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기1 / 기2 / 기간 / 기갈 / 기경

기1(banner)

헝겊이나 종이 등에 문자, 그림, 부호 등을 그려 국가나 단체 등의 표상으로 쓰는 것, 또한 기는 장식, 신호, 표지, 상징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의지, 위력, 권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기를 내리는 것은 항복을 의미하며 반기는 조의를 표시하며, 기를 뉘었다가 재빨리 세우는 것은 경례의 형식이다. 

성경에서 초기에는 천이 아니라 나무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짐승과 새, 신들의 형상을 장대 끝에 매달았다(참고. 민21:8-9).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 여행 중에 열두 지파를 크게 세 지파씩 네 그룹으로 나누고, 매 그룹마다 큰 기 하나씩을 지녔다(민1:52;2:2-3). 그래서 그 기를 따라 진을 치기도 하며 진행하기도 하였다(민2:34). 모세는 아말렉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후 르비딤에 제단을 쌓고 '여호와는 나의 깃발'(여호와 닛시)이라고 불렀다(출17:15).

솔로몬의 아가서에서의 기는 아름다운 사랑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그가 나를 인도하여 잔칫집에 들어갔으니 그 사랑이 내 위에 기로구나'(아2:4).

'높이 든 것', '눈에 띄는 것'을 뜻하는 기는 대개 어떤 집단적 행동을 위해서나 중요한 정보 전달을 위해서 사람을 모이게 하는 데 사용된 집결 표지를 의미한다. 사람들의 집결은 진영이나 공동체 내의 높은 장소나 두드러진 장소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런 곳에 세워진 기는 중심점, 소망의 대상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성경은 사람들이 기 주위로 모이는 가장 중요한 목적의 하나로 전쟁을 위해 군대를 모으는 것을 들고 있다. 이사야 5:26은 하나님께서 죄 많은 이스라엘을 치게 하려고 열방 중에 기를 세워 앗수르의 전사들을 불러 모으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 종종 나팔은 군인들을 기 주위로 소집하는 전쟁 경보로 사용되었다(렘51:27). 깃발은 대개 산이나 높은 곳에 세워졌으며, 거기서 공적인 선전 포고를 했다(사13:2;18:3;30:17;렘50:2). 군인들이 두려움으로 인해 기를 버리는 것은 패배를 의미하였다(사31:9). 이외에도 기는 어떠한 징조나 경고 또는 승리를 상징하기도 한다. 

 

기2(desolate)

활동의 근원이 되는 힘, 숨쉴 때에 나오는 기운을 뜻한다. '황폐하다', '처량하다'는 뜻에서 나온 '기가 막히다'(공동번역 '넋을 잃다')라는 표현은 에스라가 유대인들이 이방 족속과 결혼하고 우상을 숭배한다는 소식을 듣고 크게 낙심하는 심경을 잘 표현한 말로서, 황폐케 될 현상에 대해 생겨나는 내적인 감정을 묘사한 단어이다(스9:3-4). 시편 40:2에서는 극한 어려움 가운데서 구원하신 하나님을 찬양하면서 이 말을 사용하였는데 여기서 '기가 막히다'는 것은 '소동'이나 '소음' 또는 '황폐함', '황량함', '멸망'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기가 막힌 웅덩이(공동번역 '죽음의 구렁', 새번역 '절망의 구덩이')는 소망이 없고 공포가 가득찬 상태의 상징적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기간(time)

'그 사이', '그 동안'. 육체적 상해자에 대한 처벌 규정에서 가해자는 피해자가 죽지 않고 기동하면 형벌을 면하되 치료비 전액과 피해 기간에 따른 손해 배상을 지불해야 했다(출21:19).

 

기갈(famine)

배고픔과 굶주림을 가리키는 말. 이스라엘이 당하는 재앙 가운데 가장 큰 재앙은 육신의 기근보다 영적인 기근, 즉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못한 기갈임을 보여 주는 말씀에 언급되어 있다(암8:11). <참조> 기근

 

기경(plowing)

지금까지 가꾸지 않은 땅이나 묵은 땅을 갈아 엎어서 논밭을 만드는 일을 말한다. 황무한 땅이 저주로 상징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풍성한 소출을 내는 경작지는 축복으로 상징된다. 애굽 땅에 2년 동안 흉년이 들었으나 앞으로 5년은 더 기경해도 추수하지 못할 것이라는 요셉의 말에서 사용되었고(창45:6),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정결케 하시는 날에 황폐한 유다 성읍이 재건되어 불모지가 에덴 동산같이 되리라는 에스겔의 메시지에 사용되었다(겔36:34, 공동,새번역 '경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