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고르다1 / 고르다2 / 고르반 / 고리 / 고리대금

고르다1(choose)

쓸 것이나 좋은 것을 가려내는 것, 또는 구별하여 선택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다윗이 골리앗을 치기 위해 매끄러운 돌 다섯을 골라낸 것(삼상17:40)과 예루살렘의 멸망을 가마의 비유로 예언한 에스겔서에서 각각 사용되었다(겔24:4-5).

 

고르다2(temper)

높거나 낮거나, 크거나 작거나, 더하거나 덜하거나 전혀 차이가 없이 모두가 똑같도록 평평하게 하는 것을 뜻한다. 이사야는 하나님이 하시는 일이 지혜로운 것임을 비유로 말하면서 밭을 평평히 일구었으면 갖가지 씨앗을 심어야 하듯이 하나님께서도 적당한 절차를 사용하신다고 말하였다(사28:24). 신약에서는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에 각각 다른 은사들을 가진 여러 지체들이 모여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말씀에 이 단어가 사용되었다(고전12:24). 

 

고르반(corban)

히브리어 '코르반'의 음역으로, 하나님께 대한 제물을 뜻한다. 이 말은 종교적 목적으로 하나님께 드리는 성별된 헌물을 가리키고 있는데, 후기 유대로 와서는 어떤 것이 하나님께 드려졌을 때 사람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세속적인 용도의 중지와 억제를 위한 맹세 문구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즉, 이 말은 단순히 헌물이나 제물이 성전으로 넘겨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제물의 통제의 주체가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 히브리어형으로는 어떤 종류나 등급의 헌물을 뜻하며, 에스겔서와 성결법전과 제사법전에서 사용되었다(참고. 레1:2-10;22:27;23:14;민7:25;겔20:28;40:43).

서기관과 바리새인과의 논쟁에서 예수께서는 그들이 율법에 맹종하고 그 근본 정신을 도외시하는 것에 대해 꾸짖으시면서 이 말을 사용하셨다(막7:11). 고르반이란 원래 하나님께 바쳐진 선물로서 사적인 용도로 쓰일 수 없는데, 후대로 가면서 이 말은 이기적 목적으로 왜곡되어 사용되었다. 예컨대, 어느 불효 자식이 "나의 재산은 다 고르반 되었다"고 맹세한 후 그 일부를 성전에 헌납하고 나머지는 전부 자기 소유로 삼아 부모를 봉양하는 일을 저버리는 일이 공공연하게 자행되었다고 한다. 

 

고리(ring)

무엇에 끼우기 위하여 만든 둥근 물건을 가리킨다. 고리는 대체로 금이나(창24:22;출25:12-15;26:24) 은(에1:6)으로 만들어졌으며, 남자의 경우에는 인장 반지(창41:42;에3:10;8:8), 여자의 경우에는 장식용으로서의 반지, 코고리, 귀고리를 가리켜 쓰였다(겔16:12). 장막을 세우는 데 쓰이는 장대나 가구를 받쳐주는 막대들을 묶는 고리들 또는 대제사장의 흉패를 에봇과 묶어 고정시켜 주는 고리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되었다(출26:24,29;27:4,7;28:23-28).

 

고리대금(extortion)

'빌려주다', '채권자가 되다'라는 뜻에서 온 말로, 비싼 이자를 받는 돈놀이를 뜻한다. 성경은 고리대금업자를 정죄시하였고(겔18:8,13,17), 다윗은 대적자에 대한 저주의 시에서 그들의 재산이 고리대금하는 자들에 의해 탈취되도록 간구하였다(시1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