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블레곤 / 블레셋 / 블렛사람 / 블론 사람

블레곤 Phlegon

바울이 로마교인에게 보내는 서신 속에서 언급되는 인물로 바울이 문안인사를 보낸 로마의 그리스도인이다(롬16:14).

블레셋 Philistia

구약 시대의 오랜 기간 동안 팔레스타인의 블레셋 평야에 거주하였던 족속의 명칭. 블레셋의 5대 도시는 아스돗, 가사,아스글론, 가드, 에그론이었다(수13:3;삼상6:17). 고지에 위치한 가드 이외의 나머지 도시들은 남부 팔레스타인의 넓은 해안 평야에 자리잡고 있었다. 오늘날의'팔레스타인' 이란 말은 '블레셋' 이란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1. 기원. 블레셋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않다. 이들은 갑돌(렘47:4;암9:7)에서 왔다고 하는데,갑돌은 그레데의 이름이거나 아니면 에게해 지역의섬들을 가리킨 이름인 것으로 믿어진다. 이들은 역사시대에 가나안으로 이주해왔으며 히브리 사람들은 이들의 이주를 기억했음이 분명하다. 블레셋의 도래는B. C. 13세기 말과 12세기 초기에 있었던 지중해 동부지역의 정치적, 민족적 이동과 관련되어 있다. 이 시기 해안 민족들은 고향 땅을 떠나 동남쪽으로 이동하였다. 이들은 우가릿 (고대 도시 국가로 오늘날의 시리아에 해당됨)을 파괴하고 애굽 침략을 시도하였으나B. C. 1191년경의 육해권의 대전투에서 라암셋 3세에격퇴당하였다. 라암셋의 비문은 이들을 유럽인으로그리고 있다. 블레셋은 이들 해양 민족 가운데 하나였는데, 애굽에서 격퇴당한 후 가나안을 침략하여 블레셋 평야에 정착하였다.

