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다(Cuthah)
고대 바벨론의 가장 중요한 성읍의 하나로, B.C. 721년 앗수르 왕 사르곤 2세가 사마리아를 차지한 후에 구다 사람들을 이곳으로 이주시켰다(왕하17:24,30). 왕하17:30에서는 '굿' 사람으로 기록되었다. 사마리아로 이주할 때 각 민족은 자기들의 신들을 만들었는데 구다 사람들은 네르갈(지하세계의 신)을 만들어 섬기면서 한편으로는 여호와를 경외하기도 하였다(17:30-33). 이런 종교혼합 때문에 유대인들로부터 멸시를 받았다(요4:9). 바벨론에서 북동쪽으로 32km 지점에 있는 '텔 이브라임'과 동일시되고 있다.
구더기(worm)
파리의 유충, 파리류, 등에류 등 애벌레를 총칭하는 것으로, 뼈가 없고 둥근 테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욥의 육체에 닥친 질환으로 온몸에 구더기가 득실거린 것(욥7:5), 차라리 죽어 구더기에게 먹히는 것이 더 낫겠다고 생각되는 지독한 고통(17:14), 인간의 부패성과 연약성을 구더기 인생에 비유한 빌닷의 말(25:6)에 사용되었다. 이사야는 바벨론에 대한 예언에서 "구더기가 네 아래 깔림이여 지렁이가 너를 덮었도다"라는 말로 경고하였다(사14:11). 신약에서는 지옥에서 사는 죽지 않는 벌레로 기록되어 있다(막9:48).
구덩이(pit)
땅의 한 면이 움푹하게 패인 곳으로, 자연적으로 생긴 것이나 혹은 빗물이 고이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 놓은 것, 또는 사람이나 동물들을 생포하기 위해 덫과 같이 파놓은 함정 등을 가리킨다. 싯딤 골짜기에는 역청 구덩이가 많이 있었으며(창14:10), 요셉은 형들의 미움을 사서 구덩이에 던져졌다(창37:20,22,24,28-29). 비어 있는 구덩이는 덫으로도 사용되었는데, 간혹 동물들이나 부주의한 사람들이 빠지기도 하였다(출21:33-34;마12:11). '구덩이'는 멸망과 파멸, 죽음이나 음부를 나타내는 비유적 표현으로도 사용되었으며(시94:13), 하나님의 심판(사24:17-18), 악인의 음모(렘18:20), 음녀와 이방여인(잠23:27 '구렁이')과 관련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예수께서는 "소경이 소경을 인도하면 둘이 다 구덩이에 빠지리라"고 말씀하셨는데, 이는 파멸을 뜻하는 표현이다(마15:14;눅6:39). 베드로는 태초에 하나님의 천사들이었던 자들이 스스로 타락하여 지옥, 곧 음부의 최하층에 던져지는 심판을 받게 되었다고 말하면서 이 말을 사용했다(벧후2:4). <참조> 음부1, 깊음8항
구렁(pit)
'음푹 패어 들어간 땅', '깊이 빠진 곳'을 말한다. 누가복음 16:26에서 사용되었는데, 여기서의 구렁은 죽은 부자의 거처인 음부와 아브라함의 품, 곧 낙원에 있는 나사로의 거처 사이를 갈라놓는 영원한 분리 상태를 강조한 말로서, 도저히 이 구렁을 건널 수 없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구레네(Cyrene)
북아프리카의 서쪽에 위치한 헬라의 도시로서, B.C.630년경에 데라와 크레테 섬에서 온 사람이 건설했다. 펠로폰네소스 반도로부터 온 이주민들을 받아들여 번성했으며, B.C. 5세기 중엽까지는 바티아드 왕조의 통치하에 있다가 B.C. 331년 알렉산더 대왕에게 넘어갔다. B.C.96년 로마에 흡수되어 자유가 주어졌으며, 크레테에 합병되었다. 대다수의 구레네 시민들은 헬라어를 할 줄 아는 유대인들이었다. 신약시대 당시 이곳에는 많은 유대인들이 살고 있었는데, 예수의 십자가를 억지로 지고 간 시몬도 이곳 사람이었다(마27:32;막15:21). 구레네 사람들은 오순절에 예루살렘에 왔으며(행2:10), 초대교회의 스데반 집사는 구레네인과 알렉산드리아인에게 속해 있던 회당에서 변론을 했다(행6:9). 당시 구레네는 학술과 문화가 번창한 도시였는데, 오늘날 지중해에서 150km 정도 떨어진 고원지대에 있는 리비아의 수도 '트리폴리'를 가리킨다.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구르바알 / 구름 / 구름기둥과 불기둥 (0) | 2022.06.30 |
---|---|
(성경사전) 구레뇨 / 구로하다 / 구류하다 / 구르 / 구르다 (0) | 2022.06.30 |
(성경사전) 교훈 / 구걸(하다) / 구경(하다) / 구경거리 / 구니(가족) (0) | 2022.06.30 |
(성경사전) 교활(하다) / 교회 (0) | 2022.06.30 |
(성경사전) 교중 / 교창 / 교통 / 교합(하다) / 교환 (0) | 202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