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질항아리 / 짊어지다 / 짐 / 짐승 / 짐직하다

질항아리 earthen pitcher

진흙으로 구워 만든 항아리로 유다 민족을 상징한다. 이들을 질항아리로 묘사함으로써 하나님을 떠난 유다의아주 비천한 상태를 묘사하였다(애4:2, 공동 · 새번역‘질그릇’ ).

짊어지다 bear

짐이나 책임따위를 뭉뚱그려서 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성경에서이 단어가 사용될 때는 단순히 어깨에 메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좁은 의미로 볼 때 예수께서 우리의병을 짊어지셨다는 것은 예수의 치유 사역을 말하며,그 병에 대하여 책임지는 것은 물론이요, 해결하셨다는 것까지도 의미한다(사53:4;마8:17;벧전2:24), 바울은연합한다는 의미로 이 말을 사용하는데 예수 죽인 것을 몸에 짊어진다는 것은 예수와 연합하여서 예수의생명이 연합한 자의 몸에 나타나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고후4:10).

짐 load

일반적으로 다른 곳으로 옮기기 위해 챙기거나 꾸려놓은물건을 일컫는 말이다(출23:5;행21:3;27:18). 이 말은 때때로 '운반하다' 라는 뜻이 포함된 짐의 의미로도 사용되었는데, 이는 안식일을 범하는 요소 중 하나였다.따라서 안식일에는 짐을 지면 안 되었다(느13:15;렘17:21). 은유적으로는 과중한 시련이나 고통을 의미하거나(갈6:2) 세상의 고통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고통은장차 우리에게 나타나는 영광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시81:6; 롬8:18). 또한 힘든 육체적 노동을 나타내는 말로도 사용되어(출1:11), 짐을 멘다는 것은 노예상태가 된다는 것을 의미하였다(창49:15). 이 말은책임성과 관련되어 사용되기도 하는데, 가령 지도자모세의 과중한 임무나(민11: 11) 성도들의 사명과 그에따른 책임(갈6:5), 두아디라 교회가 지켜야 할 의무(계2:24) 등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었다. 특별히 의무적으로 지켜야 할 규제를 가리키기도 했고(행15:28), 이스라엘을 향한 열방들의 억압을 가리키기도 했다(사14:25;호8:10). 이 말은 또한 율법적 요구를 의미하는데(마23:4눅11:46) 사람들에게 있어서 이것은 상당한 부담이 되었다. 예수께서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이런짐을 지우는 바리새인과 서기관 그리고 율법사를 책망하셨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멍에와 짐을 지기를 권하셨다(마11:28-30). 이 짐은 예수를 영접하고 그의 제자가 되며 더 나아가 그와 연합하는 것을의미한다.

짐승 beast 

성경이 가리키는 짐승은 보편적으로 사람과 양분하여사람 이외의 피조 생물을 의미하지만(출9:9;19:13), 구체적으로 본다면 곤충과 조류와 구별하여 네 발 가진동물을 가리키고 있다(레20:25). 이 짐승들은 고대에는 중요한 재산의 하나로 취급되어져 왔다(창36:6;47:18;대하32:28). 성경에서는 짐승을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으로 구별하였는데(창7:2;신14:4), 이는부정한 짐승으로 인하여 몸을 더럽히지 않게 하기 위함이며, 여기에는 이스라엘 백성을 거룩하게 구별하기 위한 하나님의 뜻이 들어 있다(레20:25). 짐승은 율법 속에서도 나타나는데, 짐승의 첫 새끼는 하나님의것으로 구별되었다(민3:13). 하지만 짐승의 형상으로우상을 만들면 안 되었고(신4:17), 짐승과 행음하거나교합하면 죽임을 당하였다(출22:19;레 18:23;신27:21). 또한 이 말은 죽음을 스스로 극복할 수 없는 존재를 표현하거나(시49:12;전3:18) 무지함을(잠30:2) 은유적으로 묘사할 때, 그리고 하나님의 재앙이나(렘15:3) 징계를 싫어하는 자(잠12:1), 이성이 없는(벧후2:12) 사람을 직유적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애굽(사30:6, 타락하는 부정한 애굽의 지도자들(겔32:13) 또는 이스라엘의 대적자들을(시74:19;렘12:9) 상징적으로 나타낼 때 사용되기도 한다.
짐승은 묵시문학에서도 아주 중요한 상징적 의미로 사용되었다. 다니엘이 꿈에서 본 네 짐승은 인본주의에 바탕을 둔 세상의 제국들을 상징한다(단7:19). 그리고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짐승은 역사적으로 네로를 의미하지만, 상징적으로는 적그리스도의 제국적인 세상 권력을 나타낸다(계13장). 이 권력들은 그들을 위하여 우상을 만들게 하고(계13:14), 경배하게 하고(15절), 표를 받게 강요하였고(16-17절) 이를 거부하면 핍박 받았다(1417절). 그러나 이들은 결국 유황불붙는 못에 던져지게 되고(계19:20), 핍박 속에서도 신앙을 지킨 자들은 승리를 얻고 왕노릇하게 될 것이다(20:4).

짐작하다 suppose

어림잡아 헤아리다. 베스도는 바울의 죄목 중 자신이 짐작했던 악한 일은 없었다고 아그립바 왕에게 보고했으며(행25:18), 바울을 호송하던 배가 태풍으로 14일간 표류하다가 사공들은 배가 육지에 가까워지는 것을 짐작했다(2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