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누기오 / 누룩 / 누르다 / 누른 / 누리다

누기오(Lucius)

바울이 로마에 편지를 보낼 때 고린도에 함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는 사람으로 바울과는 친척 관계이다(롬16:21). 사도행전 13:1의 루기오와는 헬라어 원어상 철자가 같은 동명이인이다. <비교> 루기오

 

누룩(leaven)

밀을 굵게 갈아 반죽하여 띄운 것으로, 빵이나 술을 만들 때 발효제로 사용된다. 모세의 법에 의하면 화제의 제물에는 엄격하게 누룩을 제한하였다. 누룩은 부패를 나타내는 것으로, 악의 상징으로 이해되었기 때문이다(출29:21-25;레2:1-16). 그러나 다른 제사에는 누룩의 사용이 허락되었는데 누룩이 일용양식의 일부로 감사예물에 포함되어 있었지만(레7:13-14), 유월절 음식에서는 제외되었다(출12:14-20;23:15;34:18;신16:2-4). 이스라엘 백성들은 애굽에서 나올 때 허리에 띠를 두르고 신발을 신고 지팡이를 든 채 발효되지 않은 떡과 음식을 먹었다(출12:29;신16:3). 이것은 이스라엘의 긴급했던 상황을 나타냄과 동시에 부패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그리스도의 모범을 보여 주기도 한다. 

신약성경에서 누룩은 마태복음 13:33을 제외하고는 유대 율법주의와 외식 그리고 위선과 거짓교훈이나(마16:6,12;눅12:1;갈5:9) 도덕적 타락(고전5:6)을 상징한다. 또한 헤롯의 누룩은 정치적 부패와 불의를 상징하였다(막8:15). 마태복음 13:33은 아직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어떤 학자들은 교회의 배교를 의미한다고 해석하고, 어떤 학자들은 기독교의 복음전파를 의미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누르다(be heavy upon)

어떤 사물에 힘을 가하여 위에서 아래로 내리 미는 것을 뜻한다. 성경에서 이 단어는 주로 하나님께서 당신의 피조물 앞에 드러내시는 권능이나 위엄과 관계되어있는 말로 사용되거나 혹은 하나님에게 의지하는 자가 받는 승리의 표현으로 나타난다(욥33:7;시32:4;88:7;눅6:38).

 

누른(yellow)

원어적으로는 '빛나는'이라는 말에서 파생된 말로 노랑 빛깔을 말한다. 이 말은 모세의 법에서 문둥병의 징조로 언급되는데 환처가 피부보다 우묵하고 그 자리에 '누르고' 가는 털이 있으면 문둥병으로 진단했다(레13:30,32,36).

 

누리다(enjoy)

기쁨이나 즐거움 따위를 마음껏 맛보다. 성경에서, 기쁨을 누리게 하는 분은 하나님이시고 기쁨을 누리는 자들은 사람이거나 다른 피조물이다. 하나님의 창조 계획 안에서 모든 피조물은 하나님의 은혜를 마음껏 누릴 수 있도록 지음받았다(딤전6:17;잠13:2). 이 말은 사람뿐 아니라 딸과 같은 피조물에게도 적용되었다(레2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