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명절 / 명정하다 / 명주 / 명철(하다)

명절(feast-day)

해마다 베풀어지는 종교적인 축제를 말한다. '모이다'라는 뜻의 동사에서 파생된 것으로, '정해진 때'(삼상13:8)나 '회합의 장소'(사33:20), 또는 '절기들'(레23:2)과 '의식들'(신31:10)의 의미로 다양하게 쓰였다. 특히 이 단어는 '여호와의 절기들'(레23:2)을 말하며, 모든 종교적 회합을 가리키는 폭넓은 용법으로 사용되었다(호2:11;12:9). 신약에서는 이 말이 유월절을 언급하는 곳에서 사용되었다(마26:5).

 

명정하다(appointment)

'목숨을 정한다'는 뜻으로, 성경에서는 동사로 사용되었다. 히브리어 원어상으로는 '정하다'라는 의미이며,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한 부분에서 사용되었다(사41:4;렘47:7;단4:24). 

 

명주(silk)

부드러운 명주실로 무늬 없이 짠 피륙을 말한다. 누에 문화의 원산지는 중국이며,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보급되었다. 기록에 의하면 B.C.1000년대에 인도에는 명주 산업이 발달해 있었다. 구약에서 명주는 처녀 예루살렘의 옷으로 언급되어 있으며(겔16:13), 신약의 요한계시록에는 로마 무역의 중요한 품목 중의 하나로 나타난다(계18:12). 

 

명철/-하다(understanding)

사물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는 지적이고 영적인 판단력을 말하는 것으로, 구약에서 '명철'로 번역된 히브리어 명사는 10여 가지나 된다. 명철은 지혜와 함께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선물이다(잠2:6;전2:26). 인간의 지성과 대립된 개념으로서의 명철은(잠3:5) 인간이 사모하며 구해야 할 것 중의 하나이다(잠4:1;16:16). 이 단어는 '지혜'와 함께 쓰이기도 했으며(잠1:2;4:5;7:4;8:14), 지식과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다(잠2:3). 이스라엘에서는 명철한 자가 민족의 지도자가 될 수 있었다(스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