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피곤(하다) / 피난처 / 피다 / 피리 / 피부

피곤/-하다 languish

너무 지쳐서 기운이 없고 나른한 상태를 의미한다. 피곤의 종류로는 육체적인 피로(렘12:5),정신적인 피로(창27:46), 영적인 피로(히12:12)를 들 수있다. 또한 피로의 원인으로는 무거운 짐(사46:1), 달리기(렘12:5), 많이 공부하는 것(전12:12), 밤샘(막14:40), 적군과의 전투(삼상14:31:30:9-10;삼하21:15), 하나님의 심판(애1:14;5:17), 말씀을 잃고 방황함(시107:45), 범죄(38:8) 등이다. 이는 자빠지거나(사40:31) 주저앉게 하는(겔7:17;히12:12-13) 결과를 가져온다. 피로를회복하기 위해서는 여호와를 앙망하며(사40:29-31) 기도하고(시143:7), 영적인 안식을 취하여(사28:12;렘31:25) 예수를 바라보며(히12:2-3), 영속적인 믿음을 갖는 것이다(갈6:9). 시편 기자도 주의 구원을 영혼이 피곤하기까지 사모한다고 고백하고 있다(시119:8182,123). 그러나 하나님은 피곤치 아니하신 분이라고기록되어 있다(사40:28).

피난처 refuge

위험이나 재난을 피해 옮긴 거처나 피난할 수 있는 곳. 구약성경에 나타난 피난처라는 단어에 대한 기본 개념의 근원은 전쟁에 관한 언어에서 유래되는데, 팔레스타인산지의 특수 환경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암석으로이루어진 자연적인 보호지와 인공적인 보호지 모두를가리킨다(참고, 삿6:2;삼상13:6;사2:10), 즉 구약성경에서 피난으로 번역된 히브리어들은 대개가 안전이라는의미와 결부되어 있다. 여호와에 대하여 사용된 피난처는 인간을 보호하시는 하나님을 가리키는 비슷한의미를 지닌 많은 단어들(반석, 요새 등) 가운데 하나로서, 이러한 개념은 시편과 구약성경의 시작품 속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다. 특히 시편에서는 하나님이 자신을 직접 피난처로 알리시기도 하신다(시 48:3,공동번역 '성채'). 인간이 하나님을 피난처로 삼는 것은 대적들(시17:7;37:40;43:1)이나 권력자들의 압제(14:6), 큰 환난(46:1;59:16)이나 재앙(렘17:17)과 같은 위험들 때문이었다.

피다 open

꽃이나 잎 따위가 벌어진 것을 의미한다. 성경에서 꽃이 핀다는 것은 좋은상황을 의미하는데, 이사야 선지자는 메시야 시대가되면 사막이 백합화같이 피고 이로 인해 기쁜 노래도부르며 즐거워하게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사35:1-2).

피리 pipe 

국악의 목관 악기의 한 가지 또는 속이 빈 대롱에구멍을 뚫고 불어서 소리를 내는 것을 통틀어 이르는말이다. 피리는 종교적인 봉사(대하15:14), 장례식(마9:23), 잔치나 즐거운 일(욥21:12;마11:17;눅7:32)이 있을때 사용되었다. 그리고 구원의 즐거움(사30:29), 애통한 일(욥30:31;렘48:36)을 의미할 때 비유적인 표현으로 기록되었다.

피부 skin

일반적으로 몸의 표면을 싸고 있는 외피, 살가죽을 뜻하지만 간혹 벌거벗은몸, 즉 맨살을 가리키기도 한다(욥16:15). 성경에서는문둥병 진단의 방편들 가운데 하나로 언급되고 있는데, 피부에 나타난 병의 증상으로 문둥병의 유무를 판별하였다(레13장). 욥은 자신의 피부에 생긴 질병의악화된 모습을 '내 피부와 살이 뼈에 붙었다 는 말로묘사하였다(욥19:20). 한편 예레미야 선지자는 여러인종의 피부 가운데서도 특히 검은 색을 띤 구스인의피부가 결코 희어질 수 없음을 예로 들어 유대인의 돌이킬 수 없는 죄악을 고발하였으며(레 13:23), 극한 굶주힘에 지친 유대인의 상황을 피부가 그을린 듯 까맣게 되었다고 묘사했다(애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