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더하다 / 덕 / 던지다 / 덤불 / 덥다

더하다(multiply)

'전보다 더 심하여지거나 보태서 더 많아지다'의 뜻이다(창3:16;사38:5;렘45:3;마6:33;눅17:5).

 

덕(virtue)

구약성경에서는 유일하게 잠언 22:11에서 히브리어 '헨'(호의, 은혜, 매력)을 번역하여 사람의 부드럽고(공동번역), 매력적인 성품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영역본 KJV은 '도덕적 가치' 뿐만 아니라 '능력'과 '효율성' 등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하일'도 '덕'으로 번역하였다. 예를 들어 룻기 3:11(현숙한 여자, 공동번역 '굳센 여자'), 잠언 12:4(어진 여인), 31:10(현숙한 여인, 공동번역 '어진 아내') 등이며, 개역성경에서는 이 단어를 출애굽기 18:21에서 '재덕을 겸전한'(공동번역 '유능한')으로 번역하였다. 

신약성경에서는 헬라어 '아레테'와 '오이코도메'를 '덕'으로 번역하였다. 먼저, '아레테'는 어떤 사람이나 물건 등의 뛰어난 특성을 일컫는 말로서 베드로전서 2:9(공동번역 '능력', 표준새번역 '업적'), 베드로후서 1:3(공덩번역 '능력'), 5절(공동번역 '미덕'), 그리고 빌립보서 4:8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오이코도메'는 바울이 전적으로 사용한 말이다. '건축하는 행위'나 '건축물'을 가리키는데 성전(마24:1), 영적인 몸(고후5:1), 교회의 몸(고전3:9;엡2:21), 영적인 진보(롬15:2) 등을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다. 앞서 말한 '아레테'가 개인적인 특성을 표현하는 말이라고 볼 때 '오이코도메'는 공동체성을 강조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사실은 공동번역 성경을 보면 명확하게 알 수 있는데, 개역성경이 천편일률적으로 '덕을 세운다'라고 한 것을 공동번역은 각각 다음과 같이 번역하였다 : '도움이 되다'(롬14:19;고전10:23;14:4,17), '도와주다'(살전5:11), '키워주다'(고전14:3,26), '이로운'(엡4:29), '향상시켜주다'(고전8:1), '믿음을 북돋아 주다'(롬15:2).

이상으로 볼 때 성경은 개인적인 성품이나 능력으로서 사람과 하나님의 덕을 말하고 있으며, 바울에게 와서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공동체적인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곧 교회를 굳게 세우고 유익을 주며 성도가 서로에게 도움을 끼치는 것이 덕을 세우는 것이다. 

 

던지다(cast)

문자적으로 보면 '손으로 물건을 멀리 날려 보내다'의 뜻이다. 어떤 하찮은 것들이나 악을 버린느 행위와 관련하여 나타나며(느13:8;사2:20), 때로는 죄를 범한 인간에 대한 심판의 행위로 묘사되기도 하였다(잠21:12;마3:10;18:8-9). 한편 죄 자체를 던져버림으로 죄 있는 인간을 죄 없다고 하시는 하나님의 용서를 표현하는 말로도 사용된다(사38:17;미7:19).

 

덤불

<보라> 가시덤불

 

덥다

<보라> 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