훤화 tumult
'지껄여 떠듦'을 뜻한다. 개역성경에 언급되어있는 이 단어는 원어상으로는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말로서, 왁자지껄 떠들거나 흥분된 소리 혹은 이야기(삼상4:14;시65:7), 소음(사22:2. 참고, 욥39:7 - '지껄이는 것'), 거대한 군중들이 만들어 내는 웅성거리고 떠들썩한 소리(사25:5;66:6) 등 다양한 소리들을 포함하는 뜻을 갖고 있다. 이 단어는 큰 소리치고 설치지만 아무 결과도 낳지 못하는 민족을 풍자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면 예레미야 48:45에서 예레미야는 모압 족속을 가리켜 '휜화하는 자들' 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예레미야애가 2.7에서는 절기의 날에 찬양과 음악으로 가득하였던 여호와의 전이 이방 군대들의 연회와 떠드는 소리로 더럽혀져 있음을 묘사하면서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신약에서 이 단어는 '떠들썩함, 부르짖음, 애곡' 등을 뜻하는 말로 쓰여져 있는 바, 회당장 야이로의 딸의 죽음과 관련하여 사람들이 울며 불며 떠드는 것을 묘사한 데서 이 단어가 보여진다(마9:23; 막5:38).
훼멸/-하다 consumption
허물고 깨뜨려 없애는 것을 뜻하는 말로서, 일반적으로 난폭한 멸망에 적용된다.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진노 및 분노의 표현과 관계되어 자주 나타나는데, 하나님을 버린 자들, 하나님의 말씀을 떠난 자들은 멸망될 것이다. 신명기 29:23에서 이 단어는 회개치 않는 소돔과 고모라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표현하는 말로 사용되었는데, 여기에서의 ‘훼멸하다’ 는 ‘뒤엎다’ (공동 · 새번역 '멸망시키다')를 의미하는 말로서 대파국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예레미야서에서는 바벨론을 예루살렘의 파괴자(훼멸하는 자)로 묘사하고 있다(렘12:12). 이때 이 군사적인 세력은 하나님의 거룩하신 분노가 자신의 계약 백성들에게 부어지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도록 하나님에 의해 선택된 침략군이다(렘15:8). 범죄한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 예시되고 있는 스가랴서의 본문에서 이 단어는 그 나라의 존귀한 모든 것이 멸망되었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11:2-3).
훼방하다/훼방자 reproach/-er
남의 일을 방해하거나 남을 헐뜯어 꾸짖는 것을 뜻한다. 구약에서 이 단어는 대부분 어떤 사람에게 비난이나 조소를 던지는 것이 함축되어 있는 말로 사용되었다. 시편 74:10에서 이 단어는 '조소하다' 혹은 '비난하다'는 뜻을 가진 ‘능욕하다' 라는 말과 병립되는 의미로 나타난다. 어떤 적이 조소를 던지거나 모욕을 가하면서 책망한다는 내용에서는 '조롱하다' 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시119:42). 또한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을 경멸하거나 조소하는 것을 묘사하는 데는 '비웃다' 라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 같은 단어가 하나님을 욕하는 것에 대한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왕하19:4;사37:4,17,23-24) 민수기 15:30과 열왕기하 19:22에서는 '신성 모독하다' 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으며, 잠언 30:10에서는 '중상하다' 라는 의미를 나타내는데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신약에서도 자주 언급되고 있는 이 단어는 '참람하다' (참고. 막2:7;14:64;요10:33;계13:1;17:3)로도 번역되어 있는데, 우선은 하나님의 권능과 위엄을 거스르는 범과에 대해서 쓰여지고(벧후2:10;유8절;계13:6), 다음은 그리스도인들(딤전1:13)과 교회(계 2:9)를 핍박하는 것과, 하나님의 뜻을 거역하거나 그리스도인들을 악평에 빠뜨리는 악한 행위(딛2:5)에 대한 표현으로도 쓰여졌다.
