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쾌활 / 쿰란 / 크다 / 크리스마스

쾌활 comfort

성격 등이 명랑하고 활발함을 일컫는 말로서, 성경에서는 유쾌하고즐거운 기분을 의미하는 뜻으로도 사용되었다. 아브라함은 소돔과 고모라를 멸하러 가는 주의 사자들에게 대접하는 떡을 먹고 마음을 쾌활하게 한 후에(공동번역 ‘피곤을 푸신 뒤에', 새번역 '기분이 상쾌해진 다음에') 가도록 권유하였다(창18:5).

쿰란 Qumran

사해 북서쪽에 있는 한 개울(wadi)의 이름이면서 그 근처에 있는 한 고대 폐허유적)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 이름의 유래는 확실치 않으나 고모라와 연결시키려는 시도(예를 들면, F.de Saulcy의 시도)는 타당치 않다. 이 이름은 그곳을 지나다녔던 많은 여행자들에 의해 기록되었으나1947년 이후 인근 여러 동굴에서 사본들이 발견되어 이 이름이 지도상에 표시되기 전까지는 실질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1951년에서 1955년 사이 키르벳 쿰란(KhirbetQumran, ‘쿰란 폐허')에서 이루어졌던 발굴들로인해 이 복합 건물들은 쿰란 사본들의 주인이였던공동체의 본부였음이 입증된 것으로 통상 간주된다. 키르벳 쿰란과 사해 사이에 있는 한 묘지는 이공동체의 공동묘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묘지에서 1000개가 넘는 매장지가 확인되었으며, 시신들은 머리를 남쪽으로 향한 채 남북으로 뉘어져 있는것이 확인되었다.
이 유적지는 유다 왕정 시기(이 시기에 둥근 물웅덩이가 퍼졌던 것으로 본다. 참조 대하 26:10) 에점유되었던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가장 관심을 끄는 점유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두루마리의 백성' 과연관된 단계들이다. la 단계(BC 130-110년 경)에서는 옛날의 둥근 물웅덩이를 제거하고 새롭게 두개의 직사각 모양의 물웅덩이를 파고 및 개의 방과한 개의 도기 굽는 가마를 건축하였던 것이 특징이다. 그 다음 1 단계에서는 크게 확대된 공동체의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정교하게 본부 건물들을재건축하였던 것이 특징이다. 이 단계는 아마도 파르티아의 침략으로 인해 BC 40년 경 끝이 났다.이 공동체가 얼마 동안 자리를 비운 사이 건물들은BC 31년에 일어난 지진으로 인해 심한 피해를 입었다. 이 집터는 손상된 건물들이 보수되고 증축되었던 BC 4년 경까지 버려져 있었다. 이렇게 시작된 제2단계에 이 장소는 1단계에서와 같은 역할을했던 것이 분명하다. 오늘날 명백히 확인할 수 있는 시설물로는 강당, 필사실, 부엌, 세탁실, 도기 공장(고대 팔레스타인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도기 공장 가운데 가장 보존 상태가 좋다), 밀 방아간, 저장실, 가마솥, 용광로, 철공소, 정교한 수도 시설 등이 있다.
이 점유 단계들은 발굴 과정에서 발견된 수백 개의 동전들의 기록으로 인해 상당히 분명하게 밝혀지고 있다. 당시 사용되던 이 동전들의 기록은 제2단계가 주후 68년 경에 끝났음을 암시해 준다. 또다른 증거는 제2 단계의 종말이 처절하였음을 보여준다. 완전히 파괴된 성벽들, 집터를 뒤덮으며 쌓여있는 검은 재, 수 많은 화살촉들은 이때의 처참했던광경을 무언으로 증언해 준다. 이 사건들을 AD 68년 여름 로마 군대가 여리고를 점령하던 때 이 지역에 전개한 소탕작전과 연관시킬 수 있다. 그러나쿰란 공동체가 이 당시까지 이곳을 점유하고 있었는지, 아니면 반란군 수비대가 이 잘 지어진 본부건물들을 인수해 있었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제3 단계에는 로마의 한 수비대가 폐허 위에 몇개의 방을 짓고 몇 년간 진주하였다.
히르벳 쿰란의 발굴 이후 이곳은 플리니(plinythe Elder)가 엔게디 위에 위치해 있다고 지적했던에세네파 거주지와 동일하다는 견해가 널리 받아들이지고 있다.

크다 great

성경에서 이 말은 매우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부피나 길이 또는 넓이의 큼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지만(창29:2;민13:28;대하9:17;사8:1;슥4:7), 하나님에 대하여 사용될 때는 하나님의 초월적이고 위대하신 속성을 의미한다(출15:7;18:11;신9:29;욥5:9;시79:11;딛2:13), 한편 나라나 민족에 대하여 사용될 때는 숫적으로 많다는 의미뿐 아니라 군사력이나 경제력 등 총체적인 강대함을 의미한다(창12:2;32:10;민14:12;렘28:8), 또한 이 말은 숫자의 많음이나(왕상8:65;느12:31;단11:25;요12:9), 권위나 지위의 높음(민22:17;수4:14;막9:34;요4:12) 혹은 어떤 것의 중요성(막12:31;요15:13)을가리킬 때도 사용되었다. 그 외에도 감정의 굴곡이 극대화됨을 의미하거나(창50:10;대상29:22;대하30:26;롬9:1-2), 하나님의 징계나 심판이 크고 준엄함(민11:33;신29:24;대하21:4)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크리스마스 Christmas

