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멜라(Tel-melah)
바벨론의 한 성읍. 페르시아 만에서 북쪽으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염전지대로, 포로 귀환 때 이곳 주민들도 예루살렘으로 돌아왔으나 그 혈통이 유대에 속했는지는 밝힐 수 없었다(스2:59;느7:61).
델아빕(Tel-abib)
바벨론의 한 성읍.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간 유대인들이 정착했던 마을로 그발 강가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의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다. 에스겔이 성령에 사로잡혀 이곳에서 칠 일을 머물렀다(겔3:15).
델하르사(Tel-harsha)
바벨론의 한 성읍으로 포로로 끌려갔던 유대인들이 정착했던 곳이다. 포로귀환 때 그곳 주민들도 예루살렘으로 올라왔으나 그들의 혈통이 유대에 속해 있었는지를 증명하지 못했다(스2:59;느7:61).
도1(way)
길이란 뜻이지만 일반적으로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히브리어로 '걷다'를 의미하는 동사 '다라크'와 같은 어근의 이 말은 주로 비유적인 용법으로 쓰여서 '주의 도', '여호와의 도'와 같이 표현된다(시77:13;슥3:7). 이것은 하나님의 백성이 지켜야 할 율법의 명령, 법령 등을 의미한다. 의인은 여호와의 도를 행한다(시119:14,33,37).
구약에서의 율법의 도는 신약에서 율법적 명령을 넘어서는 완성된 새계약으로 발전하였다. 이 도는 '그리스도의 도'이며 '십자가의 도'이다(고전1:18;히6:1). 그리스도는 십자가 사건을 통하여 하나님의 율법이 완성되었음을 몸으로 가르쳐 주셨다.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이 지켜 행해야 할 규범은 바로 그리스도께서 완성하신 '그리스도의 도'이다.
도2(province)
지방 행정관의 감독하에 있는 영토를 가리키는 말로, 구약에서는 아합 왕 때에 각 방백들에 의해 분할 통치되던 행정구역을 이렇게 불렀는데(왕상20:14-15), 후에 바벨론과 바사의 행정구역도 이렇게 불리웠다(스2:1;에8:17). 신약에서는 이 단어가 '영지'로 번역되어 있다(행23:34). <참조> 영지
도3(step)
히스기야가 죽을 병에 걸렸다가 하나님의 은혜로 다시 목숨을 연장 받았던 증거로 '해 그림자를 10도' 물러가게 하였던 곳에서 사용된 말이다.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원어는 원래 '계단'을 의미하는 말인데 '해 그림자가 10도 물러갔다'는 것은 현대의 기하학적 의미에서의 10도라기보다는 '계단 열 칸 정도에 해당하는 만큼의 그림자가 역으로 이동했다'는 뜻이 된다(왕하20:9-10).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도다님 / 도다와후 / 도단 / 도대 / 도도 (0) | 2022.08.09 |
---|---|
(성경사전) 도가니 / 도갈마 / 도겐 / 도고 / 도끼 (0) | 2022.08.09 |
(성경사전) 데오빌로 / 데해 사람 / 델라 / 델렘1 / 델렘2 (0) | 2022.08.08 |
(성경사전) 데살로니가 / 데살로니가전서 / 데살로니가후서 (0) | 2022.08.08 |
(성경사전) 데메드리오 / 데므니 / 데바 / 데베스 / 데벳월 (0) | 2022.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