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엎다 / 엎드리다 / 엎드러지다 / 에겔 / 에그론

엎다 overthrow 

아래 위가 반대가 되도록 뒤집어 놓다. 성경에서 이 말은 거의 모두가 하나님의 심판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되었다(창19:29;출15:7; 왕하21:13;34:25; 애2:2). 하지만 때로는 '정복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어 바벨론의 강대함을 표현하는 말로 사용되기도하였다(사14:12), 신약성경에서는 예수께서 성전 정화하실 때 상을 뒤집는 행동에 대한 묘사에서 언급되었다(요2:15).

엎드리다 fall down

몸의 앞 부분을 바닥에 가까이 하거나 붙이는 행위이다. 이 행위는 원래 하나님(수7:6;삿13:20;대하20:18) 또는 왕 앞에서(삼하14:4,22;19:18) 취하던 행동으로 상대에 대한 존경을 나타냄과 동시에 겸손을 표하는 행동이었다(겔1:28). 하지만 이외에도 엎드리는행위는 하나님께 대한 경배(출34:8;왕상18:39)나 간구할 때의 자세(수7:6;마26:39;막14:35) 등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때로는 감사(왕하4:37), 경외심(레9:24), 두려움(단8:17;마17:6), 존경과 사랑(요11:32)의 표현으로사용되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엎드리는 것은 패배를의미하거나(잠14:19) 경의와 예우를 갖춘 절을 가리켰으며(삼상20:41), 특별히 매복하여 숨는 행위에 대한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잠1:11).

엎드러지다 fall

성경에서 엎드러짐은 하나님께 불순종한것에 대한 저주의 결과(레26:36) 또는 징벌의 결과(렘6:15)로 묘사되고 있다. 엎드러진다는 표현은 대체로죽음을 의미하였으며(민14:29;삿20:44;삼상4:10) 때로는크게 낙망함을 나타내기도 하였다(삼상28:20). 또한엎드러짐은 패배를 의미하기도 하였으며 (시18:38;45:5), 한 나라의 멸망을 가리키기도 하였다(사3:8;암5:2). 선지자 스가랴는 이스라엘의 영광이 무너지는 것을 잣나무와 백향목의 삼림이 엎드러짐에 비유하였다(슥11:2).

에겔 Eker 

유다 자손 헤스론의 맏아들인 여라므엘의 손자로 람의 아들(대상2:27).

에그론 Ekron 

블레셋의 가사, 가드, 아스돗, 아스글론과 더불어 5대 주요 도시 가운데하나로서 이들 중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여러 마을들을 포함하고 있었다(수15:45-460. 일반적으로 '엘테케' (Eltekeh)와 동일한 곳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 '키르베트 알무카나'와 동일한 곳이라는 설이 부각되고 있다. 1957년 지표 탐사결과 초기 청동기 시대에 사람이 거주하였던 흔적은 발견되었으나,그 후 초기 철기 시대까지의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 전성기 때에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의 면적이 약 162km²에 달했으며, 팔레스타인의 철기 시대 정착민들 중에 가장 규모가 컸던 것으로 보이고 전형적인 블레셋토기가 특징적인 유물이다.
에그론은 유다와 단 사이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고있었다(수15:11,45-46;19:43), 그러나 유다 지파의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었고(15:45) 후에 블레셋의 영토가 되었다. 이스라엘로부터 법궤를 빼앗은 블레셋은 가드로부터 이곳으로 옮겨왔으며(삼상5:10), 이곳으로부터법궤를 이스라엘에게 되돌려 주었다(삼상6장), 에그론과 다른 도시들은 사무엘 시대에 잠시 이스라엘의영역이었다가(7:14) 사울 왕 때에 블레셋이 되찾았다.그러나 다윗의 이스라엘 군대가 골리앗의 블레셋을무찌르면서 다시 이스라엘로 넘어왔으나 예언자 아모스 시대(B. C. 760년경)에는 또다시 블레셋의 영토가되었다(암1:8). 그러나 B. C. 701년 앗수르에 종속관계였던 에그론의 통치자 '파디'가 내란으로 쫓겨나 히스기야 왕의 포로가 되었으나 같은 해에 앗수르의 산헤립이 원정하여 에그론을 회복하여 '파디'를 복권시켰다. 이후의 역사에 대하여 성경은 침묵하고 있으며다만 이곳의 신 바알세붑에 관하여 언급되고 있을 뿐이다(왕하1:2-3,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