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완패하다 / 왕 / 왕곡 / 왕골 / 왕관

완패하다 stubborn

언행이 완악하고 행동이 패악한 것으로서, 음녀에 대한 경계의 훈계에 쓰여졌다(잠7:11). '완고하다', '완악하다'와 같은 말이다.

왕 king

한 나라나 도시 또는 한 종족의 통치자를 일컫는 말이다. '멜레크'와 '바실류스'의 어원은 불분명하다. 모든 셈족 언어와 공통적인 전자는 아마도 '가진 자'를 의미하는 아람이 이근, 또는 '상담자'를 의미하는 앗시리아이와 아랍어 단어와 연관되는 듯하며, 후자는 초기 에어로부터 유래된 듯하다.
1. 근동지역. 이 직책은 고대 근동지역에서 보편적인 것이었다. 외형상 이들 왕의 통치는 자신들이 정착하고 있는 도시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창14:12,20:1이하), 왕권은 신적인 왕이나 그 땅의 신으로부터 기원하였는데, 자손으로 세습되었다(그러나 자손상속이 아닌 경우도 있었다. 참고, 창36:31 이하). 이집트에서는 왕이 곧 신이었으며 앗시리아에서는 왕이 신을 대표하는 존재였다. 그리스의 왕권은 제우스에게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플라톤 사상 아래에서는 왕의 뜻이 곧 법이요 왕은 '은혜를 베푸는 자'로 여겼으며 훗날 알렉산더와 로마제국의 시저의 '신적인 왕'의 개념으로 이어졌다.
2. 초기 이스라엘. 초기 이스라엘은 족장에 의하여 다스려졌다. 출애굽 기간에는 모세가 통치하였으며 그후 여호수아에게 계승되었다. 간혹 반발이 있기는 하였으나(출4:29이하;수16:1이하) 실상은 이들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통치하셨던 것이다. 그들은 하나님께 부름받아 백성들에게 인정받은 세습되지 않은 통치자였던 것이다. 처음 팔레스타인에 정착했을 때, 각 지파들은 주로 장로들에 의하여 통치되었으며(삿11:5)그들은 누군가에게 시민군을 이끌고 나가서 적과 싸우도록 요청할 수 있었다. 이때 입다가 얻은 통치권은 상속되지 않았으며 기드온도 마찬가지여서 아들 아비멜렉이 잠시 지방의 왕권을 이었을 뿐이었다. 사사기는 마지막 부분에서 사회적 혼란상을 기록하면서 (1921장), 그 이유를 왕이 없는 탓으로 돌리고 있다.
3. 왕권의 확립. 이스라엘의 왕권은 근동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제정되었다. 제사장 겸 사사였던 엘리의 집안이 망한 후에(삼상4:12-22) 사무엘은 그를 계승하여 몇몇 지방을 순회하면서 이스라엘을 다스렸다(7:15이하), 후에는 비록 백성들이 강요에 의한 것이기는 하지만(8:4이하), 이스라엘에 왕을 세우는 역할을 하였다. 이스라엘은 나라의 통치자는 하나님이며(신33:1-5), 그가 나라를 세우셨고 법을 제정하셨으며(출19-23장) 선지자들을 보내셔서 백성들을 가르치신다(신18:15-22)고 하는 신정국가의 성격이 매우 강했기 때문에 왕을 세우는 일은 곧 하나님의 통치를 기부하려는 것으로 간주되었다(8:7). 그래서 사무엘은 그의 백성들에게 왕의 통치 모습을 설명하면서 경고하는데(삼상8:10-19) 상당히 군주적이고 과도한 왕의 모습들이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은 계속되는 위협으로 인해 군대를 양성해야 할 필요를 느꼈기 때문에 이 일이 추진되었던 것이다(삼상4:10-11;77; 8:20).
때맞추어 사울이 군대 지도자로서 나가 크게 승리하자 초대 왕으로 적격자가 되었다(11:11 이하),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 중에도 사무엘은 종교 지도자적 역할을 계속 담당하였고(13:9이하) 사울은 그의 입지와왕조를 완전히 확립하지 못하였다. 주요 이스라엘 왕들에 대한 기록은 사울(삼상12-31장:대상10장), 다윗(삼하왕상1장:대상11-29장), 솔로몬(왕상1-11장;대상28장-대하9장)이며 훗날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들의 기록은 왕상 12장-왕하25장;대하10-36장에 있다.
4. 다윗 왕과 중흥기. 다윗은 훗날 이스라엘의 이상적인 왕으로 여겨질 만큼 대단한 성공을 이룬 왕이다. 그는 B. C. 587년 나라가 망할 때까지 400년간 지속되는 왕조를 이루었다. 이처럼 다윗 왕조가 견고했던것은 다윗 언약이라고 하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시132:11 이하).
