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영걸 / 영광 / 영구 / 영락없이 / 영문

영걸 mighty one

'강하다', '힘이 세다', '이긴다'는 뜻의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로 군대의 영웅이나 투사를 가리킨다. 구스의 아들 니므롯에 대해 붙여진 표현으로 사용되었다(창108;대상1:10).

영광 glory

1. 구약성경에서. 일반적으로 '영광'은 무거움, 무게, 또는 가치 등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동사 이근 '카보드'에 해당한다. 그것은 사람들이 그들의 부, 훌륭함, 또는 명성을 묘사할 때 사용되었다(비록 후에는'카보드'가 흔히 영예의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이스라엘의 영광은 그들의 군대에 있지 아니하고 여호와께있었다(렘 2:11), 또한 이 단어는 '자신', 또는 '영혼'을의미하기도 한다(창49:6,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인간에게 하나님 자신의 존재, 본성, 그리고 현존하심을 계시하는 것을 의미하며,때로는 물리적인 현상을 동반한다. 모세오경에서, 여호와의 영광은 그분의 백성들과 함께 애굽으로부터 나왔고, 광야를 지나도록 그들을 이끈 구름 속에서 나타나셨다(출16:7,10). 그 구름은 시내산에 머물렀고, 그곳에서 모세는 하나님의 영광을 보았다(출24:15-18). 하나님의 얼굴을 보고 살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출33:20). 그러나 그분의 어느정도의 영광의 모습은주어졌다(출34:5-8). 여호와의 영광은 성막에 충만했고(출40:3435), 그 영광은 특별히 희생제사를 드릴 때에나타났다(레9:6,23). 이러한 구절들은 모두 일종의 ‘우뢰(雨雷)와 같은 신의 현현' 과 연관된 것처럼 보이지만, 그러나 거기에는 또한 온 세계를 통하여 알게 되어질 여호와의 품성을 더욱 암시하는 구절들도 있다(민14:21-22) 역사서들은 성전이 여호와의 영광이 특별히임재하는 곳이 되었음을 말하고 있다(왕상8:11;대하7:13). 예언서에서는 에스겔의 이상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겔1:28) 여호와의 영광은 물질적인 개념으로만이 아니라 나아가 영적 가르침이 함께 나타난다(사40:45;60:1-3). 이사야 선지자가 성전에서 본 이상은 두 가지 개념들을 결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6:1-4).

2. 신약성경에서. 70인역에서는 '카보드'를 '독사'로 번역하고 있는데 성경밖의 헬라어에서 이 말의 의미는 '의견' 또는 '명성'이다. 전자의 의미는 70인역이나 신약성경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카보드' 에 해당하는 단어도 '독사'가 되었던 것이다. 신약성경의 어떤 곳에서는 ‘독사'가 인간의 영광을 언급한다(마4:8;6:29). 그러나 그것은 주로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사업 가운데 하나님의 품성과 현존이 계시됨을 묘사하는데 사용되었다. 그분은 하나님의 영광의 광채이시다(히1:3).
하나님의 영광은 그리스도의 탄생시 목자들에게 보여졌고(눅2:9,14), 그리스도께서 육으로 오신 삶의기간 동안 제자들에게 보여졌다(요1:14), 특별히 그 영광은 그분의 표적에서(요2:11), 그리고 그분이 변화하셨을 때에 나타났다(마17:1-8;막9:2-8; 눅9:28-36), 이것은 모세가 시내산에 오른 것(출24:15), 엘리야가 호렙산에 오른 것(왕상 15장), 그리고 그들이 하나님의 영광을 보았던 것을 기억하게 한다. 이제는 그리스도께서하나님의 영광을 바라보시고 나타나신다. 성막은 세워질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말씀이 예수의육체에 그분의 집을 세우셨기 때문이다(요1:14). 그리고 그분은 영광 가운데 나타나셔서 장차 예루살렘에서 별세하실 것을 말씀하셨으며(눅9:31), 그 영광은 종국에 그분이 재림하실 때에 완전하게 나타날 것이다.
요한복음에서는 특별히 영광의 때란 죽음으로 헌신하는 때를 가리킨다(요7:39;12:23-28;13:31;17:5;히2:9).또한 그의 부활과 승천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영광을 드러낸 것으로서 나타난다(눅24:26;행3:13;7:55;롬6:4;딤전3:16;벧전1:21).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 영광은 재림시에 완전하게 드러날 것이다(막8:38;13:26). 하나님과의 관계성을 위하여 하나님의 형상과 영광으로지음받은(고전11:7) 사람은 죄로 말미암아 하나님의영광에 이르지 못하였으나(롬3:23), 둘째 아담인 그리스도에 의해서 그 영광이 회복되었다(히2:6-9). 예수그리스도의 얼굴에 있는 하나님의 영광은 계속적으로교회에 의하여 나타나고 반사된다(고후4:3-6. 그것은새언약의 영광이며(고후3:7-11), 특별히 현재(벧전4:14)와 또한 장차(롬8:18) 그리스도와 함께 고난 당하는 자들에게 돌아간다. 교회의 목적은 세상이 하나님의 영광은 하나님의 것이라는 것(롬15:9)과 하나님의 영광은 하나님의 역사(deeds) 속에서(행4:21), 신자들에게서(고전6:20), 그리고 무엇보다도 당신의 아들로 말미암아 드러난다고 하는 것(롬16:27)을 인정하도록 돌보아 주는 것이다.

영구 for ever

아주 먼 미래로의 무한한 연속성을 가리키는 말로, '영원', '영속' 과 같은 말이다. 어원적으로 '가장 먼과거' 와 '가장 먼 미래' 사이에 있는 긴 시대를 의미하며, 다윗의 후손과 그 왕국에 대한 영원성을 언약하신 말씀에 사용되었고(시89:28-29), 영원한 천국에 대해 사용되었다(히 10:34;13:14).


영락없이 without fail

조금도 틀리지 않고 번번이 맞아 떨어지는 것, 또는 사람이나 세력이 아주 보잘것없이 된 것을 말한다. 욥기에서 소발의 변론에 대한 욥의 항변에서 악인이 반영하는 것에 대한 묘사로 '수소가 영락없이 새끼를 밴'것으로 표현했다(욥21:10).

영문 camp 

군영의 문을 가리키는 말이다(삼상10:5). 성경에서 이 단어는 '선다', '위치에 닿는다'는 말에서 파생되어 수비대를 뜻하기도 하며(참고, 삼상13:34. 삼하86,14), 이스라엘 백성의 광야에서의 천막 생활이나 또는 예루살렘 성문 밖 오물을 불사르던 골고다의 언덕을 가리켜 사용되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난을 예표하는 구약의 속죄제에 대한 언급에서 히브리서 기자는 “그런즉 우리는 그 능욕을 지고 영문 밖으로 그에게 나아가자" 라고 말한다(히13:13). 이스라엘 백성이 영문 밖으로 쫓겨난다는 것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자격을 잃는 커다란 치욕인데, 그리스도는 우리의 죄를 속하기 위해 고난과 치욕을 받고 성문밖 골고다로 오르셔서 십자가를 지셨다. 그러므로 신자들은 더 이상 안일의 상태에서 만족하지 말고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말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