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예레미야서 / 예레미야 애가 / 예렛

예레미야서 The Book of Jeremiah

선지자 예레미야의 말과 활동을 기록한 예언서로 구약성경의 대예언서 중 두번째 책이다.
1. 명칭. 본서의 명칭은 선지자 예레미야에서 취한것으로, 70인역과 라틴역에서는 '예레미야스'로 기록되어 있다.
2. 저자와 연대. 본서의 저자는 예레미야 선지자로알려져 있다. 구약성경 자체 내에서와(대하36:21;스1:1;렘1:1;36:1-2;단9:2), 신약성경 및 전승들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본서는 대부분 바룩이 대필하였는데 52장은 바룩이나 또는 다른 사람에 의해 첨가된 것으로 보인다. 여호야김 4년인 B. C. 605년에 예레미야는 그의메시지들을 기록으로 남기라는 명령을 받았고(렘36:18), 바둑이 그의 서기관으로 고용되었다. B. C. 627년에시작된 예레미야의 예언 활동에 관한 것을 두루마리에 기록했는데 여호야김이 불태워 버렸다(36:23). 예레미야는 불타 없어진 기록을 다시 쓰라는 명을 받았고(28절), 바룩이 이를 기록하였다. 예레미야가B.C.627년에 예언을 시작한 때(요시야 13년)로부터예루살렘이 함락된 B. C. 586년까지의 연대가 본서의기록 연대이기도 하다. 52장은 적어도 B. C. 562년 이후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52:31).
3. 내용 개요 이스라엘 역사상 가장 암담하고 우울했던 시대를 살았던 예레미야는 유다의 멸망이 필연적임을 예언의 영을 통해 내다볼 수 있었다. 이러한상황 가운데서 그는 먼저 범죄하는 백성들과 정치·종교 지도자들에게 심판의 당위성을 선포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백성들로 하여금 역사적 현실 속에서 삶을 포기하지 않도록 소망과 회복의 예언을 선포하고있다. 본서는 예레미야의 소명(1장), 유다를 향한 예언(2-45장), 열방들을 향한 예언 (46-51장), 예루살렘의 함락(5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다를 향한 예언 중에서도 전반부(2-25장)는 유다와 예루살렘에 대한 경고의 계시로 구성되어 있고, 후반부(2645장)는 전기적인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예레미야의 메시지 선포 방법은 비유, 선교, 상징적 행동을 통한 교훈 등 매우 다양한데, 요컨대 자신의 삶 전체로 메시지를 선포했다고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전반부는 12편의 설교로 이루이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설교는 유다의 고의적 범죄 (2:1-3:5), 제2설교는유다의 심판(3.66:30), 제3설교는 유다의 위선적 신앙(7:1-10:25), 제4설교는 언약을 파기한 유다(11:1-12:17),제5설교는 유다와의 관계 개선(13:1-27)으로 썩은 베띠와 포도주 빙의 풍유가 나온다. 제6설교는 유다에 닥칠가뭄과 기근, 예루살렘의 패망, 예레미야의 내적 갈등에 대한 애가(14:1-15:21), 제7설교는 임할 심판을 상징하는 그의 독신 생활(16:1-17:27), 제8설교는 토기장이의비유와 깨진 오지병의 상징 (18:1-20:18), 제9설교는 유다의 왕(21:1-23:8), 제10설교는 유다의 거짓 선지자들(23:9-40), 제12설교는 70년간의 포로 생활(25:1-38)이다.
후반부인 26장부터는 예레미야의 투쟁의 내용이 다루어진다. 26장은 예레미야의 성전 설교와 그로 인한핍박, 27장은 유다가 바벨론에 대항하는 애굽과 맺은동맹에 대한 경고, 28장은 거짓 선지자 하나냐와의 대면, 29장은 바벨론 포로민과의 서신 왕래, 30-31장은 이스라엘과 유다의 회복과 새언약, 32장은 회복의 상징으로 아나돗에 있는 땅을 예레미야가 매입, 33장은 유다와 예루살렘의 회복, 34장은 시드기야와 방백들에대한 경고의 예언, 35장은 레갑 족속의 충성에 대한예를 들어 불순종한 유다를 책망, 36장은 두루마리에대해 기록하고 있다. 37-38장은 예루살렘 함락 직전의사건들, 39장은 함락 당시의 사건들, 4044장은 함락 후의 메시지, 45장은 바룩을 향한 메시지가 기록되어 있다. 46-51장은 이방 나라에 대한 예언으로, 애굽, 블레셋, 모압, 암몬, 에돔, 다메섹, 게달과 하솔, 엘람, 바벨론 등의 계시를 모아 놓았다. 예레미야서는 예루살렘함락과 성전 붕괴, 포로로 잡혀가는 백성들에 대한 역사적인 사건 기록으로 끝을 맺는다(52장).
4. 문학적 특성. 본서는 부록인 52장을 포함하여거의 많은 장들이 주로 산문으로 기록되어 있으며(7:11;16:19;21:24-29;32-45장), 많은 부분들이 능숙하게표현된 시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예레미야의 시는 고상하고 서정적이다. 문장에서 반복적인 효과를 충분히 활용하였고(4:23-26;51:20-23), 시적 신앙고백, 개인적 애가(15:10-21;17:14-21;20:7-18), 전기(26-29,3645장), 역사적 설명(52장), 신탁(24장), 설교(7:1-15), 풍유(18:112), 상징적 행동(13:1-11;19:1-2,10-11) 그리고 서신(29장) 등의 형태가 나타난다. 또한 수사적 질문(2:32:18:14-15)이나, 격언 형식 (13:12)과 같은 문학적 기교도 보여진다.
5. 신학. 예레미야서의 사상은 하나님과 그의 언약백성과의 관계에 강조점이 주어진다. 예레미야 생애처음부터 끝까지 관계한 분은 하나님이었고, 그 하나님은 선민뿐만 아니라 모든 민족들의 세계사 속에서활동하시는 분이시다. 하나님은 사랑과 진실의 하나님이시고, 인간은 회개하고 하나님께 돌아가는 것 외에는 살 길이 없다(3:12,22;5:3;21:8), 눈물의 선지자 예레미야는 소망을 가지고 희망과 회복의 말씀을 선포했다. 백성이 다시 하나님을 찾을 날이 오게 될 것이며, 하나님과 마음에 기록할 사귐의 '새언약'을 세우게 될 것이며(31:31-34) 그것은 결국 하나님과 백성들사이의 새로운 관계의 정립을 의미했다.

