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나다 lack
일정한 수 또는 양에 부족이 생기다. 모세의 지도 하에 이스라엘 백성은 미디안과의 전쟁에서 단 한 사람의 군사도 축나지 않은 채 큰 승리를 거두었는데, 여기서 '축나다'는 것은 '전사하는 것' 또는 '실종되는 것'을 의미하였다(민31:49).
축복하다 bless
하나님의 호의와 선하심이 다른 사람에게 임하기를 바라거나 선포하는 행위.
1. 하나님께서는 자연(창1:22), 인류(1:28), 일곱번째 날(2:3), 나라(시33:12), 여러 부류의 사람들(시1:1-3), 개인(창22:17;24:1)에게 복을 주셨다. 그분이 주신 가장 크신 은 우리를 악(惡)으로부터 돌이키게 하시고(행 3:25-26), 우리의 죄를 용서해 주신 것이다(롬4:7-8).
2. 이 단어가 하나님을 향하여 쓰여졌을 때는 그분을 사랑하고, 예배하며, 찬양해야 한다는 뜻이다(신 8:10;시103:1-2;145:1-3). 예배하는 자가 하나님께 드리는 것(축복)과 그분께 구하는 것(축복강복)에 대하여 동일한 히브리어 단어가 사용된다(바라크), 하나님을 '축복' 할 때, 우리는 그분의 영광을 우리의 목적보다 먼저 구하게 되며 예배석에서 응답한다. 우리에게 복을 주시기를 그분께 구할 때, 그분께서 우리의 필요들을 생각나도록 하시며 우리는 그것들을 깨달음으로 응답한다.
3. 믿는 사람들은 말이나 행동으로 다른 이들에게 복을 빌 수 있다(마5:44;벧전3:9).
4. 성서 시대에는 경건한 사람들이 성령의 감동으로 그들의 자손에게 예언적인 축복을 하였다. 노아가야벳과 셈에게 축복하였고(창9:26-27), 이삭은 야곱과에서에게(27:27-29,39-40), 야곱은 이스라엘 지파들에게 (창49장) 축복하였다. 만약 실수로 잘못 말하였다고 하더라도 일단 한번 주어진 축복은 되돌려질 수 없었다(창27장).
5. 보통 지도자들이 백성들에게, 특히 죽을 때가 임박하여 그들과 헤어지게 되었을 때, 축복하였다. 모세(신33장), 여호수아(수22:6-7), 그리고 예수(눅24:50)의 경우가 여기에 속한다.
6. 우리는 성별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물건들을 구별하여 축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례전의 잔' 등이다(고전10:16).
축사하다 bless
축복하고 감사함을 일컫는 말로서, 하나님께 감사드린 후 함께하는 사람들을 위해 복을 빌 때 주로 사용되었다. 제물은 제사장이 축사를 한 후 먹었으며(삼상9:13), 레위인들은 새벽과 저녁, 하루에 두번씩 서서 하나님께 축사하며 찬송(공동번역 감사찬송)하였다(대상23:30).
신약성경에서 축사(공동 새번역 '감사의 기도', 개정판 '축복하다')는 대부분 예수께서 하셨다. 예수께서 5천 명을 먹이실 때 물고기 두 마리와 떡 다섯 개를 가지사 축사하셨고(마14:19;막6:41), 4천 명을 먹이실 때도 물고기 두 마리와 떡 일곱 개를 가지사 축사하였다(마15:36;막8:6). 바울이 전하는 기록에 따르면 예수께서는 잡히기 전날 밤 제자들과의 식사에서 떡과 잔을 가지사 축사하였다(고전11:24. 신약성경에서 예수 외에 축사를 사용한 유일한 사람은 사도 바울이었다(행27:35).
축소 scant
줄어서 작아짐, 혹은 줄여서 작게 함을 일컫는 말이다. 미가 선지자는 상인들이 부당 이익을 취하기 위하여 부피를 줄인 말(斗)에 대해서 표현할 때 이 말을 사용하였다(미6:10).
축원 blessing
하나님에게 자기가 바라는 일이 이루어지게 해 달라고 밟을 일컫는 말. 잠언 기자는 성읍이 정직한 자의 축원(공동번역 '올바른 사람의 축복')을 통해서 진흥하고, 악한 자의 입을 통해서 무너진다고 교훈하고 있다(잠11:11).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출발하다 / 출번 / 출생 / 출애굽 / 출애굽기 (0) | 2022.11.05 |
---|---|
(성경사전) 축축하다 / 축하하다 / 출가하지 않다 / 출교 / 출구 (0) | 2022.11.05 |
(성경사전) 추위 / 추장 / 추종하다 / 추하다 / 축 (0) | 2022.11.05 |
(성경사전) 추(돌) / 추격하다 / 추수(꾼) / 추악 / 추억 (0) | 2022.11.05 |
(성경사전) 총무 / 총수 / 총회 / 최고 / 최후 (0) | 2022.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