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앗소 / 앗수르1 / 앗수르2 / 앗술 / 앗실

앗소 Assos

레스보스섬 북쪽의 한 항구 도시로 바울 당시 로마의 통치하에 있던 곳이다. 이 도시는 한 면이 깎아지른 해안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경치가 아름다울 뿐 아니라 천연의 요새가 되었다. 이 해안의 길이는 약 3.2km 정도인데, 그 위에는 다시약 20m 높이의 성벽이 둘러처져 있다. 바울은 드로아에서 동료와 헤어져 육로를 통해 앗소로 갔는데 (행 20:13-14), 이 길은 배로 가는 것보다 시간이 절약되었다.

 

앗수르1 Asshur

셈의 아들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앗수르인의 조상이 되었다(창10:22;대상 1:17).

앗수르2 Assyria

티그리스 강 상류와 삽 강 사이에 위치했던 제국으로, 초기에는 앗수르라는 도시에 수도를 두었다가 후에 니느웨로 옮겼다. 앗수르는 아라비아에서 온 셈족에 의해 B. C. 3년경에 세워졌는데, 성경에서는 창세기 2:14에 처음으로언급되었고, 그 후 매우 빈번히 나타난다. 앗수르의무역 상인들은 B. C. 1900년경에 소아시아의 힛타이트영토였던 카니쉬에 식민지를 건설하였다. 앗수르 군대의 원정대들은 B. C. 13세기에 유브라데 강을 건너서쪽으로 영토를 확장하기 시작하였고, B. C. 1100년에는 지중해 연안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그때만 해도앗수르는 확장된 영토를 유지하기에 힘이 부족한 상태였다. B. C. 1000년경 앗수르와 적대관계에 있던 아람 왕 소바를 다윗이 무찌른 것을 계기로 상대적으로앗수르는 더욱 강해질 수 있었다. B. C. 10세기에는 가장 강력하고 조직적인 국가의 하나로 발전하였다. 앗수르는 동북쪽의 바벨론과 서쪽의 아람 지역을 정복해 들어감으로써 지중해를 향하여 영토를 확장해 나갔다. 살만에셀 3세 때에 팔레스타인으로 관심을 돌렸다. 그들은 B. C. 853년 카르카르 전투에서는 패배했지만 이스라엘 왕 아합이 가담한 아람의 벤하닷의 동맹군에게는 승리하였다.
엘리야와 엘리사에 의해 종교적 부흥이 일어나자수리아(시리아)와 이스라엘이 맺었던 동맹은 깨졌다.예후가 왕위를 차지했을 때(왕하9-10장) 살만에셀 3세는 아람을 약화시키고, 예후로부터 조공을 받을 기회를 잡게 되었다. B. C. 8세기 중반 이후 약 100년간은앗수르의 내적인 문제로 팔레스타인 침공이 중단되었다가 디글랏 빌레셀 3세 때에 그들은 다시 침공해 와서 영토를 분할하고 반란을 꾀하지 못하도록 거민들을 강제로 이주시켰다. 그는 B. C. 733-732년에 갈릴리,샤론 평야, 길르앗을 정복하고 이스라엘과 유다에 조공을 요구하였다(15:29;16:9). 살만에셀 5세는 3년 동안이나 사마리아를 포위하였으나 도중에 사망하였고,그의 후계자 사르곤 2세(사르곤 3세로 주장되기도 한다)가 B. C. 721년에 사마리아를 함락시켜 거민을 포로로 잡아가고, 자신의 왕국에 거주하던 사람들을 대신 이주케 하였다. 그 후 약 1세기 동안 앗수르는 주변의모든 국가들, 즉 바벨론, 엘람, 메대, 브루기아, 애굽 등과 충돌하였다. B. C. 701-700년에 산헤립이 예루살렘을 완전히 함락하지 못한 시점에 '하나님의 사자가 나와서 앗수르의 군사 18만5천을 쳐 죽이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결국에는 산헤립도 암살당하고 말았다(18:13;19:37;사36-37장). B. C.7 말에 앗수르는 쇠퇴하여 바벨론에게 점차 점령당하였고, B. C. 612년에니느웨가 함락되면서 아주 빠른 속도로 앗수르의 영토가 바벨론의 소유로 바뀌어 갔다. 엘리야, 엘리사,이사야 외에도 여러 선지자들이 앗수르의 멸망을 예언하였다.
앗수르의 예술, 건축 등은 사마리아와 아카드 바벨론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으며, 유다 왕 아하스는 앗수르에 갔다가 보았던 그들의 제단 양식을 모방하여 하나님의 제단을 만들기도 하였다(왕하16:10-13). 각 분야에 걸친 저술 활동도 활발하여 풍요를 이루었고, 앗수르 바니팔의 도서관에는 수천 개의 점토판이 있었다. 앗수르 사람들은 일찍부터 그들의 민족신인 '아스' (Asshur)을 경배하였고, 여기에 바벨론 신들이 혼합되었다. 이것은 이스라엘과 유다에 비도덕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되었다.

앗술 Azzur

1. 느헤미야가 총독이었을 때, 백성의 대표자로서 언약에 인을 쳤던 이스라엘 사람이다(느10:17).
2. 기브온의 거짓 선지자 하나냐의 아버지(렘28:1).3. 에스겔 시대의 사람인 야아사냐의 아버지이다(겔11:1). 여호와의 전 동문에 새겨진 25인 명단에 나타난앗술의 아들 야아사냐는 성에 거하면서 불의를 품고 악한 꾀를 베푸는 지도자(방백)들 중 한 사람이었다.

앗실 Assir

1. 레위 지파에 속한고라의 아들 중 한 사람이다(출6:24;대상6:22).
2. 고라의 손자로 에비아삽의 아들이며, 다핫의 아버지이다(6:2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