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칭찬하다 / 칭하다 / 칭호 / 칼1 / 칼2

칭찬하다 bless

잘 한다고 추켜줌, 혹은 좋은 점을 기림.성경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은 지식이나 아름다운 외모나 좋은 행적을 인하여 사람들로부터 받는 칭송을가리키는 말로 많이 사용되었지만(삼상25:33; 삼하14:25), 때로는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칭찬에 대해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그것은 하나님을 경외하거나(잠31:30), 율법적이 아닌 성령의 세례를 받거나(롬2:29),단련받아 순수한 믿음을 소유할 때(벧전1:7) 온다. 칭찬은 사람을 시련하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며(잠27:21), 칭찬 듣는 것은 초대교회 일곱 집사의 선택 조건 가운데 하나이기도 한데, 여기서는 신앙의 두터움을 의미한다(행6:3). 한편 공동번역에 따르면, 칭찬이하나님에 대하여 사용될 때는 찬양이라는 의미를 갖게 된다(신26:19). 그러나 개역과 새번역을 따르면 '너희가 칭찬을 받고 명예와 영광을 얻게 하시고..…'가 된다.

칭하다 call

부르다, 이름짓다, 일컫다의 의미이다. 성경에서는 사물이나 사람, 지명 등의 이름을 짓는 일에 이 단어가사용되고 있다(민11:3;13:16;룻1:20;사60:18). 그러나 이단어는 하나님의 표호와도 연관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즉 하나님은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하나님이라칭함을 받았으며(눅20:37), 그리스도는 주라 칭함을 받았다(마22:43).

칭호 surname

명예, 지위 등 사회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이름을 일컫는 말로서,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위하여 고레스를 선택하시고 그에게칭호를 주셨다(사45:4, 공동번역 '작위', 새번역 '영예'로운 이름').

 

칼1 stocks

죄인에게 씌우는 형틀의 한 가지로 차꼬와 비슷하다. 느헬람 사람 스마야는 제사장 스바냐와 모든 제사장에게 글을 보내어 예레미야에게 차꼬와 칼로 구속하지 아니함을 책망하였다(렘29:26). <참조> 차꼬

칼2 knife

칼은 구약성경에서 가장 자주 언급된 무기 가운데 하나이다. 이 칼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전쟁 무기로 사용하기 위해서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고고학적 증거에 의하면 B. C. 3500년경까지는 돌칼이 사용되었으나, B. C. 3500년경 이후부터는 청동제 칼이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B. C. 1200년경이 되면서부터 철제 칼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성경에서 돌칼이 사용된 예는 여호수아 시대에 이스라엘 백성의 할례를 위함이었는데(수5:2-3) 당시 가정에서는 돌칼을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아 제의적인 부분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청동제 칼은 성경에서 정확히 청동제라는 사실을 밝히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된 예를 찾기 힘들지만 아마도 이삭을 희생제물로 드릴 때나(창22:6), 레위인이 시체를 열두 조각으로 나눌 때(삿19:29)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B. C. 12세기 말엽 블레셋 사람들과 다른 해상 민족들은 철로 만든 길고 곧은 칼을 도입하였으나 이스라엘에는 철기술을 가진 철공들이 없어 제작하지 못한 듯하다(삼상13:19), 칼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강철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철을 단련하는 기술은 블레셋인들이 이스라엘 사람들에 대하여 지켰던 군사적 비밀이었을 것이다. 이 때문에 이스라엘에서 철제 기구를 벼리려면 블레셋의 도시로 가야만 했다(삼상13:20).
칼은 상징적인 의미로도 쓰여지는데 주로 하나님의 진노로 인한 심판(시 7:12;사34:5;렘46:10;겔6:3)을 의미하거나 전쟁(출5:3) 또는 군사적인 힘(시89:43)을 나타낼 때 사용되었다. 또한 호된 말이나 예리한 혀 그리고 악의 있는 말이 칼에 비유되었고(시64:3;12:18),음녀에게 빠지는 것은 두 날을 가진 칼과 만나는 것처럼 치명적임을 나타냈다(짐5:4). 그 외에도 이것은 가족간의 갈등과 분열을 의미하며 (마10:340, 특별히 능력있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표현으로 사용되었다(엡0:17; 히 4:12: 계1:16:2:12), 초대교회 당시 헤롯은 요한의형제 야고보를 칼로 죽였으며 (행 12:2), 믿음을 지키다가 칼에 죽은 사람들도 있다(히 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