왕의 주요 책임은 올바른 정치를 하여 정의를 유지하는 것이었다(사11:14;렘33:15). 왕이 해야 할 것들을가르쳐 주는 율법의 계명들을 옆에 두고 항상 읽고 지킴으로써(신17:18이하;삼상10:25;왕상9:4이하;왕하11:2이하) 재판관으로서 행하고(왕상3:28) 정의를 세우고율법을 선포하여야 했다(왕하23:2. 참고, 삿17:6;대하17:7이하). 그러나 많은 왕들이 스스로 악하여서 불의와 사악함이 만연하도록 조장하였다(왕상 14:16; 왕하22:16. 요시야 왕의 개혁(왕하22-23장)은 다윗 계약과의 연관 속에서 모세의 교훈을 다시금 일으켜 보려는시도였는 바 그것은 곧 왕이 나아갈 방향을 잃어 갈피를 잡지 못할 때(참고. 삼하12:1이하;왕상18:17-18;렘26:1이하) 그 길을 제시해 주는 일종의 예언자적인 운동이었다. <참조> 예언
소위 메시야를 예언하는 구절들은 다윗 왕조에 적용되어져 왔다(시편2,110,132편;사11:14 렘33:15), 옳게사는 데에 왕들이 실패했기 때문에 미래에 나타날 더욱 더 의로운 통치자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었던 것이다. 포로 귀환 후 다윗의 후손 스룹바벨(대상3:19;학2:23; 마1:12)이 왕조를 재건하고자 한 노력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이러한 기대는 메시야를 대망하는 것으로구체화 되었다.
5. 신약 시대의 발전. B. C. 10437년 동안 마카비왕조의 대제사장들은 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고,특히 그중에 몇몇에게서 메시야적 대망이 성취된 것으로 선포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메시야적인 희망은오직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성취되었다라고 하는 것이본질적으로 신약 성경의 메시지이다(마1:1-17;21:5. 비교, 슥9:9;솔로몬의 임직식-왕상1:33;요1:49). 예수의메시지는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는 것(막1:15)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바리새인들에게 말씀하시기를하나님의 나라는 그들 가운데 있으며(눅17:21) 이 세상의 것이 아니라고 하셨다(요18:36).
나라(바실레이아)로 번역된 이 단어가 비록 영토나영역의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지만(마12:25) 주된의미는 '주권' 이나 '왕의 통치' 이다. 하나님의 주권은 절대적이다. 타락한 인간은 그것을 깨달을 수 없으며, 결국에는 파멸에 이른다. '하나님 나라의 복음'은사람들에게 회개와 믿음(막1:15)으로 나라를 얻을 수있는 기회가 주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로 이것이메시야이시며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성취되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자들과 땅 아래 있는 모든 자들은 기꺼이 충성을 다해서든지 아니면 심판대 아래에서든지 그분 앞에 무릎을 꿇을 것이다(롬14:10-11;빌2:9-11), 그분의 목적은 어둠의 세력으로부터 우리를 구원하는 것이고(골1:13)의롭게 살도록 우리를 자유롭게 하시는 것이다(참고.롬14:17), 이러한 그리스도의 나라(통치)는 영원하다(벧후1:11). 그러나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다(눅22:16;고전15:2428). <참조> 하나님의 나라

왕곡 

<보라> 왕의 골짜기

왕골 rush

사초과(科)의 일년생 풀로서, 높이는 1-2m 정도이고 잎은 선형이며, 줄기의 단면은 삼각형이다. 껍질을 벗겨 방석, 돗자리 등을 만들고, 줄기 속은 끈이나 제지의 원료가 된다. 욥기 8:11에는 '사곡한 자'를 가리키는 비유로 쓰여졌는데(13절), 이는 갈대(bulrush)나 파피루스(papyrus, RSV, NIV)로도 잘 알려져 있다.

 

왕관 Troyal crown

왕위의 상징으로 임금이 쓰는 관, 페르시아 왕 아하수에로의왕관에 대해 쓰여졌으며 (68), 또 회복될 시온 성 예루살렘이 하나님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게 될 것을'하나님의 손의 왕관' 이라고 표현하였다(시62:3). 왕관은 특수한 공로나 성취에 대한 대가로 머리에 씌워지기도 하며, 여왕, 귀족, 결혼식을 올릴 때 신랑이 쓰기도 한다(에8:15;아3:11;렘13:18), 왕관은 왕의 권위와그의 직책을 상징하였고, 왕좌에서나 전쟁에 나갈 때도썼다(삼하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