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마 Umma
아셀지파에게 주어진 성읍(수13:30). 학자들은 '움마'가 '악고'에 대한 필사상의 오류라고 보고 있기 때문에 이 지명은 움마가 아니고 악고가 옳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움막 corner of the housetop
움으로 지은 장막. 개역성경에서 움막으로 번역된 히브리어 '핀나'는 모퉁이나 측면 또는 끝을 의미하는데,이 말이 건물에 대하여 사용될 때는 골방 또는 집 한귀퉁이를 가리킨다. 이렇게 볼 때 잠언에 언급된 움막은 집의 한 귀퉁이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잠21:9;25:24), 공동번역은 '다락방'으로, 새번역은 '다락한 구석' 으로 번역하고 있다.
움직이다 move
성경에서 이 말은 위치를 옮겨가며 동작을 계속하는 것(창1:21;행27:41)과 같은 일반적인 의미 외에도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구약성경에서는 근본이 흔들리는 것(잠12:3)이나 살아서 활동한다는 의미(창7:21;레11:46)로 사용되었으며, 욥기에서는 땅을 움직인다는 말로 피조세계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과 능력을 표현하였다(욥9:6). 한편 신약성경에서는 지진으로 인한땅의 흔들림이나(행16:26) 스스로 굳게 지녔던 신념 혹은 사고의 흔들림(히10:23)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특별히 사람을 선동한다(행17:13)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마태복음 23:4의 '바리새인들은 한 손가락으로도 움직이려 하지 않고' 라는 말에서의 움직임은 백성들에게 지워진 율법의 짐에 대한 배려를 가리키는데, 결국 이 말은 바리새인들이 부과한 율법의 짐 때문에 힘들어하는 백성들의 아픔을 그들은 조금도 돌아보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움키는 새 ravenous bird
선지자 에스겔의 곡에 대한 심판 예언에서 언급된 이 새는 이스라엘 산에서 하나님의 계획에 의해 참패한 곡의 연합군의 시체를 먹을 새로 언급되어 있는데 이 새는 정확하게는 알 수 없으나 아마 맹금류의 일종으로 보인다(겔39:4).
움키다 snatch
개역성경에서 '움킨 것' 으로 번역된 히브리어 '테레프'는 '포식하려고 한 생물을 움켜잡고 그 고기를 찢고그것을 먹는다'는 기본적인 의미를 지닌 '타라프' 에서 파생된 말로서 '찢겨진 고기나 동물' 과 같은 음식이나 먹이를 의미하는데 성경에서는 독수리의 먹이(욥9:26;39:29), 사자의 먹이 (창49:9; 민 23:24;욥4:11;암3:4)또는 이리의 먹이(창49:27)로 나타난다.
한편 움키는 행위는 보통 맹수가 먹이를 포획하는것(단6:24)을 가리키며 이는 비유적으로 이방나라에의한 이스라엘의 참화를 의미한다(사5:29). 하지만 특별히 살을 뜯어 먹는 행위에 대한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하며(사9:20) 고통이나 슬픔, 두려움 등에 사로잡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렘49:24).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웃시야1 / 웃시야2 / 웃시엘 / 웃옷 / 웅거 (0) | 2022.10.13 |
---|---|
(성경사전) 웃다 / 웃사1 / 웃사2 / 웃사3 / 웃시 (0) | 2022.10.13 |
(성경사전) 울분 / 울음군 / 울음꾼 / 울타리 / 움1 / 움2 (0) | 2022.10.13 |
(성경사전) 울1 / 울2 / 울다 / 울라 / 울람 (0) | 2022.10.13 |
(성경사전) 운전하다 / 운제 / 운하 / 운행 / 운향 (0) | 2022.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