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식/-하다 sigh
한탄하며 한숨을 쉰다는 의미.성경에 나타난 탄식의 원인은 여러 가지로 볼 수 있다. 먼저 심한 고역(출2:23), 궁핍과 압박(시31:911;55:2,17;애1:11;욜1:18), 근심이나 악인의 득세와 가증한 행위(잠29:2;겔9:4)로 인해서 탄식하기도 한다. 또한 민족의 멸망시 7:11:24:5-7; 에 1:48)이나 고통과 슬픔(렘45:3), 재앙의 소문(겔 21:7). 여호와의 심판(렘31:18)과 패망(48:17; 겔 24:23), 임박한 환난(렉,307)과 죽은 자들로 인해 탄식 (겔 24:17) 하기도 한다. 신약성경에서는피조물이 허무한 것에 굴복하거나(롬8:20-22), 우리 몸의 구속을 기다리며 (8:23), 땅의 장막을 입고 있음으로인해 탄식한다(고후5:2,4),
탄식하는 사람은 밤마다 침상과 요를 적시거나(시(16) 허리가 끊어지는 듯이 슬프게 탄식한다고(겔 21:6)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탄식은 기력이 약해지고 뼈가쇠하여지게 하는데(시102:5), 하나님께서 인간의 탄식을 들어주심으로(사21:2) 인간은 슬픔을 잊고 기쁨과즐거움을 얻게 되며(35:10;51:11), 멸망으로부터 구원을얻게 된다(벧후2:7-8). 그리고 믿음을 가진 자들과 의로운 자들(겔9:4; 롬8:23), 그리고 성령과 예수께서도 탄식하셨는데(막7:34:롬8:26), 이러한 탄식은 의로운 탄식이라고 볼 수 있다.
탄원 supplication
사정을 아뢰고 도움을 간절히 바라는 것을 의미하는데, 원어상으로는 애원이나 자비와 같은 뜻이다. 성경에서는 신이나 높은 자리에 있는 분에게 은혜나 자비를 청하는 경우에 사용되었는데, 개역성경에서는 투옥된 참선지자예레미야가 시드기야 왕에게 은총을 구하는 장면에서나타난다(렘37:20, 공동번역 '간청', 새번역 '간구').
탄일 birthday
탄생일(誕生日)의 준말로 태어난 날을 일컫는 것인데, 왕이나 높은 지위에 있는 자들의 생일을 존경하는 의미로 높이어 칭하는 것이다. 성경에서는 바로의 생일을일컬을 때 사용되었다(창40:20).
탈 cloak
속에 있는 참된 것은 감추고 거짓된 것을 진실인 것처럼 속이는것 혹은 가면과 같은 의미이다. 성경에서는 복음 전파라는 구실 아래 속으로는 사리사욕을 채우려는 위선적인 행동을 일컬을 때 사용되었다(살전2:5, 공동번역 '속임수').
탈무드 Talmud
탈무드(talmùd)는 유대인 율법학자들의 구전(口傳)과 해설을 수집한 책으로서 미쉬나(Mishnah)와 개마라(Gemara)로 구성되어있다. 미쉬나는 AD 2세기 말에 성립되고 랍비 유다(Rabbi Judah the Prince)에 의해 편찬된 구전율법이며, 개마라는 AD 200-500년의 랍비들이 미쉬나에 관해 주석해 놓은 것이다. 탈무드는 정교한토론을 통해 결정에 도달하게 된 율법적 규정들과교훈들로 된 할라카(Halakhah)와 비율법적인 윤리적 해석들인 학가다(Haggadah)를 담고 있다. 탈무드는 유대 법률의 근원이 되고 있으며 정통파 유대인들의 신앙과 생활의 지침이 되고 있다. 그러나자유주의적 유대인들은 탈무드에 관심을 갖고 존중하면서도 권위주의적으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탈무드는 유대인들이 구약을 어떻게 해석했는가를 아는 데 매우 중요하며, 신약의 여러 부분들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모세 율법을 이스라엘의 변화하는 조건들에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을 때 '위대한 회당' (GreatSynagogue, 120명으로 구성)이 이런 권위를 갖게되었다고 주장하나 이런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하나도 없다. 랍비 아키바(AD 110-35년경) 혹은그보다 앞선 어느 학자가 전통적 법률들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였으며, 랍비 유다는 이 자료와 다른 부분들을 이용하여 미쉬나를 편찬하였다. 미쉬나의 최초의 편찬은 제 2성전 시기에 융성하였던 유명한 힐렐과 샴마이 학파 시절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미쉬나는 주제, 성경적 순서 등에 따라 크게 여섯 부문으로 나뉘어진다. 첫째 부문(종자)은 토지경작과 관계된 농사법과 종교적 의무들을 다루는데,여기에는 농산물을 제사장, 레위인 및 가난한 자들에게 바치는 것에 관한 계명들도 포함된다. 둘째부문(절기)은 안식일을 위시한 종교력(宗敎曆)의 여러 절기들을 설명하는데, 절기 때의 의식과 제물에관해서도 설명한다. 세째 부문(여자)은 결혼, 이혼,수혼(가족 중의 한 형제가 대를 이을 아들을 낳지못하고 죽을 경우 남아 있는 형제가 그 형수와 살아야 하는 결혼. 참조. 신25:5-6), 간음에 관한 법률 및 나실인 규정들을 다룬다.
