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물 principal
본래 그대로의 물건, 남의 물건을 전당잡거나, 강도질하거나, 훔치고도 이 사실을 부인하는 것 혹은 남의 잃은 물건을 얻고도 이 사실을 거짓 맹세를 하면 그 물에 오분의 일을 더하여 돌려보내야 하였다(레6:5).
본받다 follow
본보기가 될 만한 방법이나 윤리, 또는 가르침을 따라가는 것. 성경에서 본받아야 될 것에는 믿음의 선진들(히6:12;약5:10)이나 바울(고전4:16;11:1;빌3:17)과 같은 인물이 있는데, 특히 바울이 자신을 본받으라는 것은 그를 추종하라는 말이 아니라 그리스도를 향한 그의 삶에 동참하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교훈(롬 6:17)이나 좋은 전통(살후3:9)도 본받아야 할 것 중의 하나로 언급되었다. 이는 하나님처럼 되라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성품을 모방하라는 것이며,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교회를 본받아야 하는 것은 성도의 본분이었다(살전2:14), 특히 그리스도를 본받는다는 것은 (롬6:5;빌3:10;살전1:6;벧전2:21) 단순히 좋은 것을 선택하여 받아들인다는 일반적인 의미가 아니라 그의 제자가 됨을 의미한다. 즉, 이 말은 그리스도의 생애 전반에 나타나는 그의 선한 생활 방식이나 그의 말씀 속에 있는 교훈뿐 아니라 만인을 위한 희생적인 삶, 그리고 죽음을 동반한 고통까지도 받아들임을 의미한다. 결국 그리스도를 는다는 것은 그의 제자됨을 의미하며(참고. 마16:24), 이것은 그리스도께서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신(빌2:8) 그 복종의 삶까지도 따르는 것을 말한다(2:12).
한편 성경에서는 본받지 말아야 할 것으로 이방인의 가증한 행위(신18:9)와 외식하는 자들(마6:8), 그리고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의 행위(마23:3)와 악인의 행위(잠22:25)를 언급하고 있다. 그 외에도 타락된 풍습이 지배적인 이 세대를 본받지 말아야 했으며(롬12:2), 하나님께서는 소돔과 고모라를 멸하시고 그것을 경건치 아니한 자들을 위한 본이 되게 하셨다(벧후2:6).
본방언 proper tongue
유다는 예수를 팔고 목매어 죽었지만, 사람들이 그의 돈으로 밭을 사서 그 밭의 이름을 본방언으로 '아겔다마' 라고 지었는데, 이는 피밭이라는 뜻이었다(행 1:19). 여기서 본방언은 아람어를 가리키며, 이 부분을 본방언과 해석을 덧붙여 기록한 것은 아마 이방인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보여진다(새번역 '자기들의 말').
본부
본남편, 비유적으로 하나님을 의미한다. 유다의 우상숭배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 정당함을 비유적으로 설명할 때 사용되었는데, 본남편을 배신하고 다른 남자와 행음한 여인은 남편으로부터 버림을 받게 되듯이 유다도 하나님의 심판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렘3:1).
본분 part
마땅히 감당해야 할 직분 혹은 의무. 공동체에 부과된 큰 임무 가운데 개인에게 돌아가는 몫을 가리키기도 한다. 전도서 기자는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 명령을 지키는 것이 사람의 본분이라고 했다(전12:13-14). 또한 욥기에서는 의무라기보다는 권리나 몫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32:17).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본족 / 본주 / 본지경 / 본질 / 본집 (0) | 2022.09.12 |
---|---|
(성경사전) 본성1 / 본성2 / 본수 / 본심 / 본전 (0) | 2022.09.12 |
(성경사전) 본능 / 본도 / 본동네 / 본디오 빌라도 / 본래 (0) | 2022.09.12 |
(성경사전) 복중 / 복직 / 본 / 본국 / 본궁 (0) | 2022.09.12 |
(성경사전) 복음 / 복장 / 복종 (0)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