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 imagination
머리속으로 그려서 생각함. 성경에서는 '음모'나 '계략' 등의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주로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는사악한 의도를 가리킨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이가나안에 들어가기 전부터 그들이 가나안에서 행할우상 숭배와 배역의 의도를 이미 알고 계신다고 말씀하신다(신31:21), 공동번역에서는 이 말을 ‘품고 있는속셈' 이라고 번역하였다.
상석 uppermost room
차례나 위계가 있는 자리에서 윗자리를 가리킨다. 성경에서는 연회장에서 주인이 앉은 자리의 양 옆 좌석을 지칭한다(마23:6;막12:39;눅20:46. 이단어는 '제일'을 뜻하는 헬라어 '프로토스’ (ㅠp@TOS)와 식사 때 기대는 ‘대’(臺)를 뜻하는 ‘클리시아’(kuoia)의 합성어로 연회장의 높은 자리를 의미한다. 예수께서는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이 이 자리에 즐겨 앉는 것을 비난하셨다(마23:6-7).
상소/-하다 write
왕에게 글을 올려 아뢰는 것이나 그 글을 말한다. 이 단어는 유대 총독 베스도가 황제에게 보낼 문서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유대인들은 베스도에게 바울을고소하였으나 베스도는 바울에게서 마땅한 죄목을 찾지 못하였으며, 그 사건을 로마 황제에게 이송하기 위하여 유대 풍습에 지식을 가지 있었던 아그립바에게 자문을 구하였다(행25:23-27). 그는 아그립바 왕을 통하여 황제께 올릴 상소문의 자료를 구하려고 했으나 결국은 바울에게서 아무런 혐의도 찾지 못하고 말았다(26:30-32).
상속 inheritance
신분, 지위, 재산 등을 이어주고 이어받는 일이다. 본래는 부모로부터 받는 재산을 가리키는 말인데, 지파(支派)나 부족 또는 민족들이 계승하는 영토를 가리키는 말로 확대되었다(창15:2;시25:13;69;36;마21:38) 신약에서는 하나님의 아들 자가 상속할 영생에 대해서 (마19:29;25:34) 또는 하나님 나라에 대해 쓰였다(마21:43). 히브리어 원어상으로는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땅에 대한 상속을뜻한다. 이 약속은 이삭에게 계승되고 야곱에게 전해졌다. 또한 야곱의 12지파에서 전 이스라엘로 확장되었다. 후에는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다른 이방민족들에게까지도 그 땅을 상속할 권리가 확장되었다.
신약에서의 상속은 무엇보다도 하나님 나라의 개념과 관련되어 나타난다(마25:34; 고전6:9;갈5:21;엡5:5).예를 들면 예수께서 비유하신 포도원 농부의 상속은하나님 나라를 가리킨다(마21:43). 그 외의 유산은 영생, 구원, 축복, 썩지 않는 것, 약속, 생명의 은혜, 영광,땅, 세상, 만물 등으로 표현되었는데, 이 모두는 하나님 나라에 포함된 것들이다. 그러나 그 하나님 나라는지금 완성된 것이 아니다. 그리스도인이 현재 가지고있는 것은 유산 자체가 아니라 그 보증이다(엡1:14).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와 함께 유산을 이어받을 상속자이며, 성령의 보증으로 인해 앞을 바라보며 나아가는 자이다(롬8:24;엡1:18;골1:5). <참조> 기업
상수리나무1 Oak
세겜에 있던 신성한나무(창12:6). 세겜의 상수리나무도 히브리어 원어상으로는 '엘라' (35:4), '알라' (수24:26), '엘론' (삿9:6) 등여러 가지로 쓰이고 있어 이것이 모두 같은 나무를 뜻하는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학자들은 이사야 6:13에 엘라와 '알론=엘론'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을 근거로 이 둘은 서로 다른 나무였을 가능성을 주장한다.즉 창세기 35:8의 '알론'은 상수리나무로 번역되어야하고, 나머지는 '테레빈 나무'로 번역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팔레스타인에 서식하는 상수리나무는 케르베스 참나무(kermes oak)와 발로니아 참나무(valonea oak)가주종을 이루고 있고, 그 외에도 수백종의 변종이 있다.호세아 4:13에는 '참나무'로 번역되어 있다. 이 나무는키가 보통 18m 정도이며, 수령은 500년 가량으로, 해발약 4,600m 이하 지역에서 잘 자란다. 뿌리가 깊이 내리기 때문에 건조한 땅에 알맞으며, 열매가 많이 열리는것이 특징이다. 가나안 사람들은 이 나무의 숲을 신성시하였다. 용도로는 건축 및 선박 자재로 사용되었으며, 열매는 무두질하는데 사용되었다. 한편 이 나무에서식하는 코쿠스 일리시스(Coccus ilicis)라는 곤충으로부터 염료를 얻었는데 주로 두로에서 생산되었다.
상수리나무2 elm
윗 항 상수리나무1과는 다른 나무로, 이사야 6:13에는 '밤나무'로 번역되어 있다. 이것은 일명 '테레빈 나무' 라고도 불리는 것인데, 70인역 성경의 번역을 따른 것이다. 호세아 선지자는 이스라엘이 이 나무 아래서 행하였다고 비난하고 있는데, 이것은 그들의 산당 예배가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호4:13), 또 사무엘상 17:2.19:21:9에 나오는 '엘라 골짜기' 라는 지명은 오늘날에는 이 나무가 없으나 당시에는 많은 상수리(테레빈)나무 때문에 붙여졌을 것이다. 이사야 57:5에서 KJV는 우상(Idols)으로 번역하고 있다.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상아상 / 상약 / 상업 / 상여 / 상의하다 (0) | 2022.09.16 |
---|---|
(성경사전) 상실 / 상심 / 상아 / 상아궁 / 상아기명 (0) | 2022.09.16 |
(성경사전) 상륙하다 / 상면 / 상번제 / 상복 / 상사 (0) | 2022.09.15 |
(성경사전) 상달하다 / 상당한 / 상대(편) / 상등 / 상론하다 (0) | 2022.09.15 |
(성경사전) 상관1 / 상관2(하다) / 상급 / 상납 / 상납하다 (0) | 2022.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