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농사(농업) / 높다(높이다)

농사/농업(farming)

창세기 4:2에는 가인이 농사를 지은 것으로 나와 있는데, 이 때의 농사는 유목생활을 하면서 일시적으로 지은 농사를 가리키며, 여러 가지 농법을 이용한 체계적인 농사는 가나안 정착 이후에 행해진 듯하다. 그후 다수가 농업에 종사하게 되었다. 성경에도 농업과 관련하여 언급된 부분이 많이 있다. 농사는 이스라엘 율법과도 관계가 있다. 가나안 정복 때 모든 지파는 땅을 분배받았고, 확고한 경계를 법적으로 보장받았따(민19:14;27:17;호5:10). 팔레스타인의 땅은 일반적으로 비옥했다. 토지의 비옥함을 유지하기 위해서 율법은 밭, 포도원, 감람원 등의 안식년을 규정하고 있다(출20:10,11). 또 조상의 땅을 잃은 자들은 희년에 그들의 소유를 모두 되찾을 수 있었다. 씨를 뿌리기 위해 땅을 경작하는 것은 가을에 행해졌다. 이른 비는 뜨거운 여름 태양에 굳어진 땅을 부드럽게 만들어 주었다. 쟁기는 나무로 만들어 소에게 끌게 했으나 얕은 땅은 괭이로 갈기도 했다. 이런 경우 땅은 약 8-10cm정도로 깊지 않게 갈았으며, 써레질도 하지 않았는데 아마도 당시에는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다. 

여름 작물은 유대력으로 1월 말에서 2월 말 사이에 파종하였다. 일반적으로 파종을 할 때는 씨앗을 바구니에 담아 손으로 뿌리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숙달된 농부는 이랑과 골 사이에 정확하게 씨앗을 뿌렸다(사28:25). 파종 후 추수 때까지 농작물을 망칠 수 있는 몇 가지 위험요소가 있는데, 3-4월경의 늦은 비와 뜨겁고 건조한 바람(창41:6), 폭풍(학2:17), 가시나 엉겅퀴 같은 잡초(렘12:13;마13:7,25), 황충과 같은 곤충(암7:2), 까마귀와 참새들(마13:4), 곰팡이균과 같은 세균성 질병들(신28:22) 등이 그것이다. 추수 때가 가까워 오면 밭을 지키는 사람이 익은 곡식을 지켰는데(렘4:17), 길을 가던 나그네가 곡식을 취하는 것은 허용되었다(신23:25;마12:1). 

추수 시기는 기후 조건에 따라 지역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건기가 시작되는 4월 중순경부터 시작되었다. 보리가 제일 먼저 거두어지고, 몇 주 뒤에 밀이 거두어졌다. 추수는 대체로 유월절에서부터 오순절까지 약 7주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추수를 마칠 때까지는 전 가족이 들에서 기거해야 했다. 곡물은 베어 단으로 묶어서 쌓아 두었다(출22:6). 가난한 사람을 위해서 율법은 땅에 떨어진 이삭은 줍지 말도록 명령하고 있다. 추수 때는 비가 오지 않으므로 타작도 노천에서 행해졌다(왕하13:7). 타작 기간 동안 사람들은 밤에 곡물을 지켜야 했다(룻3:6). 타작마당은 노천에 평지보다 약간 높게 만들어 통풍이 잘되게 하였으며, 직경이 8-10m쯤 되었고, 가장자리를 약간 높게 해서 돌 같은 것이 곡식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였다. 마당은 평평하고 딱딱했다. 들에서 옮겨 온 곡식단을 타작마당 위에 풀어 높고 짐승들이나 한쌍의 소를 함께 매어 타작기계를 돌리게 하였다. 타작기계는 두 종류가 있었는데, 바닥에 작은 돌이나 못이 박한 널판형과 마차형이 있다. 타작이 된 곡식은 키로 까불어서 알곡과 쭉정이를 구분하였다. 이것은 밤바람을 이용하기 위하여 흔히 밤에 행해졌다. 쭉정이는 불에 태우거나 바람에 날려 버렸다. 타작된 곡식은 돌이나 다른 불순문을 고른 후에 곳간에 들여놓았다(눅12:18). 이스라엘에서는 많은 곡식이 경작되었지만 그 중에서 밀과 보리가 주요 작물이다. 그 외에도 호밀, 조, 아마, 기타 채소 등이 경작되었다. 

 

높다/높이다(high/exalt)

이 단어는 문자적 의미로서의 높음과 긍정적 개념으로서 하나님의 권위나 영광으로서의 높음, 그리고 부정적 개념으로서의 교만을 뜻하는 높아짐 등 다양한 의미를 포괄하고 있다. 문자적 의미에서의 높음은 '별들의 높음'(욥22:12)과 같이 위치적 개념을 말한다. 긍정적 의미로는 주로 하나님의 지위나 영광을 나타내는 말로 쓰였으며(삼하22:47),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능력으로 구원받은 자의 높음을 나타낸다(시12:8;삼상2:1). 사람의 '높이' 든 손은 기도를 나타내고(출17:11;시28:2;68:31;134:2;딤전2:8), 하나님의 '높이' 든 손은 맹세와 임박한 심판을 가리킨다(출6:8;시106:26;사26:11). 부정적인 의미로는 '높은 눈'(시131:1), '높은 팔'(욥38:15) 등과 같이 종종 신체의 일부와 병행하여 관용적으로 쓰여, 교만이나 오만을 나타낸다. 예수께서는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낮추는 자는 높아질 것이라'고 말씀하셨다(마2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