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성대곡 weep aloud
목놓아 소리질러 크게 우는 것으로 대성통곡과 동의어이다. 슬플 때뿐 아니라, 감정이 북받칠 때도 사람들은 방성대곡하곤 하였다. 에서는 야곱에게 장자권이 넘어갔다는 이삭의 말을 듣고 방성대곡했으며(창27:34), 사라에 의해 쫓겨나 사막에서 물이 없어 죽게 된 하갈은 이스마엘과 마주앉아 방성대곡했다(창21:16). 이때 하나님께서는 하갈의 울음소리를 들으시고 샘물을 볼수 있게 눈을 밝히셨다. 한편 바로의 궁에서 형제들을 만나고 아버지 야곱의 소식을 들은 요셉은 바로의 궁전에 전부 들리도록 방성대곡하였다(창45:2).
방술 charmer
방사(方士)의 술법. 성경에서는 술객들의 주술적인 행위 또는 마술을 가리킨다(시58:5;전10:11, 새번역 술객의 요술').
방어 defense
자기에게 닥치는 침입과 공격을 막아내는 것. 욥은 그의 친구들의 변론이허술하고 약하다는 것을 '토성으로 방어하는 것'에비유하여 말하였다(욥13:12).
방언 tongue
구약성경에서 방언은 각 족속들의 언어를 말한다(창10:5;느13:24;에1:22;시114:1;사33:19;단1:4;슥8:23). 사람과 사람 사이의 불화는 언어의 불일치에 기인하며그 원인은 창세기 11장의 인간의 죄악된 교만에서 찾을 수 있다. 언어는 그 지역 전체의 생득적인 감정들,공통 관심사 그리고 상호 협동 등에도 관련된다.
신약성경에서 방언은 민족 또는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는 인종 등을 의미하기도 하지만(계5:9), 대부분은 막16:17;행2:1-13;10:4446;19:6;고전12,14장에서 언급되는 신령한 은사를 가리킨다. 오순절에 모였던 신도들은 성령으로 충만해서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방언(공동번역 '여러 가지 외국어', 새번역 '각각다른 방언')으로 말하기를' 시작했다(행2:4), 그러자 세계 각국으로부터 와서 예루살렘에 살던 경건한 유대인들은 그들이 하나님의 큰 일(11절, 공동번역 ‘하나님께서 하신 큰 일들')을 말하는 것을 듣고서 놀랐다. 초기 교부시대부터 어떤 이들은 8절을 근거삼아이 사건이 신도들이 아닌 청중들에게 일어났던 들음의 기적이었다고 보아왔다. 그러나 그러한 관점은 기적을 신도들이 아니라 회심하지 않은 대중들에게로 옮겨놓게 된다는 점과 청중들이 모이기 이전에 이미신도들이 다른 방언으로 말하기를 시작했다는 사실,그리고 청중들 가운데 어떤 이들은 자신들의 들은 바를 술주정으로 취급했다는 사실들을 간과하고 있다는점에서 논박된다.
'새 방언'을 말하는 것은 막16:17 (후대에 첨가된 부분임)에서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에게 따르는 표적으로 언급된다. 방언은 사도행전 2장의 첫 현상 이후에사도들의 사역과 관련되어(참고. 고후12:12) 계속해서 되풀이 되어 일어났다(행8:17-18;10:4446;19:6). 이것은 이방인들도 유대 그리스도 교회에 속함을 인정하게하는 역할을 했음이 분명하다(참고, 행10:47;11:17-18). 만일 방언들이 이스라엘을 향하여 약속된 심판의 표징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사28:10 이하. 참고. 신28:49;고전 14:21 이하) 오순절의 방언이 이스라엘에게서 (하나님)나라를 취하여 모든 나라의 백성에게 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사도행전에서 방언이 발생하는 형태는 이러한 변화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고린도교회의 방언은 여러 가지 면에서 사도행전에 묘사된 것과는 다르다. 예루살렘, 가이사랴, 그리고 에베소에서 성령이 임한 모든 사람들은 그 즉시 방언을 했다. 반면 고린도에서는 그들이 바라는 은사를모든 사람이 소유하지는 못했다(고전12:10,30). 사도행전에서 방언은 불가항력적이고 어쩌면 일시적인 첫경험이었던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고린도교인들에게보낸 바울의 가르침은 말하는 사람이 통제할 수 있는 계속적인 은사임을 암시한다(고전14:27-28,참고,14:32 이런 점에서 어떤 이방종교들의 특징처럼 예배자가 이성과 자제력을 상실하는 종교적 광란과는 전혀 다르다). 오순절의 방언들은 청중이 이해할 수 있었지만 고린도에서는 추가적으로 통역의 은사가 필요했다(고전14:5,13,27). 오순절 사건에서 만큼은 사용된 외국어들이 분명히 언급되어 있는데 반해서, 성경 곳곳에서 방언은 성령으로 감동된 말로서 의미를 담고 있으며, 주로 예배시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행2:11;10:46;고전14:2,14-17,28).
'각종 방언' (고전12:10)은 배우지 않은 언어, 언어가아닌 것, 또는 다른 발음체계들을 포함한 말일 수 있다. 고린도에서 그것들은 분명히 외국어는 아니었다. 바울은 '소리' 라는 단어로 그것을 지칭하기도 했는데(14:10-11) 이는 이해하는데 있어서 언어실력이 아닌특별한 은사가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비록 통역이 없다면 말하는 자의 마음은 열매를 맺지 못하고(14절.공동번역 '이성은 작용하지 않습니다' ) 심지어 말하는 사람조차도 그것을 이해할 수 없지만(13절), 말이라는 것(19절)과 내용이 있다는 것(14-17절)이 인정되었고 통역된 방언은 예언과 동등시(5절) 되었던 까닭에바울에게 있어서 방언은 황홀경에서 발설해내는 그저의미없는 소리는 아니었다. '통역한다' 라는 말로부터거기에는 일정한 언어체계가 있음이 암시되고 있으며 바울은 아마도 그것을 평범한 인간적인 특성이 들어있지 않은 특별한 하늘의 언어로 여겼으며 예배(참고.고전14:26-28), 믿지 않는 자들을 향한 표징(14:22), 그리고 통역이 되었을 경우 교회의 덕을 세우기 위하여(14:12,26․ 참고․ 17절) 성령을 통하여 감동되는 것으로 생각한 듯하다. 고린도 사람들은 방언을 너무 높이 평가하여 남용하였기 때문에 바울은 공적인 자리에서의사용을 엄격히 제한시켰으며(고전14:27-28), 교회 전체로 볼 때 예언의 가치가 우위에 있음을 강조하였다(고전 14:1,5).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방종 / 방주 / 방책 / 방침 / 방탕 (0) | 2022.09.08 |
---|---|
(성경사전) 방울1 / 방울2 / 방임하다 / 방자 / 방장 (0) | 2022.09.08 |
(성경사전) 방법 / 방불 / 방비(하다) / 방석 / 방석하다 (0) | 2022.09.08 |
(성경사전) 방금 / 방도 / 방망이 / 방문하다 / 방백 (0) | 2022.09.08 |
(성경사전) 밧모 / 밧세바 / 밧수아 / 방 / 방관하다 (0) | 2022.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