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라어/-말 Greek
헬라어는 인도-유럽 어족의 주요 어파 중의 하나이다. 이 인도 - 유럽 어족은 바스크어, 핀란드어, 헝가리어를 제외한 유럽의 모든 언어와 인도에서 사용되는 범어 및 그 계통으로부터 파생된 언어들의 모체어로 추정된 언어이다. 아일랜드에서 파키스탄에 이르기까지 여러 언어간에 그 어휘에 대한 비교나 형태론, 문장론 등의 연구를 통해서 이러한 언어학적인 친족 관계를 입증할 수 있다. 원래 인도-유럽어라고 하는 하나의 모체가 되는 단위로서 그 형태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서로간에 어떤 연관이든지 결부되어 있음을 입증할 수 있는 언어들이 널리 확산되어 분포해 있다는 사실은 그러한 초기 형태의 언어 단위를 상정하는데 있어서 강력한 논증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어쨌든 인도-유럽 어족에 속한 언어들을 매우 넓게 퍼뜨렸던 민족 - 이동의 양상은 사실 A. D. 19세기에 학자들이 상상한 것보다는 훨씬 더 길고도 복잡한 과정이었음이 드러났다.
신약의 언어는 이러한 배경 아래 있는 헬라어 중에서도 코이네(koine) 헬라어이며, 이것은 또 하나의 헬라 방언인 고대의 아티카 방언과 대별된다. 이 아티카 방언은 B. C. 6세기에서 4세기까지 다른 형태의 헬라 방언들을 대체하고 아티카의 수도 아테네를 중심으로 확산되어 사용하였던 고전적인 언어였다. 이 방언은 다른 방언들보다도 그 표현력이 훨씬 풍부하고 그 문장론이 정교하고 세밀하였으며, 유연한 구조와 미묘한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불변사들을 가지고 있어서 인간의 마음을 표현해 내는데 있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방언이었다. 그 결과 이 방언은 여타 지역에 확산되었으며 여러 양태로 단순화 되기도 하고 변형되기도 하여 사용되었다. 후에 이 방언은 단순화된 형태의 아티카어로부터 발전된 기본적인 헬라어에 의해 대체되었는데 그 성격은 국제적인 특성을 지닌 것이었다. 이러한 형태의 방언을 알렉산더가 지중해의 동쪽 끝 지경까지의 그의 정복지에 확산시켰고, 그런 식으로 여기저기 퍼져 사용되었던 헬라이를 코이네 방언 또는 평민 방언이라고 부른다. 이 코이네 방언이바로 신약과 70인역의 언어로서, 대중적인 관용구를자주 사용하고 있고 균형미보다는 직설적인 표현을선호하며 간결하고 압축적인 명확한 표현보다는 그저단순한 표현을 자주 나타내는 서민적인 방언이었다.또한 코이네 헬라어는 고대 아티카어에서 나온 형태의 단어들을 변화시켜서 새로운 단어들을 만들기도하고 문법 구조를 변형시키고 그 의미들까지 변화시켜 차용하기도 하였다. 그러한 변화 중에 특히 히브리어와 아람어 및 라틴어로부터 받은 영향이 주목할 만한 것이다(특별히 abba와 같은 셈어 단어의 자음역과,히브리어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게 된헬라 단어들과 구절들, 그리고 70인역에 다수 나타나는 히브리식의 문법 구조 등을 주목할 것). 이 코이네헬라어는 팔레스타인과 헬라, 로마를 신약시대의 배경으로 묶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으며, 다소의 바울이전세계적인 선교를 할 수 있는 결정적인 상황을 만들어주었고, 그리스도의 교회와 근대 유럽에도 엄청난 영향을 끼친 언어였다(행21:37).