신약은 특별히 용서받을 수 없는 훼방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는데, 성령을 거슬러 모독하는 죄(공동 • 새번역 · 개정판, '성령을 모독하는 것',마12:31)가 그것이다. 이에 대하여 바울은 디모데전서 1:20에서 훼방한 자, 즉 신성모독자를 사탄에게 넘겨주는 것을 유일한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단어는 신약에서 원어상으로는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말인 바, 욕설(딤전5:14), 성전을 더럽히는 것(행21:28)을 나타내기도 한다. 한편 훼방은 죄의 목록 가운데 하나로 열거되어 있다(마15:19;엡4:31; 골3:8;딤전6:4; 딤후3:2). 예수께서는 형식적인 종교적 이유를 핑계삼아 마땅히 부모에게 드려야 할 것을 드리지 않는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을 향해 ‘아비나 어미를 훼방하는 자는 반드시 죽으리라' (참고, 출21:17;레20:9)는 말씀을 들어 책망하셨다(마15:4; 막7:10, 새번역 · 개정판 ‘비방).
훼상 vex
'몸을 다침'을 뜻한다. 원어상으로는 개인에게 가해진 신체적 해로움이나 감정적 고통을 가리키는데, 성경에서는 우리아의 아내와 다윗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의 죽음으로 다윗이 입게 된 상처를 우려하는 말로 언급되어 있다(삼하 12:18), 새번역은 '몸에 해로움'으로 번역하였다.
훼파하다 cut in pieces
헐어서 깨뜨리다'는 뜻이다. 성경에서 이 단어는 문자적인 의미에서 제단(삿6:28,30-32;대하34:4), 가옥(왕하 10:27:11:18; 대하 23:17), 성벽(겔13:14)과 같은 건축물을 무너뜨리는 것, 혹은 성읍(겔19:7)이나 국가(사30:14), 우상(출23:24) 등을 파멸시키는 것을 가리키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주로 주상이나 우상을 부수어서 우상 숭배의 근거 자체를 제거하는 것에 대한 표현으로 사용되었다(출23:24;민33:52;삿6:28;왕하10:27;대하 14:3). 그러나 때로는 성전의 금기명 훼손이의나(왕하24:13. 참고. 대하28:24) 예루살렘 성의 훼파에 대해 사용되기도 했다(스4:15;느1:3). 여호야긴 왕의 학정에 대한 묘사에서 언급되기도 한 이 말은(겔19:7) 특별히 땅을 정복하다(대상20:1) 또는 육체적인 신뢰의 대상을 제거한다는 의미로(미5:10) 사용되기도 하였다. 한편 각 선지서들에서도 훼파라는 말이 많이 나타나는데 선지자들은 이 훼파가 하나님의 심판의 한 방법이나 그 심판의 결과임을 전하고 있다(사23:11;렘5:10;애2:8;겔13:14;호10:14;암7:9). 시편 1377에 쓰여진 원어상의 이 단어는 '벌거벗기다, 수치를 드러내게 하다' 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말인 바, 이중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서 '훼파하라 훼파하라 그 기초까지 훼파하라'는 예루살렘을 향한 에돔(창25:25:36:1)의 조롱은 예루살렘을 농락당한 여인으로 묘사하고 있는 표현으로, '그 여자를 벗겨라, 그 여자를 벗겨라, 그 엉덩이까지' (공동번역 쳐부셔라, 바닥이 드러나게 헐어버려라'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휴거/ 휴식/ 흉갑/ 흉년/ 흉배 (0) | 2022.11.15 |
---|---|
(성경사전) 휘두르다/ 휘장/ 휘파람/ 휙휙/ 휩싸다 (0) | 2022.11.15 |
(성경사전) 훌륭하다/ 훔다/ 훕(사람)/ 훕바/ 훕빔 (0) | 2022.11.15 |
(성경사전) 훈도/ 훈시/ 훌1/ 훌2/ 훌다 (0) | 2022.11.15 |
(성경사전) 후패하다/ 후하다/ 후회하다/ 훅곡/ 훈계 (0)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