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반장 / 반점 / 반죽(하다) / 반죽그릇 / 반지

반장 chief man

한 반(班)의 책임을 지는 사람. 성전에서 문지기를 담당했던 시므리,힐기야, 드발리야, 스가랴는 므라리 지파 호사의 아들들로서 문지기의 반장이었다(대상26:12). 반장은 각지파의 어른, 천부장, 백부장, 감독, 환관, 장사, 용사로 구성된 이스라엘의 방백에 포함되었다(대상28:1).

반점 spot

얼룩얼룩한 무늬를 가리키는 말로서, 피부나 가죽에 생긴 이반점은 지울 수 없다고 여겼다. 그러므로 예레미야 선지자는 유다의 거민들에게 악을 행하기에 익숙하고선을 행하기 힘든 그 속성을 마치 표범이 그 반점을 없애기 힘든 것처럼 어렵다고 질타했다(렘 13:23).

반죽/-하다 kneading 

반죽은 밀이나 다른 고운 가루에 물과 그밖의 재료를 섞어 만든 덩어리를 가리킨다. 반드시 음식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로 음식의 재료가 되는 덩어리를 표현할 때 많이 쓰였다. 출애굽 당시 이스라엘은 발효되지 않은 떡 '반죽' 그릇을 옷에 싸서 어깨에 메고 급히 애굽 땅을 나왔다. 여기서 발효되지 않은 떡 '반죽'은 그 당시 비교적 보존이 용이하고 금방 먹을 수 있도록 준비가 가능한 재료였음을 알 수 있다(출12:34).
반죽하는 일은 떡을 굽기 위하여 고운 가루에 물을 조금씩 섞어 이겨서 덩어리를 만드는 작업이다(창 18:6;삼하13:8;렘7:18). 호세아는 사마리아와 에브라임의 정욕과 탐욕을 빵 만드는 자가 반죽이 발효되기까지 기다렸다가 뜨겁게 화덕을 달구어 빵을 굽게 되는 것에 비유하고 있다(호7:4).

반죽그릇 kneading bowl

반죽그릇은 구약성경에서 떡반죽 그릇으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원어나 의미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이것은 고대 팔레스타인의 주방용품 가운데 필수적인 것으로서, 주로 나무를 깊지 않게 파서 만들었다. 이 그릇에 밀가루, 물, 혹은 기름을 섞어서 반죽을 이겼으며, 누룩을 넣은 뒤 발효될 때까지 이 그릇에 두었다. 반죽그릇, 혹은 떡반죽 그릇은 여호와의 명령을 듣고, 지키고, 행하며, 말씀을 떠나 좌로나 우로 치우치지 않고 다른 신을 섬기지 않으면 받게 될 여러 축복 가운데 하나였다(신28:17). 그러나 만일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것을 따라 지키지 않으면 떡반죽 그릇도 저주를 받게 될 것이다.

반지 ring

금속, 혹은 보석을 사용하여 손가락에 맞도록 세공한 장신구로서, 신분과 지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착용하였다. 이 반지에는 인장이 새겨져 있거나, 그 반지 자체만으로도 그 반지를 소유한 사람의 대리권을 행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주요한 장신구에 속하였다. 아하수에로 왕에게 포로된 이스라엘을 멸절할 것을 강력히 권했던 하만은은 10,000 달란트로 왕의 마음을 산 뒤, 왕의 도장이 새겨져 있는 반지를 받았다(에3: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