헬라인/-족속 Greeks
헬라 태생의 종족들이나 그 혈통의 사람들을 일컫는다. 신약성경에서 헬라인이라는명칭은 때로 유대인이 아닌 여타 모든 사람들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단어로 쓰이기도 하였다. 역사적으로볼 때 헬라인들은 각기 독립적이었던 네 개의 종족 집단에서 그 계통을 이어왔는데 그것들은 아가야, 이오니아, 아이톨리아, 도리아 종족으로서 헬라에 이주해들어와서는 그곳에 존재하였던 문명을 자신들의 것으로 대체시켰다. 그리고 그때까지 이들 네 개의 종족집단들은 각각 헬라의 서로 다른 지역에 정착하였다.더욱이 이들 집단의 사람들이 각 집단간에 서로 잘 섞여서 생활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헬라는 하나의 국가로 발전하는 대신에 도시 국가들의 집단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 도시 국가들은 서로간에 상대방보다우위에 서려고 전쟁하였으며, 심지어 지중해 연안에고립된 지역을 정복하기도 한 것을 볼 때 그들이 하나의 통일된 제국을 만든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그 뒤로 한참 후에야 마게도냐의 필립이 헬라를 정복하고 그의 아들 알렉산더 대제가 헬라의 문화를 지중해 세계의 대부분 지역에 널리 퍼뜨렸다.
알렉산더가 죽자 그의 장군들이 헬라 문화를 강제적으로 그 제국의 백성들에게 퍼뜨리는 정책을 계속해 나갔다. 이렇게 해서 그들이 헬라 이외의 지역에강요해 살아가게 된 문화 방식을 헬라화(Hellenism)라고 부른다. 수 세기 후에 로마인들이 고대 세계를 정복하였을 때 그들은 지중해 세계를 정치적으로는 재편성하였지만 그 헬라화된 문화를 거의 바꾸지 않았다. 그러므로 성경의 작가들이 '헬라인' 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에는 이 단어가 헬라의 본토 태생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유대인을 제외한 헬라 문화에 영향을 입은 모든 사람들에 대해 말하는 것임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예. 막7:26에서 수로보니게 여인은 헬라인이라 불리웠다). 반대로 '헬라파 사람(Grecians, KJV)','헬라파 유대인(Grecian Jews, NIV)', '헬라화된 사람(Hellenists, RSV)' 이라는 단어들은 오로지 헬라말을 하는 유대인만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행6:1;9:29). (개역은 '헬라파 유대인' 으로, 새번역은 '그리스 말을 하는 유대 사람' (행6:1) 및 '헬라파 유대 사람' (행9:29)을병행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공동번역은 '그리스 말을하는 유대인' 으로 쓰고 있다).
구약에서 헬라는 야완과 동일시되었다(사6:19). 구약에서 헬라인에 대한 언급은 요엘서 3:6에 단 한번 나타난다(헬라 '속'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경우만 그렇다는 것이며 나라 이름이나 지명으로는 '헬라' 라는말이 단 8:21;10:20;11:2;슥9:13 등에 더 나타난다). <참조> 헬라
헬람 Helam
요단 강 동편, 길르앗 북쪽 경계 부근에 있는 성읍으로 수리아 왕 하닷에셀을물리친 장소이다(삼하10:16-19), 하말과 다메섹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의 '알마'로 추정된다.
헬레스 Helez
1. 다윗 군대의 일곱번째 반차를 맡은 지휘관으로 역대상에는 에브라임지파 볼론(발론)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대상11:27;27:10). 그러나 사무엘하 23:26에는 '발디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2. 유다 지파 아사랴의 아들이며 엘르아사의 아버지이다(대상2:39).
헬렉 Helck
므낫세 지파 길르앗 사람이며 헬렉 가문의 선조이다(민26:30;수17:2).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헬리/ 헬바/ 헬본/ 헴단/ 헵시바1/ 헵시바2 (0) | 2022.11.10 |
---|---|
(성경사전) 헬렘/ 헬렙1/ 헬렙2/ 헬렛/ 헬론 (0) | 2022.11.10 |
(성경사전) 헬갓핫수림/ 헬개/ 헬대/ 헬라1/ 헬라2 (0) | 2022.11.10 |
(성경사전) 헤아리다/ 헤엄(치다)/ 헤치다/ 헨/ 헬갓 (0) | 2022.11.10 |
(성경사전) 헤스몬/ 헤스본/ 헤스본 바드랍빔/ 헤시온/ 헤실 (0) | 2022.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