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거 accusation
사실의 증명이 될 만한 근거, 표를 말한다. 성경에서는 사법적인 의미의 '고소하는, -에 대하여 좋지 않게 말하는' 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예수와 바리새인들과의 안식일 논쟁 기사(눅6:1-11)에서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예수를 송사하려고 그 빙거를 찾는다는(7절) 내용이 그 예이다. 한편 빌립보서에서는 명백한 사실에토대해 '증명' 한다는 뜻으로 이 단어가 사용되었다.바울은 복음으로 인한 그리스도인의 고난은 구원의빙거요, 대적하는 이들에게는 멸망의 빙거라고 언급한다(빌1:28).
빙물 dowry
하나의 결혼 선물로서 신부의 남편이 그녀를 저버리거나 혹은 죽을 가능성에 대비하여 신부의 경제적, 재정적 안정을 보증해 주는 것이다. 예비 신랑이나 그의 아버지는 신부를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결혼 지참금 혹은 신부값을 신부의 아버지에게 지불한다. 만일 그녀의 아버지가 그빙물을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하면 그 신부는 아버지에게 항의할 수 있다(창31:15). 게다가 신부는 그녀의아버지로부터 결혼 선물(예물)도 받는다(삿1:15). 빙물의 양은 그 특별한 부족들 혹은 일족들의 관습과 그 쌍방이 관련된 경제적, 사회적 계급에 달려 있다(삼상18:23-27, 봉사가 돈을 대신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구절이 있다. 비교, 창29:15-30;수15:16-17). 미래에 대한 경제적 안전을 보장할뿐만 아니라 빙물은 또한 신부가가정을 떠나서 그녀 남편의 가족에 참여하게 됨을 인하여 신부 가족에게 미치는 경제적 손실에 대해 신부와 그녀의 가족에게 보상하는 것이다(창24:53;34:12).신명기 22:29은 그 가격이 노예에게 지불되었던 30세겔보다 훨씬 많은 양의 금액인 은 50세겔임을 보여준다(출21:32, 비교․ 레27:1-8), 빙물의 지불은 공식적인결혼 예식과 결혼 준비 이전에 그 결혼을 하나의 합법적인 사실로 만든다. 고대 근동의 서로 다른 문화권의문헌들은 비슷한 관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신부들은대개 빙물을 그들의 아버지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받는다.
빙자 by
남의 힘을 빌어서 의지하거나, 말막음으로 내세워 핑계하는 것을 뜻한다. 성경에서는 ‘를 시켜’, ‘를 도구로 사용하여’, ‘를 통하여'라는 의미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며(출35:29,삼하23:2; 왕상8:56;겔25:14; 호12:10;슥7:12) 때로 -를 의지하거나, 의 힘을 빌려' 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미4:5; 마9:34; 행 19:13). 하지만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때는 '을 허울로', '을 이용하여'와 같이 악용하다는 의미로 사용된다(시 94:20;13:3).
빙폐 dowry
공경하는 뜻으로 보내는 예물을 말하며, 개역성경의 '물'과 히브리어 원어상 의미가 같다. 원래는 관례적인 결혼 비용을 가리키는 말인데, 대개는 신부를 사들이는 자금이나 예물을 가리키는 말로 더 많이 사용되었다. 이것은 현금뿐만 아니라 노동으로 지불되기도 했다.신부료는 신부의 신분에 따라 액수가 정해졌다고 한다. 바벨론 법에 의하면 은 1세겔에서 50세겔에 이르기까지 액수가 다양했으며, 그 돈은 약혼녀나 그 부친에게 지불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 돈은 약혼녀의 아버지가 사망시에, 또는 딸의 남편이 죽어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때 딸에게 귀속된 것으로 추측된다(창31:15). 야곱은 레아와 라헬과 결혼한 것에 대해 봉사로 그 값을 갚았고 (창29:15-30), 다윗은 사울의 딸 미갈을 얻기 위해 전쟁에서 영웅적 행동을 하였다(삼상18:25-27). 이 단어는 개역성경 가운데 출애굽기 22:16-17에서만 사용되었는데, 공동번역에는 '납폐금', 새번역에는 '신부의 몸값'으로 번역되어 있다.
빚/-진 자 debt
이스라엘에서는 가난한 자에게 돈을 꾸어주는 것은 허락되었으며 이 경우 채권자는 자신의 권리를 위해 저당물을 설정할 수는 있었으나 여러가지 제한이 따랐다(출22:26-27;신24:6). 또한 이자를 취하는 일도 금지되었다(출22:25;신23:19;레25:36). 왜냐하면 돈을 꾸어주는 것이 영리적 목적이 아니라 가난한 자의 구제를 위함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방인에게는 이자를 받아도 되었다. 모든 빚은 7년이 되면 다 탕감해주어야 했는데 이러한 규정이 안식년과 정확히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알 수 없다(신16:1-4). 한편 빚으로 인한 절박한 사정에 처했던 선지자의 생도의 아내 이야기(왕하4:1-7), 각 선지서에 나타난 고리대금의 죄악상(사24:2;암2:6,8;4:1), 그 외에 성경에 나타난 언급들(참고, 삼상22:25:1-4) 등의 예로 볼 때 모세의 율법에 정해진 이러한 빚에 대한 규례는 잘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신약시대에는 빚을 주고 변리를 받는 것이 로마법에 의해 인정된 듯 하다(마25:27;눅19:23). 예수께서는 빛과 빚진 자 그리고 채권자의 관게를 죄와 죄인된 인간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관계에 비유하여 자신의 대속의 사역을 설명하였다(마 6:12;18:24-34;7:41).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빨다1 / 빨다2 / 빵 / 빵 만드는 자 / 빻다 (0) | 2022.09.14 |
---|---|
(성경사전) 빚다 / 빛(나다) / 빠뜨리다 / 빠르다 / 빠지다1 / 빠지다2 / 빠지다3 (0) | 2022.09.14 |
(성경사전) 빌한 / 빔할 / 빗가다 / 빗갈 / 빗장 (0) | 2022.09.14 |
(성경사전) 빌립보서 / 빌산 / 빌어오다 / 빌어먹다 / 빌하1 / 빌하2 / 빌하3 (0) | 2022.09.14 |
(성경사전) 빌롤로고 / 빌르암 / 빌리다 / 빌립 / 빌립보 (0) | 2022.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