따르고자 한다는 사실을 전제하고 있다. 그렇지 않다면 바울은 비참한 현실 가운데 처해 있을 때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25절)고 선포할 수 없었을 것이다. 한편 '보는도다'라는 표현은 경험적으로 '알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이처럼 시각적인 경험으로 표현하여 성도가 처해 있는 비참한 현실을 강조한다.
탈라이포로스 에고 안드로포스 티스 메 뤼세타이 에크 투 소마토스 투 다나투 투투
개역개정,24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
새번역,24 아, 나는 비참한 사람입니다. 누가 이 죽음의 몸에서 나를 건져 주겠습니까?
우리말성경,24 아, 나는 비참한 사람입니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구해 내겠습니까?
가톨릭성경,24 나는 과연 비참한 인간입니다. 누가 이 죽음에 빠진 몸에서 나를 구해 줄 수 있습니까?
영어NIV,24 What a wretched man I am! Who will rescue me from this body of death?
영어NASB,24 Wretched man that I am! Who will set me free from the body of this death?
영어MSG,24 I've tried everything and nothing helps. I'm at the end of my rope. Is there no one who can do anything for me? Isn't that the real question?
영어NRSV,24 Wretched man that I am! Who will rescue me from this body of death?
헬라어신약Stephanos,24 ταλαιπωρος εγω ανθρωπος τις με ρυσεται εκ του σωματος του θανατου τουτου
라틴어Vulgate,24 infelix ego homo quis me liberabit de corpore mortis huius
히브리어Modern,24 אוי לי האדם העני מי יצילני מגוף המות הזה׃
성 경: [롬7:24]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스토트(J. Stott)는 본절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해설했다. "불신자는 '자기 의'(self-righteousness)로 특정지워지면 본절과 같이 자신을 '비참한 피조물'로 인식하지 못한다. 성숙되지 못한 성도는 '자기 확신'(self-confidence)으로 특정지워지며 자기를 구원할 자에게 구하지도 않는다. 다만 성숙된 성도만이 '자기 혐오'(self-disgust)와 '자기 절망'(self-despair)의 상태에 이르게 되며 자기 육신 안에 선한 것이 조금도 거하지 않는 사실을 뚜렷하게 인식한다. 이 사람은 자기의 곤고함을 알아 믿음으로 구원을 위해 호소한다." 이와 같이 스토트는 본절을 거듭나지 못한 자의 탄식이 아니라 거듭났으며 성숙된 성도의 탄식으로 이해했다. 그리고 그가 주장한 '구원을 위한 호소'는 단순히 죄로부터의 구원을 위한 호소(Murray)가 아니라 하나님의 법과 죄의 법 간의 갈등을 극복케 해달라는 호소이다. 불신자 또는 거듭나지 못한 자는 자기속에 일어나는 두 법의 투쟁을 깨닫지 못하며 따라서 그것으로 인해 탄식하지 않는다.
곤고한 사람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탈라이포로스'(*)는 개역 성경의 번역과 비슷하게 '심한 고난을 겪는 사람'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절의 의미를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실감나게 표현하여 '비참한 사람'(wretched man, KJV, NIV, RSV)으로 번역하는 편이 자연스럽다. 혹자는 바울이 자신을 '곤고한 사람'이라고 탄식한 것은 절망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심각한 고민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한다(Lenski). 그러나 이 주장은 별로 설득력이 없다. 지금 바울의 탄식은 선을 행하고자 노력하지만 항상 실패한 자신의 형편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바울은 자신이 전혀 선을 행할 능력이 없다는 절망감과 비참함을 탄식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고통'이나 '고민' 정도로 '탈라이포로스'를 해석하게 된다면 탄식하는 바울의 심정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한다.
사망의 몸 - 숙명적인 인간의 운명에 대한 표현이 아니라 죄와 사망의 세력을 벗어날 수 없는 비참한 상태의 몸을 가리킨다. 여기서 '사망'은 '죄의 결과'로 초래되는 것이므로(6:23) 죄의 세력을 의미한다.