2. 문명. 블레셋의 정치조직은 특이하였다. 이들의다섯 도시국가들은 블레셋 사람의 다섯 '방백' 이다스렸다(수13:3;삿16:5), '방백'을 가리키는 세렌(70)은 비셈족어로 도시국가의 통치자를 가리키는 헬라어'튀란노스' (TÙpaos)와 같은 의미를 가졌던 것으로보인다. 블레셋의 도시국가들은 일종의 연맹체로 통합되었음이 확실하다. 블레셋은 이웃한 히브리인들보다 부유하고 기술에 앞서 있었음이 분명하다. 사무엘상 13:19-22에 의하면 이들은 히브리인들이 가지지 못한 야금술을 가졌다. 블레셋이 야금술을 독점하고 있었던 탓에 히브리인들은 이들에게 가서 비싼 값을 주고 농기구를 손질하지 않을 수 없었다(삼상13:21). 이런 상황은 고고학에 의해 확인되었다. 블레셋이 팔레스타인에 들어올 때 철기 시대에 들어서 있었으나 히브리인들은 다윗 시대에 가서야 비로소 그 수준에 도달하였다. 병거(삼상13:5)까지 제조했던 이 기술적 우위로 인해 블레셋은 사사 시대 말엽과 사울 통치기에히브리인들을 군사적으로 지배할 수 있었다. 블레셋이 히브리인들에게 기술을 가르쳤던 것으로 보이는반면, 히브리인들과 가나안 사람들은 다른 방식으로블레셋에게 영향을 미쳤다. 가나안 이주 직후 블레셋은 가나안 사람들의 언어와 셈족 이름들을 채용했던것 같다. 블레셋은 셈족 신들인 다곤(삿16:23;삼상5:17), 아스다롯(삼상31:10), 바알세붑(왕하1:2)을 섬겼지만, 이들이 셈족이 아니라는 것은 성경에서 이들에게자주 사용되는 '할례받지 아니한' (삿14:3)이란 수식어구에서 잘 나타난다.
3. 역사. 사사기는 블레셋을 팔레스타인 점유를 둘러싼 히브리인들의 주요 경쟁자로 언급한다. 유다, 시므온, 단지파는 그 땅이 블레셋과 인접해 있었던 탓으로 이들의 위협을 가장 많이 느꼈던 것 같다. 사사기10:6-7에 블레셋의 압박이 간략히 언급되고 있다. 사사기에 언급된 마지막 구원자였던 삼손의 일생은 블레셋과의 격렬한 투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삿13-16장),힘은 장사였으나 자제력이 부족했던 삼손은 블레셋의정탐꾼인 들릴라의 함정에 빠졌다(16:4-21). 또한 엘리의 사사직은 블레셋의 지배로 특징지어졌던 것 같다(삼상46장), 사무엘은 미스바전투에서 이들에게 승리를거두어 이들에게 빼앗겼던 몇 개의 지역을 도로 찾을수 있었다(7:7-14). 그 이후 왕이 된 사울의 통치의 시작은 좋았으나 히브리인들의 완전 패배로 끝을 맺었다. 블레셋은 요단 서쪽 팔레스타인 전역을 거의 휩쓸어 이스르엘 골짜기 동쪽 끝의 벧산까지 점령했던 것 같다(13:5;14:1-52;17:1-58;31:1-13).
사울 통치 후반기에 사울과 왕위를 다투던 다윗은 블레셋으로 피신하였으며(삼상21:10-15;27:1-28:2;29:1-11), 블레셋은 히브리인들의 약체화를 노려 그를 기꺼이 보호해 주었다. 이 기회를 이용하여 다윗은 블레셋으로부터 쇠를 가공하는 기술을 포함한 많은 것을 배워 후에 왕위에 올랐을 때 요긴하게 사용했던 것이 틀림없다. 다윗이 헤브론에서 통치하던 7년반 동안은블레셋의 가신으로 남아 있었던 것 같다(삼하2:1-4).이 시기가 끝나 독립을 주장하고 모든 이스라엘을 그의 통치 아래 통합시키게 되자 곧 그는 블레셋의 반대에 부딪혔으나 두 번의 전투에서 이들에게 결정적 패배를 안겨 주었으며(5:17-25), 이후부터 블레셋의 지배력은 무너졌다. 이후의 여러 전쟁 (21:15-22;23:9-17)에서 다윗은 이들을 연파하였으며, 이후부터 블레셋은그들 본래의 영토 안에 머물러 더 이상 위협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윗의 용병인 그렛 사람과 블렛사람은 블레셋에서 온 것으로 보이는데(8:18;15:18), 이로 볼 때 다윗은 블레셋과 때로 평화적 관계를 가졌던것이 틀림없다.
솔로몬이 죽고 히브리 왕국이 분열된 후 블레셋은 다윗과 솔로몬에게 잃었던 독립을 다시 주장하였다. 블레셋의 도시들은 이상적인 입지 조건으로 인해 무역에 종사했던 것으로 보인다(욜3:48;암1:6-8). 이 중 일부 도시는 여호사밧 왕에게 조공을 바쳤으나 왕이 죽자 유다를 침략하였다(대하17:11;21:16-17). 그 후 애굽에 이르는 도로를 장악하려 했던 앗수르의 사르곤(B.C. 722-705)이 블레셋 도시들을 점령하여 일부 주민들을 추방시키고 이들을 지배하였다. 히스기야 왕 때 블레셋은 앗수르 왕 산헤립에 저항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에살핫돈(B. C. 681-669)과 앗수르 바니팔(B. C. 668-626) 때에 블레셋은 유다 왕 므낫세와 함께 조공을 바쳤다. 이후에 벌어진 애굽과 앗수르의 여러 전투들은 블레셋 도시들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엄격한 의미의 블레셋 역사의 실질적 종말을 초래했다. 블레셋 도시들은 비유대적 중심지로서 헬라 시대에는 헬라적 도시가 되었다.
4. 창세기에 나오는 블레셋 사사시대 이전에 어떤 블레셋 사람들이 창세기에 언급되고 있으며(창 10:14;26:14), 블레셋 족속의 땅에 대한 언급도 보인다(21:32,34). 그랄의 아비멜렉 왕은 '블레셋 왕'으로 불리운다(26:1;26:1415). 블레셋은 사사시대 이전에는 가나안이 들어오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는 이유로 창세기의 이런 언급들은 시대착오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았다. 후대 이 본문을 손질하여 고유 명사들을 당대의 명칭으로 바꾸어 놓은 것이라는 보다 관대한 판단도 있었다. 아마도 왕국 시대의 편집자가 고유명사들을 그의 시대에 이해되도록 하기 위해 블레셋이란 이름을 창세기에 수정하여 넣었을 가능성도 있다(출13:17;23:31;수13:2-3). 한편 이 문제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다른 하나의 접근법을 제시한다. 민족 이동은 결코 한 세대로 끝나는 법이 없다. 사사시대에 가나안으로 들어왔던 거대한 블레셋의 이동 이전에 족장 시대에 이미 소수의 블레셋 사람들이 먼저 가나안으로 들어왔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B. C. 1191년 침입하는 블레셋을 격퇴하였던 군인들이 섞여 있었다(애굽 비문들에 이전 블레셋 군인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블레셋 사람들은 보다 일찍이 용병으로 애굽 군대에 가담하였음이 분명하다. 더구나 최근의 팔레스타인 발굴에서는 사사시대 이전의 블레셋 사람들의 것으로 확인된 도기들이 출토되기도 하였다. 또한 애굽에 침입한 해양 민족들은 해로가 아닌 육로로도 들어왔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들로 미루어 이미 이삭 시대에 일부 블레셋 사람들이 그랄에 정착하였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이들은 후대와 같은 거대한 적대적 집단이 아니라 장이 다소 우호적 관계를 가졌던 소규모 정착민이었다.

블렛사람 Pelethites
이들은 그렛 사람과 함께 다윗의 호위병을 이루었고(삼하8:18;대상 18:17) 압살롬의 반란을 피해 도망했던 다윗과 동행했었다(삼하15:18). 다윗에 대항한 세바를 잡기 위해 추격한 적이 있으며(삼하20:7). 솔로몬의 대관식에 참석하여 왕을 호위하였다(왕상1:38-39).

블론 사람 Pelonite

다윗이 블레셋과 소수의 적들에 대항하여 싸울 때, 그와 함께 싸웠던 다윗의 용사들 가운데 헬레스와 아히야 두 사람에게 붙여진 호칭이다(대상11:27,36. 그러나 병행구절인 사무엘하 23:26에서 헬레스는 '발디 사람'으로 불리웠고, 사무엘하 23:34에서는 아히야와 동일인으로 보이는 엘리암이 '길로 사람' 으로 밝혀져 있다. 따라서 블론은 발디와 길로 모두를 포함하는 유다 남쪽 산간 지역의 지명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