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콧김 / 콧소리 / 콩 / 콩팥 / 쾌락

콧김 blast of nostril

코에서 나오는 더운 김을 말한다. 특히 이 단어는 하나님의 진노를 표현하는데 비유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욥은 하나님의 입기운과 콧김에 모두가 멸망하고 사라진다고 고백하였다(욥4:9).

콧소리 glory of one's nostril 

콧구멍을 통하여 내는 소리. 피조 세계에 대한 하나님의주권에 대한 설명 가운데 말은 욥기에서 언급되었는데, 하나님께서는 말의 콧소리에 모두가 두려워 한다고 말씀하셨다(욥39:20).

콩 bean

고대부터 식용으로 재배되었던콩과의 식물로 팔레스타인의 넓은 지역에서 경작되었다. 콩은 팔레스타인에서 즐겨먹는 곡식 가운데 하나이며(삼하17:28), 여러 곡식과 혼합하여 떡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겔4:9). 또한 이것은 다윗이압살롬을 피하여 마하나임에 이르렀을 때 길르앗 사람바실래를 비롯한 암몬 사람들에게 공궤받은 식품 가운데 하나였으며(삼하17:28), 포위당한 이스라엘의 고통을 상징하는 떡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겔4:9).

 

콩팥 kidney
인간이나 동물의 소변 배설 작용을 맡은 기관. 구약시대에는 화목제를드릴 때 희생 제물의 콩팥을 내장에 덮인 기름과 간꺼풀 등과 함께 드렸다(출29:13). 사실 많은 내장들 가운데 왜 콩팥만 드렸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명확한답변이 없다. 하지만 히브리 사상에서 콩팥은 사람의마음과 감정이 발산되는 곳으로 이해되어져 왔기 때문에, 이 콩팥은 내장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졌을 가능성이 있다.

쾌락 delight

욕망을 만족시키는 즐거움을 의미하는 말로서, 아가서 7:6에서는 신부의 아름다움이 주는즐거움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성경은 관능적인 쾌락의 위험에 대해 경계하도록 권하고 있다(참고. 눅8:14;약4:3). 그리고 쾌락의 추구는 마지막 날 즉 예수의 재림이 있기 전 인간들이 범하는 죄들 가운데서 중요한몫을 차지한다(딤후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