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경고(하다) / 경기하다 / 경내 / 경대하다 / 경도

경고/-하다(oracle)

경성하도록 충고함. 성경에서는 주로 하나님의 뜻을 알리는 것에 대해 사용되었다. 특히 이 말은 이스라엘과 이방 나라들에 대한 말씀 선포를 가리켜 쓰였는데, 바벨론(사13:1;14:28), 니느웨(나1:1), 이스라엘(말1:1), 애굽(사19:1), 두마(21:11) 등이 그 나라들이다. 또한 이 말은 선지자의 메시지나 하나님의 계시를 가리켜 쓰이기도 했다(사13:1;14:28;15:1;17:1;렘1:1;슥9:1). 신약에서는 '뜻을 알려주다, 말씀을 받다'라는 의미로서, 노아의 신앙과 광야에서의 이스라엘의 반항에 대해 사용되었다(히11:7;12:25).

 

경기하다(strive for mastery)

서로 기예를 겨루는 것을 말한다. 바울은 전도자로서의 자세와 임무를 말하는 내용에서 운동 경기를 비유로 들어 경기 규율에 대한 훈련을 교훈하였다. 즉, "경기하는 자가 법대로 경기하지 아니하면 면류관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것이다(딤후 2:5).

 

경내(border)

일정한 지역의 안쪽으로, 지리적인 구분을 정하는 것을 가리킨다. 한 나라에 속한 땅의 경계 혹은 그 나라 안의 세분도니 땅의 경계, 영토 전체를 명시하는 데 사용되었다(출10:4;민32:33;신28:40;삼하21:5;시147:14;사60:18;렘31:17).

 

경대하다(honor)

공경하여 접대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 하나님, 왕, 부모, 연장자, 가난한 사람들을 존경하고 보상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성경에서는 과부를 경대하라는 말에 쓰였다(딤전5:3). 여기에는 도덕적인 존경은 물론 재정적인 지원도 포함된다. 

 

경도(menstruation)

월경. 원어상으로 '부정', '흐르는 것'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말로서, 월경을 부정하게 여겼던 고대에는 산모에 대한 정결 규정이 있었다. 산모는 아들을 낳은 경우에는 7일간, 딸을 낳은 경우에는 14일 동안 부정 기간으로 여겨져 사람을 대할 수 없었으며, 그 후 남아의 경우엔 33일, 여아의 경우엔 66일을 성소와 성물을 접촉할 수 없는 부정 기간으로 정했다(레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