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하다(remember)
잊지 않고 외워 두는 것, 또는 한번 지각 하였거나 경험한 사물, 사건을 잊지 않고 재생하는 작용을 말한다. 주의를 기울이는 것과 같은 내적인 정신적 행위들을 언급하여 그 내적인 행위에 상응하는 외적인 행위들을 나타내기도 한다. 하나님께서 그의 언약을 기억하는 것은 그의 백성들을 구원하거나 그들을 보존하는 결과로 나타나며(출2:24);레26:44-45), 반대로 죄를 기억한다는 것은 은총을 철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호7:1-2). 하나님께 기억해 달라고 간구할 때 그 의미는 주목해 달라는 것이다. 사람들에게 있어서도 기억하는 것은 행위를 초래해 회개(겔6:9)나 계명들(민15:40)을 준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땅의 모든 끝이 여호와를 기억한다는 것은 곧 회개하는 것을 뜻하며(시22:27), 정치 관계에서 조약을 기억하지 않는 것은 그것을 깨뜨리는 것이다(암1:9). '기억한다'는 말에는 '암송하다', '간주하다'의 의미도 내포된다. 하나님의 놀라운 일들을 기억하는 것은 하나님의 행위에 대한 공적을 낭송하고 암송하는 것을 가리킨다(대상16:12;시105:5). 한 집단에 대한 기억의 상실은 그 집단의 완전한 멸망을 의미한다(출17:14;욥18:17;전9:5). '기억'은 기념적인 절기를 준수하는 것을 가리킬 수도 있으며(에9:28), 하나님에 대한 기념, 주의를 의미하기도 한다. 하나님께서는 노아와 아브라함, 잉태하지 못하는 라헬, 한나와 같은 사람들을 기억하시며, 하나님의 백성과 맺으신 자신의 언약(창9:15;출2:24;대항16:15;시105:8;겔16:60), 불변하는 사랑(시98:3) 등을 기억하신다. 그러나 죄, 악행(호7:2), 부정(호8:13;9:9;계16:18;18:5)은 때로 기억하지 않으시기도 한다(사43:25;렘31:34). 반면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에게 안식일과 계명을 기억하고 지키라고 명하신다(출20:8;민15:39).
모세는 이스라엘에게 하나님과 그분이 이루신 구원 행위(신8:18;시42:6), 광야 여행(신8:2), 출애굽 사건(신11:3) 등을 기억하라고 명했다. 기억은 설교와 신성한 낭송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주로 기도를 통해 하나님께 기억해 주실 것을 호소하였다. 성경에서 이렇게 기도한 대표적인 사람으로는 삼손(삿16:28), 한나(삼상1:11), 솔로몬(대하6:42), 히스기야(왕하20:3), 욥(욥7:7) 등이 있다. 예레미야는 하나님께 그의 언약을 기억해 달라고 간구하였고(렘14:21), 시편의 기자들은 하나님께 자신들의 젊었을 때의 죄는 기억지 말고 자신들이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사실만을 기억해 달라고 간구하였다(시25:7). 하나님을 기억하는 것은 낙심한 자를 소생시키며, 하나님 안에서 누리는 영적 생명력과 기쁨을 재창조해준다. 시편의 기자는 '내 영혼이 내 속에서 낙망이 되므로 내가 주를 기억하나이다'(시42:6)라고 말하였다.
신약에서도 '기억하다'라는 것은 단순한 정신적 행위가 아니라 어떤 말이나 행동이 기억을 되살리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수의 유년기에 관한 누가의 기사는 구약에서처럼 하나님의 기억하심과 그의 구원 행위를 연결짓고 있다(눅1:54). 하나님은 더 이상 자기 백성들의 죄를 기억하지 않으시며(히8:12), 고넬료의 기도와 구제도 기억하신다(행10:4). 아브라함은 부자에게 생전에 그가 누린 좋은 것들을 기억하라고 말하며(눅16:25), 죽음을 앞둔 강도는 예수께 그의 나라에서 자기를 기억해 달라고 청한다(눅23:42). 예수께서 부활하신 후 예수의 사역에 대한 제자들의 기억은 이해를 의미하며(눅24:6,8), 새롭고 진정한 지식으로서의 기억은 성령의 사역에 속한다(요14:26). 교회는 사도 바울과 그의 가르침을 기억해야 하는데(고전11:2), 이 기억은 단순히 지식적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행함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이다(벧후3:2).
