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빌립보서 / 빌산 / 빌어오다 / 빌어먹다 / 빌하1 / 빌하2 / 빌하3

빌립보서 The Epistle to the Philippians

사도 바울의 모든 서신 가운데 가장 개인적인 서신의 하나로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빌립보에 사는 모든 성도"(빌1:1)에게 보내졌던 서신서이다.
1. 배경. 고대 마게도냐의 빌립보 교회는 바울이 세운 첫 유럽 교회로서 복음이 이방 지역에 본격적으로 진출한 본보기이다(빌4:14-15). 빌립보교회의 회중을 형성하기까지의 사건들은 사도행전 16:9-40에 기록되어 있다. 동역자인 실라, 디모데, 누가를 대동한 사도 바울은 소아시아를 관통하는 제2차 전도 여행 중에 있었다. 성령에 의해 아시아와 비두니아 전도를 금지당한 이들은 에게해에 있는 아시아의 가장 먼 항구인 드로아로 들어섰다. 드로아에서 바울은 복음을 유럽에 전하라는 환상을 받았다. 환상 중에 마게도냐 사람 하나가 그 앞에 서서 “마게도냐로 건너와서 우리를 도와달라”(행 16:9)고 청하였다. 바울과 그의 동역자들은 즉시 이 신적 소명에 응답하였다.
2. 수신자. 빌립보는 B. C. 30년 이후 로마인들에 의해 철저히 식민화되었으나 문화적으로는 로마적이기보다는 헬라적인 성격이 훨씬 강하였다. 이 도시는 또한 '에그나티온 도로' 의 '출발 지점이며 동방으로 향하는 관문이었다. 누가는 이 시에 대하여 “거기서 빌립보에 이르니 이는 마게도냐 지경 첫 성이요 또 로마의 식민지라, 이 성에서 수일을 유하였다”(행16:12)고 묘사하고 있다. 따라서 바울이 처음 개종시킨 사람이 자주 장사 루디아라는 여성이었던 것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그녀의 온 집안은 세례를 받고 신생 교회의 핵심이 되었다(행 16:15). 간수의 놀라운 개종과 그에 따른 기적적인 사건들도 또한 빌립보에서 일어났다(행16:25-34). 이런 탓에 사도 바울과 빌립보 교회 사이에는 매우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어 있었다. 주로 이방인들로 구성된 빌립보 회중 속에서 바울은 교회의 참다운 미래를 내다보았다. 이들은 가난하였으나 믿음의 열매만은 풍성하였다. 이들은 여러 차례 바울을 위해 모금하였으며 옥중에 있던 바울을 돕기도 했다(빌4:10-16), 바울은 기회있는 대로 총애하는 이들을 방문하였다. 그는 이 서신에서 이들을 한번도 꾸짖지 않고 있다. 오히려 빌립보인들은 그의 '기쁨' 이요 '면류관' 이었다(빌4:1).
3. 저자, 1900년 이전에는 빌립보서가 제3차 전도여행 후에 옥중에 있던 바울에 의해 로마에서 쓰여졌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최근에 학자들은 가이사랴 옥중에서 쓰여졌다는 가설을, 더욱 최근에는 에베소 옥중에서 쓰여졌다는 가설을 발전시켰다. 이런 가설들은 로마 저작설의 옛논지들이 로마 상황에만 알맞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주된 이유로 내세운다. 거리의 상황, 빌립보서에언급된 여행들, 데살로니가서, 갈라디아서, 고린도전·후서와 같은 이전의 서신들과의 유사성 등은우리로 하여금 이 서신이 에베소에서 쓰여졌을 가능성이 많음을 믿게 만든다. 에베소서에는 바울의투옥에 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지만 에베소에서투옥되었을 가능성도 있다(참고. 고전15:32).
바울이 이 서신을 쓰지 않았다고 주장한 극소수의 극단적인 학자들도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거의보편적으로 사도 바울의 저작설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이 서신이 바울의 보다 작은 두세 서신들의 합성이라고 믿는 일부 학자들이 있으나 일류급학자들은 한번에 쓰여진 단일 문서임을 단언하고 있다.
4. 기록 동기와 목적. 이 서신은 빌립보 교회가ㅣ바브로디도 편에 옥중의 바울에게 자금과 의류를보내준 것이 그 계기가 되었다. 바울은 이들이 보여준 호의에 대해 감사를 표시할 기회를 마련하였다. 그 가운데 바울은 그의 습관대로 겸손, 기쁨,확고부동함과 같은 실제적인 기독교적 권면을 덧붙였다. 기쁨이 주로 강조되며, '기뻐하라'는 말이 여러번 등장하고 있다. 그리스도인의 인격과 사업, 신앙 지침, 그리스도의 재림에 관한 교리들이 실제적권면 가운데서 나타나고 있다.
5. 특징. 본서는 기쁨과 환희의 편지로 '기뻐하라’는 것이 대주제로서, 이 기쁨은 복음의 능력에근거한 것이다. 바울은 당시 고난 중에 있는 빌립보 교인들에게 자신처럼 '주 안에서 기뻐하라'고권면하고(1:18-19;4:10;2:18;3:1;4:4), 교회 안에서성도의 교제에 힘쓸 것을 당부한다(2:1-4;4:2-3),특히 2:5-11의 기독론은 하나됨과 겸손에 대한 권면의 일부로 이해되며, 이것은 초대 기독교의 찬미가로 불려졌다. 바울은 의와 부활이 모세 율법 준수에 의해 이뤄진다고 주장하는 거짓 교사들을 경계하라고 말하고, 이것들은 오직 믿음으로 얻어지는것임을 확언한다.
6. 내용 분해

(1) 문안인사와 감사(1:1-11)

(2) 복음의 진보(1:12-20)

(3) 세상에 남아 그리스도를 위하여 일하고 고난받음에 관하여(1:21-30)
(4) 그리스도의 낮아지심과 높아지심에 근거한겸손의 권면(2:1-13)
(5) 그리스도인의 생활에 대한 권면(2:14-18)
(6) 디모데와 에바브로디도에 관계된 개인적 언(2:19-30)
(7) 거짓 교사들에 대한 경고(3:1-3)
(8) 바울의 위력적인 신앙고백(3:4-14)

(9) 그리스도인의 천국 소망(3:15-21)

(10)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4:1-7)

(11) 그리스도인의 덕성 권면(4:8-13)

(12)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바울의 신뢰(4:14-19)

(13) 마지막 인사(4:20-22)

빌산 Bilshan

스룹바벨과 함께 포로에서 귀환한 유대인 지도자 가운데 한사람(스2:2;느7:7).

빌어오다 

<보라> 빌리다

빌어먹다 beg 

노동하지 않고 남에게 구걸하여 거저 얻어 먹는다는 뜻이며,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신 불의한 청지기 비유에서언급되었다(눅16:3).

빌하1 Bilhah

라헬의 몸종으로 라헬이 자식을 낳지 못하자 야곱의 첩으로 주어졌으며, 단과 납달리를 낳았다(창29:29:30:1-8;대상7:13). 후에 야곱의 아들 르우벤은 빌하와 통간함으로써 장자의 권한을 박탈당하였다(창35:22).

 

빌하2 Pilha

포로 귀환 이후 율법 준수 계약 갱신에 인친 백성의 우두머리 가운데 한 사람(10:24).

빌하3 Bilhah

시므온 사람들이 살던성읍(대상4:29)으로, 발라(수19:3), 바알라(수15:29)와같은 곳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