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야(basin)
둥글고 넓적한 물그릇으로 세면용과(삼하17:28;요13:5), 제단용이 있었다(출27:3). 이 말의 히브리어 원어는 '뿌리다'라는 뜻의 '자라크'에서 온 것으로, 액체를 쏟고 뿌리는 그릇이라는 의미를 지니며, 이것은 다분히 제의적인 상황을 연상케 한다. 또 이 말은 신약에서 예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기신 장면에서도 나타난다(요13:5).
대언자(prophet)
이 단어는 구약과 신약에서 한번씩 사용되었다. 히브리어 '나비'란 신탁의 말씀을 전해주는 사람으로서 구약에서 주로 선지자로 번역되었다. 즉 선지자란 하나님의 말씀을 맡은 사람으로서 그것을 선포하여 전달하는 사람들인 것이다. <참조> 선지자
이러한 맥락에서 출애굽기 7:1-2을 볼때 모세는 하나님의 선지자였으며 아론은 모세의 '대언자'(나비)였던 것이다(참고. 신34:10).
헬라어의 '파라클레토스'는 요한복음에서 성령을 가리키는 말로 보혜사라고 번역된 반면(요14:16:15:26;16:7), 요한일서 2:1에서는 하나님 앞에서 우리를 변호해 주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말로서 '대언자'로 번역되었다. <참조> 보혜사, 성령
대언하다(prophecy)
다른 사람의 의견을 대신 말하는 것이다. 이 말은 구약에서 에스겔이 마른 뼈들을 향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는 장면에서만 언급되고 있다(겔37:4,7,9-10,12). 그러나 이 단어의 원어는 '예언하다'라는 단어와 동일하다. 따라서 '예언하다'라는 말은 '하나님의 말씀을 말하는 사람의 견해에 따른 첨삭이 없이 그대로 대언하다'라는 것과 동일시된다. 요한계시록 19:10에는 '예수의 증거는 대언의 영'이라 하였는데, 이를 새번역에서는 '예수의 증언은 곧 예언의 영이다'로, 공동번역은 '예수께서 계시하신 진리야말로 예언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것이다'로 번역되었다. <참조> 선지자
대연(feast)
크게 베푸는 잔치를 일컫는 말로, 아브라함이 이삭의 젖 떼는 날을 축하하여 베푼 잔치를 이렇게 불렀다(창21:8).
대왕(the great king)
훌륭하고 업적이 뛰어난 임금을 높여 일컫는 말이다(왕하18:19).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대장부 / 대장장이 / 대적 / 대전 / 대접 (0) | 2022.08.06 |
---|---|
(성경사전) 대우하다 / 대인 / 대작하다 / 대장 / 대장군의 지팡이 (0) | 2022.08.06 |
(성경사전) 대속(물) / 대승 / 대신1 / 대신2 / 대싸리 (0) | 2022.08.06 |
(성경사전) 대사 / 대상 / 대서 / 대성통곡 / 대소 (0) | 2022.08.06 |
(성경사전) 대맥 / 대머리 / 대면 / 대문 / 대변 (0) | 2022.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