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래/-사/-일 time to come/things to come
앞날, 미래의 일을 의미한다(사42:23;롬8:38). 성경적으로는 깊은 의미를 가진 말로서, 잠언에서는 소망과 결부하여 미래의 희망이나 소망을 의미하며(잠23:18;24:14), 신약에서는 종말론적 개념으로 앞으로 도래할 하나님 나라를 의미한다(롬8:38;골2:17).
장려1 magnifical
장엄하고 화려함을 의미한다. 솔로몬이 건축한 성전은 외형적으로는 웅장하고 내면적으로도 위엄이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대상 22:5).
장려2 encourage
권하여 힘쓰게 함. 우상을 만드는 자들이 서로 손발이 맞아 부추기며 격려하였으며(사 41:6-7), 성경에 능한 아볼로가 에베소에서 아가야로 갈 때 신도들은 그를 격려 (장려)하며 전송하였다(행 18:27).
장례/-법 burial/burial customs
장사 지내는 예법. 장례의 예법에 대해서는 성경에 비교적 자세하게 언급되어 있다. 장례는 대개 순서에 따라 지내게 되는데 일반적인 순서는 가장 먼저 시체를 씻었던 것 같다(행9:37). 그런 후에는 몰약이나 침향 또는 향유를 시체에 발랐다(요19:39-40). 이렇게 시체를 깨끗하게 하고 향유를 바른 후에는 온몸을 세마포로 싸고, 수족을 베로 동여매고 얼굴 또는 머리를 수건으로 쌌다(마27:59;요 11:44;20:7). 장례는 될 수 있으면 당일에 치를 것을 권장했는데(신21:22;요19:31) 이렇게 준비가 끝나면 부자나 귀족의 경우 바위에 굴을 뚫은 묘실에 시체를 장사지냈고, 평민의 경우는 보통 땅을 파서 장사를 지냈었다(왕하23:6;마27:60; 요11:38). 그러나 일반적인 장례법과는 달리 야곱과 요셉의 경우는 애굽의 장례법대로 미이라로 만들어 장사를 지내기도 했었다(창50:2,26).
장로 elder
나이가 지긋하고 덕이 높은 사람. 히브리어 '자켄' 은 '수염 이란 단어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 성경적으로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인데, 구약에서는 신분있는 귀족적 정치 지도자로, 신약에서는 교회에서 가르치고 다스리고 목회하는 직책을 가진 자를 장로라 일컬었다. 장로의 유래는 출애굽 사건 이후 이스라엘 백성에 대한 모든 재판과 행정적 업무를 모세가 보아야 했는데 혼자서 이 모든 것을 다 처리하기에는 업무가 너무도 과중하였다. 따라서 그 부담을 덜기 위해서 70명의 사람을 선출하게 되었고, 이 사람들이 장로의 유래가 되었다(민 11:16. 구약시대의 장로들은 여러 가지 활동을 하였는데 그 중 가장 주된 임무는 지방행정이었다. 장로는 방백과 같이 지방의 대소사를 처리하고 다스리는 지방행정의 지도자로 그 역할을 담당했었다(수20:4;삿8:14;왕상8:1,3;대하34:29). 또한 장로는 재판을 담당했으며(신 21:19;22:15-18;25:7-9;왕상4:7-19), 왕을 선택하는 일과 왕을 세우는 일도 담당했으며(삼상8:49;삼하5:3), 백성을 다스리는 일에 있어서 왕의 고문 역할도 담당했다(왕상20:7-8). 이 외에도 율법을 낭독하고(신31:9-13) 상업적 거래의 증인으로도 활동했으며(룻4:24) 언약궤를 운반하는 데 동행하기도 하였다(대상15:25). 이러한 장로의 역할은 바벨론에서 포로생활을 하다가 귀환한 후에도 계속되어서 바사의 허락 아래 지방자치 지도자로 세워져 지방을 다스리기도 하였다(스5:9;10:8,14). 이렇게 구약시대에 있어서 장로라는 직분은 사회공동체를 대표하고 관리하는 사회의 중심인물이었다.
신약시대의 장로들은 제사장과 함께 유대인의 정치 및 종교에 있어서 최고 기관인 산헤드린 공회의 회원자격을 가졌었고, 이들은 이들의 정치적, 종교적 지위를 계속적으로 누리기 위해서 걸림돌이 되는 예수를 체포하고 심문하였으며, 사도들에 대해서도 상당히 적대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마 26:3;27:1;28:12;행4:5). 한편, 성전에서 예수와의 권위논쟁을 통해서도 잘 나타나지만 장로는 세상 권세의 대표라는 상징성을 띠기도 한다(마21:23).
초대교회 시대에 와서는 장로의 지위나 역할은 전혀 다르게 나타난다. 장로들은 교회에서 임명했고 안수를 받아야 했으며(행11:30), 교회의 회중들을 가르쳤고, 그들의 생활을 돌보고 다스리는 목회의 사역과 행정적인 감독의 사역을 담당하였다(딤전5:17), 베드로전서 5:1에 의하면 사도들은 자신들을 장로라고 칭하기도 하였다. 신약시대에 둘로 구분되는 장로의 모습은 묘한 대조를 이루고 있는데, 산헤드린 공회 회원인 장로는 정치적, 종교적 권위를 가진 자로 교회의 활동을 핍박하였고, 그리고 초대교회의 장로는 교회와 회중을 섬기는 자로 그 역할을 달리하고 있다. 요한계시록에서도 장로라는 직분이 나타나는데 하늘의 영적존제로서 24 장로는 성도들의 기도를 하나님께 전달하는 일(계5:8)과, 하나님과 어린 양께 경배하는 일을 감당했다(7:11), 24장로는 이스라엘의 12지파와 예수의 12사도로 구원받을 성도들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보기도 한다.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장부 / 장사1 / 장사2 / 장사3 / 장색 (0) | 2022.10.29 |
---|---|
(성경사전) 장립 / 장마비 / 장막(문) / 장망성 / 장모 (0) | 2022.10.29 |
(성경사전) 장단 / 장담 / 장대 / 장대하다 / 장도리 (0) | 2022.10.27 |
(성경사전) 장광 / 장구(하다) / 장군 / 장난(하다) / 장년1 / 장년2 (0) | 2022.10.27 |
(성경사전) 장1 / 장2 / 장가(가다)(들다) / 장검 / 장관1 / 장관2 (0) | 2022.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