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부(widow)
남편과 사별한 여자를 말한다. 그들은 고아와 나그네와 함께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불우한 계층에 속하였고, 동정의 대상이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은 과부가 된다는 것을 수치와 재앙으로 여겼다(룻1:20-21;사54:4). 율법에는 이러한 과부들을 보호하고 돌보아 주라는 규례가 자주 언급되었으며(신14:28-29;16:10-11;24:17-22), 수혼법에 대한 규례도 있다. 아이를 낳지 못한 제사장의 딸이 과부가 되었으면 그는 부친의 집으로 돌아가서 그 아비의 음식을 멋을 수 있었다(레22:13). 과부에 대한 하나님의 배려와 관심은 특별하였다. 하나님은 그들에게 양식과 의복을 제공하셨고(신10:18) 과부의 재판장이시며(시68:5), 그들의 기업을 보호하시고(잠15:25), 그들을 학대하는 자들을 징벌하신다(출22:21-24;말3:5). 과부를 대하는 태도가 그의 도덕서을 가늠하는 지표가 되었고(욥22:9;29:13), 선지자들도 과부들을 부당하게 대우하는 이스라엘 사람들의 잘못을 지적했다(사1:17,23; 겔22:7).
예수께서는 말씀하실 때에 과부들에 대하여 간혹 언급하셨고(막12:43,44;눅18:2-5;21:3,4), 그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보이시며 그들을 학대하는 자들을 책망하셨다(막12:40;눅20:47). 초대교회에서는 가난한 과부들을 보살피는 문제를 ㅎ ㅐ결하기 위해 집사를 임명하였으며(행6:1-6), 바울은 과부의 재혼을 금지하지는 않았으나 혼자 살 것을 권하였다(고전7:8). 바울은 디모데전서 5:3-16에서 과부에 대한 목회자의 올바른 처신을 설명하였다. 과부를 경대하라는 말은 그들에게 경제적인 도움은 물론 인간적으로 존중하라는 의미이다(딤전5:3). 만일 과무에게 자녀나 손자 혹은 친족이 있으면 친족들이 도와 주고(딤전5:4,16), 젊은 과부는 다시 시집을 가고(14절), 친적이 없는 참과부는 교회가 돌보라고 권하였다(16절). 참과부는 가족이 없으며 하나님께만 소망을 두고 기도에 전혀 힘쓰는 자(딤전5:5), 세상적 쾌락을 멀리한 자(딤전5:6), 60세 이상 되고 재혼하지 않은 자(9절), 자녀 양육, 나그네 접대, 봉사와 구제 등 선한 행실의 증거가 있는 자(10절)여야 했다. '과부'라는 말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은 성읍을 가리켜 쓰이기도 했다. 이사야 47:8,9과 요한계시록 18:7에서는 바벨론에 대해, 예레미야애가 1:1;5:3은 백성을 잃은 에루살렘에 대해 쓰였으며, 이사야 54:4에서는 황폐한 이스라엘이 회복되어 '과부 때의 치욕'을 다시 기억하지 않게 될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과수(fruit)
히브리어 '페리'는 땅의 소산(창4:3;민13:20 등), 태의 열매(즉, 자손 애2:20), 행위의 열매(사3:10;호10:13 등) 등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개역성경 아가 4:13의 과수는 과일의 오역으로 판단된다. 다른 번역으로는 열매(공동번역), 과일(표준 새번역)로 되어 있다. <참조> 열매
과실1(fruit)
먹을 수 있는 초목의 실과로서 열매를 말한다. 팔레스타인 지역에서의 특징적인 과실들로는 포도, 감람 열매, 무화과 열매가 유명하였고(민13:23;렘24:2), 석류(민13:23), 뽕나무 열매(암7:14), 사과, 대추(욜1:12), 호도(아6:11) 등도 있었다. 이 말은 문자적 의미로도 사용되었으나(레27:30;신1:25) 하나님의 구속의 은총으로 인한 가나안 정착과 풍요(렘2:7;암9:14), 예레미야의 입에서 나오는 '예언의 말씀과 교훈'(렘11:19), 예수의 포도나무 비유에서의 '성도들의 신령한 변화'(요15:2-5,16), 빌립보 교인들의 '섬김과 봉사'(빌4:17) 등을 가리켜서도 사용되었다. <참조> 열매
과실2(trespass)
'옆에 떨어지다', '무엇에 걸려 넘어지다', '잘못 인도되다', '실수를 범하다'는 뜻에서 유래된 명사로 잘못을 범하는 것을 말하며, 사람의 행실에 있어서의 속임이나 악행, 학대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요셉이 형들의 나쁜 행동을 야곱에게 고한 것(창37:2), 하나님이 악과 과실과 죄를 용서하시는 것(출34:7;민14:18), 다른 사람들의 잘못을 용서해야 우리도 하나님께 대한 잘못을 용서받는다는 예수의 말씀(마6:14-15)에서 각각 사용되었다.
과연(indeed)
'빈 말이 아니라 정말로', '들은 바와 같이' 라는 뜻의 부사어이다(창28:16;왕하19:17;욥19:4;눅11:51;24:34;행4:27).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곽 / 관1 / 관2 / 관3 / 관계 (0) | 2022.06.28 |
---|---|
(성경사전) 과원 / 과원지기 / 과자 / 과장(하다) / 과하하다 (0) | 2022.06.28 |
(성경사전) 과거 / 과격하다 / 과녁 / 과동하다 / 과목 (0) | 2022.06.27 |
(성경사전) 공평(하다) / 공포 / 공포하다 / 공허(하다) / 공회 (0) | 2022.06.27 |
(성경사전) 공주 / 공중1 / 공중2 / 공직 / 공판 (0) |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