예수 그리스도의탄생을 축하하는 기념일. 이 명칭은 그리스도의 미사(Christ's mass)를 뜻하는 옛 영어 크리스테스 메세(Cristes-maesse or Cristes-messe)에서 유래한다.이 날이 최초로 언급된 곳은 A. D 354년의 로마 연감이다. 언급된 부분의 기록 연대로 미루어 볼 때로마 교회에 의해 이 날이 지켜진 것은 적어도 A. D336년까지 거슬러 울라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그리스도 탄생 일자에 대한 확실한 전승은 없다.복음서에서도 날과 달을 제시해 주지 않는다. 누가복음(2:1-3)에서 그리스도 탄생을 역사적으로 조망하고 있기는 하지만, 정확하게 연도가 결정될 수는없다. 오늘날의 학자들은 B. C 6-4년 정도일 것으로 추측한다. 그러면 왜 주님의 탄생축일이 12월25일과 1월 6일로 정해졌을까? 이것을 설명하고자여러 이론들이 제기되었다.
어떤 이들은 12월 25일을 실제로 그리스도 탄생일로 믿어서 세례요한의 잉태로부터 이를 입증하려고 하였다. 사가랴가 대제사장이었을 때 속죄일이 9월 24일이었다고 가정하면 요한은 6월 24일 태어났고 그리스도는 6개월 후인 12월 25일에 탄생하였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 이론은 현재 완전히 비합리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그리스도의 십자가 수난일이라고 전해 내려온 3월 25일로부터 크리스마스 날짜가 결정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상징 체계에서 분수꼴은 의미가 없으므로 고대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삶의 연수를 완전수로 추정했을 것이다. 만일, 3월 25일에죽었다면 그분은 틀림없이 같은 날짜에 잉태되었을것이고 따라서 9달 후인 12월 25일에 태어났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이론은 동지(冬至)날(율리우스력으로 12월 25일, 이집트력으로 1월 6일)을 그리스도 탄생일로 지정했다는 설이다. A.D 274년아우렐리우스 황제는 '정복될 수 없는 태양신'으로상징되는 지고신(神)을 제국의 최고 수호신으로공표하고 신전을 지어 봉헌하였다. 이 대중적인 로마의 이방신 축제가 동지날에 열렸던 것이다. A. D312년에 기독교로 전향한 콘스탄틴 황제는 그리스도(참조. 말4:2)의 능력과 이 지고자의 능력이 서로질적으로 통하는 것으로 보아 이방신 축제일을 기독교 축제로 제정하는데 영향력을 끼쳤다는 것이다. 실지로 3세기 초부터는 그리스도의 탄생과 동지날을 대비하는 교회 교부들이 글 속에서 그리스도의 칭호로서 '정의의 태양'이 등장한다는 점에서이 설은 지지 받고 있다. 비록 이방신의 축제일이크리스마스로 대체되었다는 것이 명확하게 증명될수는 없겠으나, 이 설이 가장 설득력 있는 것으로받아 들여지고 있다.
크리스마스는 매우 일찍이 북아프리카에 전파되었음이 발견된다. A.D 383년 경 누미디아(Numidia)에서 행해진 설교가 현존하는 크리스마스 설교로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전해지고잇는것이다. 이 절기는 암브로시우스 시대에(A. D 397년 경) 밀란에 소개되었다. 스페인에서는 A. D 384년 이전에 크리스마스가 지켜졌음이 교황 시리키우스(Siricius, 384-399) 의 서신에 의해 증명이 된다.
동방에서는 이 날이 원래는 1월 6일날 지켜졌으나 A. D 4세기 말에 이르러 서방의 축제일인 12월25일이 받아들여졌다. 안디옥에는 크리소스톰이 행한 설교로 미루어 보아 A. D 386~388년 경에 알려진 것 같다.
그러나 팔레스틴 지역에서는 그리스도 탄생이A. D 7세기 중엽에 12월 25일이 완전히 받아들여지기까지 1월 6일날 축하되었다.
동방교회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현현하심을 기념하는 주현절(Epiphany)과 적절히 조화를 이루면서 세상의 빛이요 구원자로서성육신한 그리스도를 축하하는 이 날은 A. D 4세기와5세기에 교회의 큰 관심 속에 풍미되면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과 관련된 신조들과 교리적 진술들을 형성하였다.
크리스마스는 기독교인들 뿐만 아니라 비기독교인들 사이에서도 가장 인기있는 축제이고 수많은전승들이 한데 얽혀 관습으로 전해온다. 고대 로마의 이방신 세투르날리아(Saturnalia)의 축제(12월17일)와 이내 해가 바뀐다는 것으로부터 흥겨운 놀이와 선물교환이 행해졌다. 한 겨울에 행해졌던 옛게르만 족의 관습은 크리스마스 이브에 장작으로불을 밝히고 상록수를 장식하는 풍습에 영향을 주었다. 크리스마스 트리는 낙원의 나무(창2:9)를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둔 중세 독일의 밀의 종교의식에서 왔다. 아씨시의 성 프란시스코는 말구유가 있는성탄절 예수 탄생 그림을 대중화시켰다.
또 다른 중세의 대중적인 축제는 12월 6일에 지켜진 미라의 성 니콜라스(St. Nicholas of Myra,A. D 340년 경) 축일이다. 이 날 니콜라스는 어린들을 찾아와 선물을 나누어주고 훈계도 했던 것으로 사람들은 믿었다. 네덜란드 사람들을 통하여 성니콜라스(Sinter Klaas, 따라서 '싼타 클로스' SantaClaus) 전승은 자신들의 식민지였던 미국의 뉴암스테르담(New Amsterdam, 오늘날의 New York)에 전해졌다. 크리스마스 카드는 1840년대 영국에서 시작되었고 1870 년대에 미국에 소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