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짐짓 / 집 / 집권자 / 집다 / 집비둘기

짐짓 wilfully

마음은 그렇지 않으나 일부러 그렇게, 고의로를 의미하는 말이다. 성경에서는 자발적인 행위나 의도적인 범죄에 대하여 이 말이 사용되었다(출21:14;단 3:14;히10:26). 그러나 민수기 15:30에서는 하나님을 향한 불경스러운 행위를 가리켜 사용되기도 하였다

집 house

사람이 살기 위하여 지은 건물 또는 가족이 함께 생활하는 터전. 성경에서의 집은 일반적인 가옥뿐 아니라(신 6:7) 궁전이나(렘38:8) 성전(대상6:48)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이스라엘 백성이 유목 생활을 할 때는 장막이집이었지만(창4:20), 정착하여 농사를 짓게 되면서부터 진흙으로 만든 흙벽돌로 가옥을 만들어 살게 되었다(겔13:10-16. 대부분의 집들은 도시나 성읍 또는 촌락에 몰려 있었다. 집들은 대개 벽을 맞대고 있었고, 특히 성읍의 바깥쪽 집들은 성벽에 붙어 있거나 아니면 성벽의 일부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수2:15-21; 고후11:33). 이스라엘에서는 집을 지을 때 자갈이나 돌 따위로 기초 공사를 다진 후에 흙벽돌로 벽을 쌓았으며, 돌기둥으로 견고하게 하였다. 또한 벽에 설치된 창은 자그마한 크기로 되어 있으며, 격자창으로 여닫게 되어 있었다(수2:15;삿5:28). 따라서 실내는 어두웠다(눅15:8), 바닥은 포장하는 경우도 있는데 주로 벽토나 돌을 이용했다. 지붕은 목재들을 이용하여 들보를 만들었고, 그 위에 진흙을 발랐다. 지붕은 평평하게 되어 있었고, 밖의 계단을 통해 지붕으로 올라가게 되어 있었다. <참조> 지붕
한편, 하나님과 그의 백성이 만나는 성막이나(출35:21), 솔로몬이 지은 성전을 가리킬 때도(대상6:48;히 10:21) 집이라는 표현을 썼으며, 이방신의 산당이나 신전을 일컫는 말로도 사용되었다(삿16:26;삼상31:10). 의미적으로는 삶을 살아가는 터전(창12:1)이나 거처할처소(욥17:13;행5:42)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가정이나 가족(창7:1), 부족(14:14)이나 민족(마10:6, 더 나아가 애굽 같은 나라(신6:12)처럼 사회적 집단을 가리키기도 한다. 그 외에도 죽음(전12:5)이나 육체(고후5:1), 인생 등을(마7:24) 상징적으로 묘사할 때 사용되기도 하며, 성도나 교회(고전3:9) 또는 하나님의 나라(천국)를 가리키기도 한다(눅14:23;요14:2;고후5:1).

집권자 prince

정권을 잡은 사람이나 권세를 가진 사람을 가리키는데, 예수께서는 섬김의 도를 가르치시면서 권력을 임의로 사용하고 악정을 베푸는 집권자를 책망하셨다(마20:25; 막 10:42;눅22:25, 공동번역 ‘통치자’).

집다 take up 

물건을 잡다. 성경에는 하나님의 능력, 곧 권능을 받으면 뱀을 집어도 해를 입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되어 있다(막16:18).

집비둘기 pigeon

야생 비둘기와 구분하여 집에서 기르는 비둘기로, 성경에서는 제사 의식과 관련하여 많이 사용되었다. 집비둘기는 공식적인 언약을 맺는 의식에 사용되는 제물 가운데 하나였고 (창15:9), 번제나 속죄제 때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바치는 제물이기도 하였다(레1:14;12:6), 이는 하나님께서 제물의 귀하고 천함을 떠나 은혜를 골고루 내려주심을 의미한다. 집비둘기는 나실인의 정결의식의 제물로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나실인이 우연히 시체에 몸이 닿아 부정하게 되었을 때 그 나실인은 자신을정결하게 하기 위해 제 칠 일에는 머리칼을 밀고, 제팔 일에는 집비둘기를 제사장께 드려야 했다(민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