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하다(thank)
I. 어원
1. 구약성경
구약성경에서 보면 한글 단어에 속하는 '감사', 즉 단순히 하나님 또는 다른 사람에게 하는 감사의 표현이라는 개념이 없다. 그러면 구약성경에서는 어떤 단어들이 감사의 개념을 의미하고 있는가? 히브리어 '야다'와 파생어 '토다'가 주로 감사로 번역되었는데, 이 말은 '공적으로 선포하다' 또는 '인정하다'라는 의미이다. 또한 이 말은 인간의 죄에 대한 고백, 그리고 또한 하나님의 성품과 역사에 대한 공적인 고백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히브리적 개념은 감사가 아니라 '찬양'이다. 히브리인들은 자신들을 위하여 행하신 하나님의 역사들을 이야기하는 찬양을 통하여 당신께 감사를 표현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2. 신약성경
(1) '카리스' : 명사로서 은혜로운 호의, 부여된 혜택을 뜻하며, 동시에 받은 바 은혜에 대한 적절한 감사를 의미한다. 즉, 주는 입장에서는 호의요, 받는 입장에서는 감사이다(요 1:14, 16-17; 고전 16:3 '은혜'; 행 25:3 '호의'; 눅 6:32-34 '칭찬', KJV 'thank'; 롬 6:17 '하나님께 감사'; 벧전 2:19 '아름다우나'; KJV 'thankworthy').
(2) '유카리스티아' : 명사
- 감사, 감사스러움(행 24:3)
- 감사드림(고전 14:16; 고후 4:15; 9:11; 엡 5:4; 빌 4:6; 골 2:7; 4:2; 살전 3:9; 딤전 2:1; 4:3-4; 계 4:9; 7:12)
(3) '유카리스테오' : 동사
- 그리스도의 감사(마 15:36; 26:27; 막 8:6; 14:23; 눅 22:17,19; 요 6:11,23; 11:41; 고전 11:24)
- 바리새인의 독선적인 기도중에 나오는 감사(눅 18:11)
- 바울이 자신의 편지 서두에서 늘 하던 감사로서, 첫째, 독자들을 위한 감사(롬 1:8, 엡 1:16; 골 1:3; 살전 1:2; 살후 1:3), 둘째, 나타난 동역 관계로 인한 감사(빌 1:3), 셋째, 독자들을 향한 하나님의 은혜로 인한 감사(고전 1:4)
- 첫째, 어디서든지 행해진 바울의 감사(행 27:35; 28:15; 롬 7:25; 고전 1:14; 14:18), 둘째, 바울과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한 감사(롬 16:4; 살전 2:13), 셋째, 기타 다른 사람들의 감사(눅 17:16; 롬 14:6; 고전 14:17; 계 11:17)
- 하나의 관례로 행해지는 감사(고전 10:30)
- 성도를 향한 훈계에서 하나님께 감사하라고 함(엡 5:20; 골 1:12; 3:17; 살전 5:18)
- 하나의 목족으로 언급된 감사(고후 1:11)
- 이방인들의 죄 가운데 하나는 하나님께 감사하지 않은 것이다(롬 1:21)
(4) '엨소몰로게오' : 동사. 누군가의 죄악이나 영예스러움을 인정하는 것이다(롬 15:9; 계 3:5). 이것은 마 11:25; 눅 10:21에서 예수께서 아버지께 하신 말씀인 '감사하나이다'의 의미로서 '내가 감사하는 고백을 드립니다' 혹은 '찬양으로 인정하는 바입니다'의 뜻이다.
(5) '안토몰로게오마이' : 동사. 누가복음 2:38에서 안나가 사용한 말로서 '전적으로 인정한다, 전적으로 축하한다'는 의미이다.
(6) '유카리스토스' : 형용사. '감사하는, 고맙게 여기는'의 뜻으로 골로새서 3:15에 사용되었다.
II. 성경적 총론
성경에서 감사는 하나님으로 인하여 백성들로부터 우러나오는 반응이다. 특히 구약에서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들과의 언약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데, 하나님께 드리는 감사의 이유는 수없이 많다. 그것은 언약에 대한 하나님의 신실하심(시 57:9-10; 138:2)과 당신의 백성들을 원수들로부터(시 35:17-18; 44:7-8; 54:6), 그리고 감옥(142:7), 사망(30:3-12; 86:12-13), 판단하려는 자들로부터(109:30) 구하시고 보호하심들이 그 이유에 해당된다(시 79:11-13). 하나님께서는 또한 공의로운 심판, 죄인들을 향하신 당신의 자비(사 12:1), 기적적인 치유들(30:4-5; 눅 17:16), 당신의 구원 행위(눅 2:38)로 인하여 감사를 받으신다. 제사장과 레위인들 중에는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을 드리는 일을 전담하는 반이 있었다(대하 5:13; 7:6; 31:2). 지난날 하나님께서 베푸신 긍휼을 기억하고 묵상하는 일은 감사를 불러 일으킨다(시 63:5-7). 이방인들의 근본적인 죄악은 '하나님으로 영화롭게도 아니하며 감사치도 아니한'(롬 1:21) 자신들의 실족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감사를 드리는 것은 구약 예배의 중심이었다(시 54:6; 95:2). 특별히 절기 때마다 예루살렘으로 가는 순례자들이 그러했다(시 100:4; 138:2). 신약에서도 감사는 역시 공동체 안에서, 그리고 공동체에 관심을 가지고 일어난다(고후 1:11; 엡 1:16; 빌 1:3). 하나님 백성의 감사들은 하나님에 관한 지식이 퍼져 나가게 되는 하나의 수단이다(시 57:9). 그리고 이러한 선포의 결과로 더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은총을 받고 감사하는 마음이 넘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고후 4:15).
진정한 감사는 본래 행위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마음의 생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더 가까이 나아가도록 하고 하나님의 구원을 볼 수 있도록 한다(시 50:23). 만약 어떤 사람이 바리새인처럼 단순히 자신에 관한 바를 감사한다면 그 사람은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응답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자화자찬하는 것이며 자기 기만임을 나타내는 것이다(눅 18:11-14. 참고. 고전 4:7).
신약성경에서 감사는 첫째, 예수 그리스도의 상한 몸과 피로 인한 성만찬에서 언급되며(마 26장; 막 14장; 눅 22장; 고전 11장), 둘째로,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에게 주어진 복들로 인하여 감사가 우러나오고(고전 15:57; 고후 2:14; 9:15), 마지막으로는 바울이 감사한 경우와 같이 그리스도를 알게 된 사람들과 마음에 기쁨을 가져다 줄 사람들 때문에 감사가 언급되고 있다(고전 1:4; 엡 1:16; 빌 1:3; 골 1:3; 살전 1:2; 2:13; 몬 4). 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우리 속에서 행하신 모든 것들을 기억한다면 우리는 감사함으로 모든 기도를 드리는 것이 마땅하다(빌 4:6). 감사는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다(살전 5:18).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감옥 / 감정1 / 감정2 / 감찰하다 (0) | 2022.06.12 |
---|---|
(성경사전) 감사제(물) / 감시하다 / 감삭되다 / 감소하다 / 감역관 (0) | 2022.06.11 |
(성경사전) 감람원 / 감람유 (0) | 2022.06.11 |
(성경사전) 감람산 강화 (0) | 2022.06.11 |
(성경사전) 감람(나무) / 감람산 (0) | 2022.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