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문 모음/송태근목사님

[창세기 강해 시리즈] 13강 육체가 된 인간 | 창세기 6장 1-8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창세기 6장 1절: 하나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

오늘은 창세기 6장을 넘어가겠습니다. 1절에 보면, "사람이 땅 위에 번성하기 시작할 때 그들에게서 딸들이 났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 표현이 조금 어색하게 느껴지지 않으셨나요? "자녀들이 났다"라고 해도 틀린 문장은 아닙니다. 그런데 굳이 남녀를 구분해서 '딸들이 났다'고 표현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이 부분은 후에 나올 어떤 등장 인물과 대조를 위한 포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아들들이란 무엇인가?

이 절에서 하나님의 아들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해석이 분분합니다. 여러 가지 해석이 있지만,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아들들에 대한 세 가지 해석

첫 번째 해석은 '하나님의 아들들'이 천상적 존재, 즉 천사를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성경에서는 천사들이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난 사례가 여러 번 등장합니다. 이러한 해석은 유대 문학과 그 배경에 잘 맞아떨어지지만, 문제는 영적인 존재가 육체를 가진 인간과 결혼한다는 점에서 논리적 모순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 해석은 '하나님의 아들들'이 왕족의 후손들을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고대 사회에서 왕족이나 지도자는 종종 신의 아들로 묘사되었고, 이러한 해석은 당시 문화와 사회적 배경을 잘 반영한 것입니다. 이는 기득권과 권력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해석은 '하나님의 아들들'이 가인의 후손들을 가리킨다는 것입니다. 이는 가인과 아벨의 후손들이 서로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려는 해석입니다. 하지만 이 해석도 완벽한 증거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확신할 수 없습니다.

 

하나님의 아들들이 본 것: 아름다움

창세기 6장 2절에 보면,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의 '아름다움을 보았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아름다움'이라는 단어는 창세기에서 자주 등장하는 '토브'라는 단어와 관련이 있습니다. '토브'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모든 것이 '좋다'고 말씀하신 그 단어입니다. 그러나 사람에게 사용될 때는 긍정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의미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아름다움은 단순히 외적인 매력을 의미하며, 내적인 영적 가치나 경건함은 고려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당시 사회가 외모나 겉모습에 지나치게 집중했음을 보여주는 예입니다.

 

하나님의 심판과 120년의 유예

결국, 이 사건은 하나님의 심판으로 이어집니다. 하나님은 사람들의 악행을 보시고 '영원히 사람과 함께하지 않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인간이 육체적인 존재로서 죄와 부패에 빠졌음을 의미합니다. 그 결과, 하나님은 120년을 유예 기간으로 주시며, 그 동안 회개하고 돌아오기를 기다리신 것입니다.

하나님의 심판은 결코 급작스럽지 않았습니다. 120년이라는 기간은 인간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자비와 기다림의 시간이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하나님은 사람들이 회개하기를 원하셨고, 그들의 악한 행위에 대한 심판이 예정되어 있었습니다.

 

결론: 하나님의 자비와 인간의 반응

하나님은 인간의 죄악을 보시고 슬퍼하시지만, 동시에 그들을 구원하고자 하시는 자비로운 마음을 가지셨습니다. 하나님은 결코 심판을 즐기지 않으시며, 오히려 사람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리셨습니다. 120년의 유예 기간은 그들의 회개를 기다리는 하나님의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도 하나님의 자비를 깊이 이해하고, 우리의 삶에서 그분의 뜻을 따르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의 회개와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계십니다.

 

풀버전 영상을 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