기업(inheritance)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재산과 사업을 뜻하는 말로 '지역', '영토의 몫'이라는 말과 함께 많이 나타난다. 토지와 영토는 기업의 형식으로 주어져 자손 대대로 물려졌으며, 이러한 물질적인 것 외에 영적인 것, 이스라엘 백성, 시온 산, 성전 등도 기업으로 일컬어졌다(출34:9;신9:26;시79:1).
이스라엘에서는 모든 아들이 아버지 재산을 상속받을 수가 있었는데, 장자는 다른 아들이 받는 분깃의 두 배를 받았다(신21:15-17). 아들이 없고 딸만 있는 경우에는 딸들에게 기업이 전해지고(민27:1-11), 딸도 없으면 그의 형제들, 그의 아버지의 형제들, 가까운 친족 순으로 돌아갔다. 딸이 아버지의 기업을 받았을 때에는 그 기업이 다른 지파로 옮겨가지 못하도록 아버지 지파 이외의 사람과는 결혼하지 못하였다(민36:6). 종과 첩에게서 태어난 아들에게도 기업은 전해졌다(삿8:30-31;겔46:16-17). 외인 거주민도 자녀가 있으면 기업을 받았으나(겔47:22), 제사장들은 기업이 없었다(겔44:28). 가나안 땅은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 이스라엘에게 약속하고 주셨던 기업이요(출6:8;신12:10), 이스라엘 백성은 또한 하나님의 기업이었다(신9:26,29;시28:9). 하나님의 종들에게는 하나님의 보호하심에 대한 약속이 곧 기업이며(사54:17), 하나님은 당신을 섬기는 백성들에게 열방을 기업으로 주시고, 안식일을 거룩하게 하는 사람에게 조상 야곱의 기업으로 기를 것이라고 약속하셨다(사58:14). 레위인들의 기업은 제사장 직분이며(수18:7), 시편 기자는 주의 증거로 영원히 기업을 삼았다(시119:111).
신약에서도 '기업'은 아버지로부터 아들에게 재산이 양도되는 것을 가리킬 뿐만 아니라 심오한 신학적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성도가 누리는 기업은 영생과 하나님 나라에의 참여(마19:29;엡1:18;골1:12)인데, 이는 하나님의 아들이자 만물의 상속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주어진다(롬8:17;히1:2). 복음의 약속은 믿음과 오래 참음을 통해 받는 기업으로 신실하게 순종하는 자에게 주어지며, 성령께서는 성도 안에서 그 기업의 영광의 보증이 된다(롬4:13;골3:24;히6:12). 이 기업은 유대인 뿐만 아니라 이방인을 포함한 참된 신자가 받는 것이며(엡3:6), 기업은 하나님 나라와 그 일체의 축복을 포함하고 있다(마25:34;고전6:9;갈5:21). 신약에서 기업은 철저하게 그리스도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대제사장과 새 언약의 중보자로서의 그리스도는 영원한 기업의 약속에 이르게 하는 방편이 되신다(히9:15).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기이하다 / 기적 (0) | 2022.07.11 |
---|---|
(성경사전) 기오 / 기와 / 기운 / 기울다(기울이다) / 기윤 (0) | 2022.07.10 |
(성경사전) 기시온 / 기식 / 기아 / 기악 / 기약 (0) | 2022.07.10 |
(성경사전) 기스바 / 기슬래월 / 기슬론 / 기슬롯 다블 / 기슬르월 / 기시 (0) | 2022.07.09 |
(성경사전) 기세 / 기손강 / 기숙하다 / 기술 / 기스 (0) | 202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