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골란 / 골로새 / 골로새서

골란(Golan)

모세가 므낫세 반지파에게 준 성읍으로, 요단 동쪽 바산 지방에 있었다(참고. 수13:29-31). 모세에 의해 요단 동편의 세 도피성 중 하나로 되었고(신4:43;수20:8), 후에는 기업이 없는 게르손 자손들에게 재분배되었다(수21:27;대상6:71). 이곳은 엘 아란 강의 동편에 위치한 오늘날의 '사헴 엘-욜란'으로 추정된다. 

 

골로새(Colossae)

소아시아의 남서 지역에 있는 도시로서(골1:2), 대략 메안더 강의 한 지류인 라쿠스 강 옆의 골짜기에 있었으며, 옛 브루기아의 남서쪽 변방에 위치하였다. 골로새는 리쿠스 지역에 있는 주요한 세 군데의 기독교 도시들, 즉 골로새, 라오디게아, 히에라볼리 가운데 가장 먼저 조시를 이루었고 교통의 요지로서 번영하였다. 골로새 교회는 바울의 제자이자 동역자인 에바브라에 의해 세워졌으며(골4:12-13) 바울 시대에는 인구가 감소되어 도시로서의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었다. 바울은 골로새를 방문하려고 했으나 실제 방문한 적은 없었다(골2:1;몬22절). 이 지역에는 아킵보와 오네시모와 그 주인인 빌레몬이 있었다(골4:17;몬2,10절). A.D.7,8세기 사라센에 의해 정복당해 폐허가 된 골로새는 12세기 말에 터키의 침입으로 또다시 파괴되었다. 

 

골로새서(The Epistle to the Colossians)

1. 본서의 배경과 기록목적. 바울의 옥중 서신 가운데 하나로, 이 책이 기록된 이유는 이단이 성행하고 있던 골로새 교회를 바로 세우기 위해 기록되었다. 이 책의 배경이 되는 골로새 교회는 에바브로에 의해 설립되어 어느 정도 복음의 기초가 닦여 있었다(골1:7;4:12-13). 본서는 바울이 에바브로로부터 교회내에 이단이 침투해 복음의 순수성과 교회의 평화를 깨뜨리고 있따는 소식을 듣고 이단을 배격하며 바른 기독론을 확립하고 복음을 변증하기 위해 기록한 책이다. 

2. 저작 연대. 본서는 바울이 로마의 옥중에서(A.D.61-63) 기록한 것으로, 본서의 저작 연대 또한 A.D.62-63년경으로 추정된다.

3. 내용. 바울은 그리스도의 뛰어나심과 만물의 중심 되심을 밝힘으로써 그분만이 우리의 푯대가 되심을 논증하며(1,2장) 따라서 성도는 그분께만 복종해야 함을 권고한다(3,4장). 바울은 문안(1:1-2)과 수신자에 대한 감사(3-8절), 기도(9-14절)를 먼저 한 후 본론을 전개한다. 그리스도는 구주시며 창조주시고(13-17절) 교회의 머리요 만물의 화해자(18-23절)로서 성도는 마땅히 그리스도 안에 거해야 한다(1:24-2:3). 세상의 초등학문을 떠나 그리스도 안에 사는 삶은 자유가 주는 행복을 누리게 한다(4-23절). 이러한 주제는 당시 거짓 교사들이 유포하던 이성주의(2:4-7), 거짓 철학(2:8-10), 형식주의(2:11-17), 신비주의(2:18-19), 금욕주의(2:20-23)에 대한 배타성을 내포한다. 바울은 1,2장에서 그리스도의 우월성에 대한 교리적 해설을 한 후 3,4장에서는 그리스도에 대한 복종으로 실천적인 행위를 강조한다. 즉 그리스도와 함께 죽은 자 된 성도는 옛 사람의 죄악된 행위를 벗고(3:5-11)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한 자로서 사랑을 실천하는 새 삶을 살아야 한다(12-17절). 이러한 원리적 측면(1-17절)이 가정 생활을 비롯한 모든 외적 생활에 적용될 때 비로소 성숙한 삶을 살 수 있다(3:18-4:6). 끝으로 결말 부분(4:7-18)에서 바울은 개인적인 안부를 묻는 것으로 편지를 끝맺었다. 본서는 그리스도 및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일이 어떤 것인지를 가장 잘 보여주는 서신이라고 하겠다.

4. 다른 서신과의 관계. 본서의 내용은 거의 동시에 기록된 에베소서와 매우 유사하다.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와(1:18), 가정의 윤리에 대한 견해(3:18-4:1)가 동일하나, 그리스도의 사역에 있어서 에베소서는 만물의 마지막과 교회에 관심을 두고, 골로새서는 창조에 관심을 두고 교회를 언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