미쉬나의 네째 부문(불법행위)은 민법, 여러 종류의 상거래, 재판절차 등을 다루며, 랍비들의 훌륭한 윤리적 명언들도 수록되어 있다. 다섯째 부문성물 · 聖物)은 제물, 처음 태어난 것, 성전 규모와 성전의 희생 제사와 관계된 규정을 제시하며, 헤롯성전에 관해서도 묘사한다. 여섯째 부문(징결)은레위기적인 정함과 부정함, 정하고 부정한 사람과대상, 정결과 관계된 법률들을 정하고 있다. 랍비유다는 이 모든 부문들에서 실행되는 법과 사문화된 법, 시민적 실천과 종교적 실천을 구분하려고 하였다.
미쉬나는 간결, 명확, 이해하기 쉬운 특징을 지녀 랍비 아카데미에서 교과서로 사용되었다. 팔레스타인에는 디베랴, 가이사랴, 셉포리스, 리다에 아카데미가 있었으며, 바벨론에는 수라, 품베디타, 네하르데아에 아카데미가 있어 팔레스타인 탈무드와바벨론 탈무드를 만들어 내었는데, 미쉬나가 편찬된직후 미쉬나는 이들 아카데미의 공식적 기준이 되었었다. 이런 배움터에서 이루어진 토론이 율법 연구의 핵심이 되어 탈무드로 알려지게 되었다.
탈무드에 담긴 토론들의 태반은 대화형식으로되어 있다. 대화로 질문을 제기하여 그 원인과 기원을 찾아내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대화가 길어학가다로 넘어가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것은 율법토론의 복잡하고 단조로운 성격을 완화시키려는 문학적 기교이기도 하다. 현존하는 탈무드는 미쉬나의 3분의 2만을 주석하고 있다. 여기에는 율법에관한 인정된 결정과 거부된 결정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실로 탈무드는 에스라에서부터 AD 6세기에 이르는 유대교의 중단 없는 노력을 보여주는 것이며,유대 민족의 모든 생명력과 총체적인 종교적 활동의 결실이기도 하다. 탈무드는 기독교 탄생 전후의중요한 여러 세기 동안에 팔레스타인과 바벨론에살던 유대인들의 생활방식과 제도 및 지식, 한 마디로 이들의 문명 전체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 민족의 정서와 신념과 혼이 담겨 있다는데이 작품의 중요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탐색 / 탐스럽다 / 탐식자 / 탐심 / 탐욕 (0) | 2022.11.06 |
---|---|
(성경사전) 탈취물 / 탐구하다 / 탐내다 / 탐람 / 탐리하다 (0) | 2022.11.06 |
(성경사전) 타처 / 타파하다 / 탁류 / 탁월(하다) / 탄로 (0) | 2022.11.06 |
(성경사전) 타락(하다) / 타인 / 타작(마당) / 타작기(계) / 타조 (0) | 2022.11.06 |
(성경사전) 키질하다 / 타격 / 타국(인) / 타다1 / 타다2 / 타다3 (0) | 2022.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