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오빌로(Theophilus)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수신자로 기록된 이 이름이 실존 인물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각하'라는 호칭은 그가 고위 관직에 있었던 사람으로서 그리스도인으로 개종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데오빌로라는 이름은 당시 매우 흔했던 이름으로 본명이라기보다는 세례명일 가능성이 훨씬 높다. 그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그가 로마인인지, 헬라인인지, 유대인인지도 알 수 없으며, 또한 누가복음에서 부르고 있는 '각하'라는 경칭(눅1:3)이 사도행전에서는(행1:1) 왜 삭제되어 있는지, 즉 누가복음 헌정 후 누가와 데오빌로와의 관계가 친숙해졌기 때문인지 아니면 기독교 신앙의 고백으로 그가 관직을 떠나게 되었기 때문인지 그 어느 것도 지금으로는 알 수 없다.
데해 사람(Dehavites)
예루살렘 중건에 항의하여 아닥사스다에게 보냈던 상소문에 서명했던 부족들 가운데 하나로, 오스납발에 의해 사마리아로 강제 이주된 자들로 성경에 기록되어 있다(스4:9). 그러나 한편으로는 에스라 4:9의 아람어 원문의 '대하웨'는 '즉', '다시 말하면'의 뜻을 가진 '디 후'의 잘못된 표기로, 데해란 족속의 이름이 아니라 부연 설명을 위한 부사어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반면, 맛소라 학자들은 이곳에 '데하예'라는 케레 전승을 표기하고 있어 고유명사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정확한 판정이 어려운 상태이다. 개역성경은 전통적 견해를 따라 부족의 이름으로 포함시키고 있으나, 공동번역은 '수산 사람, 즉 엘람 사람'으로 번역하고 있다.
델라(Telah)
에브라임 지파 사람이며, 레셉의 아들이고 다한의 아버지, 여호수아의 조상 가운데 하나다(대상7:25-27).
델렘1(Telem)
에스라와 동시대 인물로서 레위인이며, 이방 아내를 취한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스10:24).
델렘2(Telem)
유다 남부의 한 성읍(수15:24)으로 현재의 위치는 분명하지 않다. 사무엘상 15:4의 '들라임'과 같은 곳으로 여겨진다.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도가니 / 도갈마 / 도겐 / 도고 / 도끼 (0) | 2022.08.09 |
---|---|
(성경사전) 델멜라 / 델아빕 / 델하르사 / 도1 / 도2 / 도3 (0) | 2022.08.09 |
(성경사전) 데살로니가 / 데살로니가전서 / 데살로니가후서 (0) | 2022.08.08 |
(성경사전) 데메드리오 / 데므니 / 데바 / 데베스 / 데벳월 (0) | 2022.08.08 |
(성경사전) 데마1 / 데마2 / 데마3 / 데마4 / 데만1(사람) / 데만2 (0) | 2022.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