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뻐하다(rejoice)
즐거워하는 것, 즉 마음에 즐거움을 느끼는 것을 뜻한다. 감정적인 기쁨을 경험하는 것은 사람이나 하나님, 사건이나 사물을 통해 가능하였다. 이 단어는 특정한 백성을 기뻐하신 하나님께 대하여 사용되었다. 다윗은 그의 구원의 노래 가운데서 하나님께서 그를 기뻐하셨기 때문에 그를 구원해 주셨다고 말한다(삼하22:20). 시바의 여왕은 하나님이 솔로몬을 기뻐하셨기 때문에 그를 구원해 주셨다고 말한다(삼하22:20). 시바의 여왕은 하나님이 솔로몬을 기뻐하셨기 때문에 하나님을 찬양하였다(왕상10:9). 하나님께서는 안식일을 지키고 그의 율법이 준수되는 것을 기뻐하시며(사56:4), 또한 자신이 기뻐하시는 행위들을 하신다(시115:3;135:6). 느헤미야는 하나님께서 그의 이름을 두려워 하기를 기뻐하는 자들의 기도에 귀기울여 달라고 기도하였다(느1:11). 이 단어는 하나님의 은총이나 호의(신33:16;시5:12;사60:10), 하나님의 열납하심(출28:38;레1:3), 인간과 하나님의 바람이나 뜻(대하15:15)을 의미하기도 한다. 시낮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인하여 기뻐해야 하며(빌4:4;살전5:16), 그로 인한 고난과 굶주림도 기뻐하면서(고후12:10;벧전1:8) 범사에 진리 안에서 행해야 한다.
기쁨(joy)
히브리어로, 외적 표현을 뜻하는 '심하'(동사형 '사마흐')와 보통 덜 사용되는 '길'(동사와 명사)이다. 헬라어로, 강렬한 기쁨을 의미하는 '카라'(동사형 '카이로')와 '아갈리아시스'(70인역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히브리어 '심하'에 상응함)이다. 구약과 신약에서 기쁨은 신자 개인과 교회 공동체적인 일관된 표시이다. 그것으 하나의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하나님 자신에 기초되어지고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하나의 기질이다(시16:11;빌4:4;롬15:13). 그것은 땅위의 그리스도인들의 삶을 특징지워주고(벧전1:8), 또한 천국에서 영원토록 그리스도와 함께 있는 종말론적인 즐거움을 예시한다(참고. 계19:7).
1. 구약성경에 나타난 기쁨. 기쁨은 이스라엘 국가 전체와 종교 생활에 관계된다. 그리고 그것은 축제나 제사 그리고 왕위 제관식에서 소란스런 말이나 떠들썩한 흥분으로 특별하게 표현된다(신12:6이하;삼상18:6;왕상1:39이하). 자발적인 기쁨은 시편 여러곳에 나타난 특징인데 그것은 크게 성전에 모였던 공동예배(시42:4;81:1-4)와 개인적인 찬양(시16:8이하;43:4)의 표시이다. 이사야는 단순히 의식적인 말(참고. 시126편)이 아닌 다른 말로 기쁨을 생각했다. 그리고 그는 하나님의 구원의 완성으로나(우주적인 즐거움이라는 말로) 다가올 메시야 시대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기쁨을 연상했다(사49:13;61:10이하). 결과적으로 후기 유대주의에서는 기쁨이 종말적인 본문에 있어 가장 큰 특징으로 나타난다.
2. 신약성경에 나타난 기쁨. 공관복음에서는 다양한 형식들로서 하나님 나라의 복음선포에 관련된 기쁨의 표시를 기록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구주의 탄생(눅2:10)에서, 승리의 입성(막11:9이하;눅19:37)에서, 부활 기사(마28:8) 이후에서 나타나 있다. 4복음서에서 이 기쁨을 전달하는 사람은 예수님 자신이다(요15:11;16:24). 그리고 그것은 교회와 그리스도 사이의 깊은 교제의 결과가 된다(참고. 16:22). 사도행전에서 기쁨은 초대교회의 생활을 표시한다. 그것은 제자들에게 주어진 성령의 은사(행13:52)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베풀어진 기적들(8:8), 그리고 이방인들이 회심한 사실과 보고(15:3)에서 오며 그것은 또한 성도의 애찬의 특징이기도 하다(2:46). 바울은 '카라'라는 말을 세 가지 용례들로 사용하고 있다. 첫째로,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가 된 성도들이 믿음의 진보를 보일 때이다.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들과 특히 그가 그리스도께로 인도한 사람들의 믿음의 진보는 기쁨의 원인이었다. 그는 실제로 '우리의 기쁨'(살전2:19이하. 참고. 빌2:2)으로 그것을 설명한다. 둘째로, 그리스도인의 기쁨은 역설적으로 그리스도를 위한 고통과 심지어 슬픔의 결과일 수 있다(골1:24;고후6:10. 참고. 벧전4:13;히10:34). 그것은 우리 자신으로 말미암지 않고 주님으로부터 생기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기쁨은 실제 성령의 은사(갈5:22)이며 그럼으로 정적인 것이 아닌 동적인 어떤 것이다. 더욱이 그것은 하나님과 우리의 사랑에서 생겨난다. 사랑은 바울의 성령의 열매의 목록들 중에 사랑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그러나 그것은 죄로 인해 빼앗길 수 있는 은사이므로 모든 신자들은 매일 주님과 통행하고 그와 그의 구원에 대한 지식으로 매일 즐거움을 경험함으로 그리스도의 기쁨을 공유하도록 요청받는다(살전5:16;빌3:1;4:4;벧전1:8).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기세 / 기손강 / 기숙하다 / 기술 / 기스 (0) | 2022.07.09 |
---|---|
(성경사전) 기사 / 기상 / 기색1 / 기색2 / 기생 (0) | 2022.07.09 |
(성경사전) 기브아1 / 기브아2 / 기브아 사람 / 기브온 (0) | 2022.07.09 |
(성경사전) 기별 / 기병 / 기부앗 / 기브롯 핫다아와 (0) | 2022.07.09 |
(성경사전) 기명1 / 기명2 / 기묘 / 기묘자 / 기물 (0) | 202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