카리스 데 토 데오 디아 예수 크리스투 투 퀴리우 헤몬 아라 운 아우토스 에고 토 멘 노이 둘류오 노모 데우 테 데 사르키 노모 하마르티아스
개역개정,25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 그런즉 내 자신이 마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육신으로는 죄의 법을 섬기노라
새번역,25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나를 건져 주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러니 나 자신은, 마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섬기고, 육신으로는 죄의 법을 섬기고 있습니다.
우리말성경,25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인해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러므로 나 자신은 마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육신으로는 죄의 법을 섬기고 있습니다.
가톨릭성경,25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나를 구해 주신 하느님께 감사드립니다. 이렇게 나 자신이 이성으로는 하느님의 법을 섬기지만, 육으로는 죄의 법을 섬깁니다.
영어NIV,25 Thanks be to God--through Jesus Christ our Lord! So then, I myself in my mind am a slave to God's law, but in the sinful nature a slave to the law of sin.
영어NASB,25 Thanks be to God through Jesus Christ our Lord! So then, on the one hand I myself with my mind am serving the law of God, but on the other, with my flesh the law of sin.
영어MSG,25 The answer, thank God, is that Jesus Christ can and does. He acted to set things right in this life of contradictions where I want to serve God with all my heart and mind, but am pulled by the influence of sin to do something totally different.
영어NRSV,25 Thanks be to God through Jesus Christ our Lord! So then, with my mind I am a slave to the law of God, but with my flesh I am a slave to the law of sin.
헬라어신약Stephanos,25 ευχαριστω τω θεω δια ιησου χριστου του κυριου ημων αρα ουν αυτος εγω τω μεν νοι δουλευω νομω θεου τη δε σαρκι νομω αμαρτιας
라틴어Vulgate,25 gratia Dei per Iesum Christum Dominum nostrum igitur ego ipse mente servio legi Dei carne autem legi peccati
히브리어Modern,25 אודה לאלהים בישוע המשיח אדנינו׃ [ (Romans 7:26) לכן בשכלי הנני עבד לתורת האלהים ובבשרי אני עבד לתורת החטא׃ ]
성 경: [롬7:25]
주제1: [성화와 율법]
주제2: [신앙인의 내적 갈등]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 - 바울은 24절의 탄식에서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 내랴'라고 질문을 던진 바 있다. 본 구절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다. 즉 바울은 그토록 비참한 상황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취된 구속을 자기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게 되었던 것이다. 3:21-6:23이 교리적 차원에서 예수에 대한 바울의 이해를 보여 준다면 본절은 교리를 현실적인 삶에 적용함에 있어서 자신이 겪은 갈등을 통한 예수에 대한 바울의 이해를 보여 주고 있다.
내 자신이 마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육신으로는 죄의 법을 섬기노라 - 앞에서 계속 진술했던 것을 다시 반복하고 있지만, 본절은 의미상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 즉 같은 표현이 앞에서는(20-23절) 탄식으로 이어지는 내용이지만 본절은 진정한 해방의 선포를 위한 내용이다. 즉 이는 탄식이면서도 몸의 구속 곧 진정한 구원을 기다릴 준비를 갖게 하는 내용인 것이다(8:23). 이처럼 본 구절은 앞에서 진술했던 내용을 비참한 현실적 삶을 통해 여과(濾過)시켜 그리스도의 구속이 가진 보다 깊은 비밀로 이끌어 가도록 전환시키는 분수령이다.
'GREEK BIB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라어 로마서 9장 전체 원어 원문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해설 해석 (0) | 2020.10.24 |
---|---|
헬라어 로마서 8장 전체 원어 원문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해설 해석 (0) | 2020.10.24 |
헬라어 로마서 6장 전체 원어 원문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해설 해석 (0) | 2020.10.24 |
헬라어 로마서 5장 전체 원어 원문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해설 해석 (0) | 2020.10.24 |
헬라어 로마서 4장 전체 원어 원문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해설 해석 (0) | 2020.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