예레미야 애가 The Lamentations of Jeremiah

B. C. 586년 바벨론에 의한 예루살렘과성전의 파괴에 대해 슬퍼하며 기록한 책이다.
1. 명칭. 히브리 정경의 성문서에 해당하며 다섯두루마리 중 세번째 책인 예레미야 애가서의 명칭은1,2,4장의 히브리어 첫 단어인 '에카' 에서 유래되었다. 히브리어 성경의 정식 제목이기도 한 '에카'는'아!', '얼마나', '어찌하여' 라는 뜻으로 비통이나 놀람 또는 애도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랍비들은 애가를뜻하는 키노트(n"p)라는 말을 본서의 제목으로 사용했으나, 시리아 역이나, 벌게이트 역 같은 후기 역본에서는 그 제목을 '예레미야 애가'로 확정하여 사용하였다.
2. 저자와 기록 연대 본서의 저자가 예레미야라는 설에 대해서는 이미 보편화 되어 있는 사실로 여겨진다.그 이유 중 하나가 예루살렘의 멸망이 생생하게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그것을 목격한 사람이 기록했다는 것이며, 또한 내용 중에도 예레미야서에서와 유사한 표현들이 여러 곳에 사용되었다는 점이다.개역성경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다른 역본들(알렉산드리아역, 벌게이트역, 탈굼역)의 서문에는 “때가 되니이스라엘이 포로가 되고 예루살렘은 황폐해졌고, 예레미야는 앉아 울며 이 애가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기록연대는 예루살렘 멸망(B,C, 586)에서 예레미야가 죽은 해 (13, C, 585년경) 사이인 것으로 보여진다.
3. 기록 목적, 단순히 멸망의 아픔을 다시 생각하자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심판 목적을 분명히 밝혀괴로운 과거를 되돌아 보면서 하나님에 대한 소망을저버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4. 문체 및 문학 형식. 본서는 전5장으로 구성되어있는데 1-4장까지는 전통적인 만가로서 답관체(각 연의 첫자가 22개의 히브리 알파벳의 순서대로 되게 하는 시작법) 형식을 취하여 기록되었다. 따라서 각 알파벳이 3절씩 배치되어 66연으로 구성된 3장을 제외한 1,2,4장은 22연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2,4장의경우는 히브리 알파벳 아인)과 페)의 위치가 뒤바뀌는 변칙이 발견되기도 한다. 한편 장도 22연으로구성되었으나 답관체 형식은 아니며 기도시이다.
5. 내용 및 신학. 본서는 예루살렘 멸망에 따른 비탄의 심경과 죄악에 대한 증오심을 간결한 문체로 서술한 5편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화려하고 영화로왔던 예루살렘의 황폐와(1:1-11), 거기에 따른 고통과슬픔을(1:12-22) 기록하고 있으며, 2장에서는 예루살렘에 심판이 임한 궁극적인 이유를 설명하면서 (2:1-19) 하나님께 긍휼을 간구한다(2:20-22), 3장에서는 동족의비극을 자신이 당하는 것으로 묘사하며 하나님께 소망을 둘 것을 말한다(3:1-41). 이어 하나님을 향한 탄식과함께 구원과 대적에게 보복하시기를 기도한다(3:4266. 4장은 포위된 예루살렘의 참혹한 광경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었고(4:1-10), 이것은 종교적 · 정치적 지도자들의 죄악 때문임을 설명하면서도(4:11-20) 미래에대한 소망을 언급한다(4:21-22), 5장에서는 이제껏 노래한 내용을 요약하면서 눈물로써 회복을 간구하고 있다. 특히 내용 전체를 통해서 나타난 애가서의 신학은비참한 현실과 한없는 절망 속에서도 하나님의 신실성을 인식하고, 용서와 회복에 대한 소망을 보여준다.

예렛 Jered 

메렛이 여후디야에게서낳은 유다의 후손 중 그들의 조상이 된 사람(대상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