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모아댜 / 모압1 / 모압2 / 모양 / 모여들다

모아댜(Moadiah)

요야김 때의 제사장으로 족장 중의 한 사람이다(느12:17). '마아댜'와 동일인이다(느12:5). 

 

모압1(Moab)

롯이 두 딸과 함께 소알에서 나와 산속 굴에서 있을 때 배필될 사람이 없다하여 두 딸이 차례로 자신의 아버지인 롯에게 술을 먹여 동침한 사건이 있었다. 이 일로 롯의 맏딸이 낳은 아들이 모압이었는데(창19:30-38), 모압은 후에 모압 족속의 조상이 되었다. 

 

모압2(Moab)

모압 족속은 사해 남동쪽의 고원 지대를 중심으로 정착하였는데 그곳의 도시화는 B.C.3000-2300년경의 초기 청동기 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청동기 말까지 상당수의 주민들이 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신2:10-11). 모압은 고대로부터 팔레스타인을 지나 남북으로 뻗어 있던 무역로 때문에 혜택을 많이 누렸다. 철기 시대인 B.C.1200년경이 되어서야 모압에 독립 왕국이 건설되었는데 바위를 뚫은 수로를 만들어서 동쪽 사막에까지 영토를 확장하면서 안정되게 번영하였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이 모압 광야 길로 진행할 때 모압과 싸우지 말라고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령하셨지만(신2:8-9) 모압과 주위의 작은 왕국의 통치자들은 스스로 위협을 느꼈다. 그래서 모압 족속을 정복하고 그 땅을 관할하던 아모리 왕 시혼은 이스라엘 자손들이 왕의 대로로 통행하기를 요청했을 때 허락하지 않았다(민21:21-30). 그 후에 모압 왕 발락은 술사인 발람을 불러 이스라엘 자손을 저주하도록 유혹하였지만 실패하였다(민22:24-장). 그러나 이후 이스라엘 자손들은 모압 종교와 관계를 가짐으로써 우상 숭배와 음행에 빠지고 말았다(민25장). 모세가 가나안 땅을 바라보았던 느보 산은 모압의 영토였으며 모세는 벧브올 맞은편의 모압 땅에 있는 골짜기에 장사되었따(신32:48-49;34:1-6).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거역함으로 징계를 받아 18년 동안 모압 왕 에글론에게 점령당해 에글론을 섬기다가 사사 에훗이 일어나 에글론을 죽이고 모압 사람을 추방시켰다(삿3:12-30). 무압은 사울이 이스라엘 왕국을 건설하면서 물리쳤던 많은 민족들 가운데 하나였으며(삼상14:47), 다윗에게 정복당해 은, 금의 전리품(삼하8:11-12;대상18:11)과 조공을 바쳤다(대상18:2). 솔로몬의 아내 중에는 모압 여인도 있었으며(왕상11:1), 관례에 따라 솔로몬은 예루살렘 동쪽 산에 모압의 신 그모스의 산당을 건축하고 그 숭배에 참여하였다(왕상11:7,33). 모압 왕 메사는 아합 왕이 죽은 후 이스라엘을 배반하고 조공을 바치지 않았다. 이에 이스라엘 왕 여호람이 유다와 에돔의 도움으로 모압에 진군했고(왕하3:4-27), 포위당한 메사는 그의 맏아들을 그모스에게 번제로 드렸다. 역대하20장에는 여호사밧이 유다를 통치하고 있을 때 모압이 암몬과 마온과 동맹하고 유다를 공격한 내용이 나오는데 동맹군은 내분으로 자멸하였고, 모압은 계속해서 앗수르와 바벨론의 지배하에서 시달렸다. 바벨론에서 귀환한 이스라엘 자손들은 공동체의 결속을 위해 모압 여인 아내와 이혼하였다(스9:1-2;느13:1-3,23-27). 후에 모압 영토는 나바티아의 지배를 받았다. 

 

모양(likeness)

사람이나 물건의 겉에 나타난 꼴이나 됨됨이를 의미한다. 성경에서는 사람의 생김새나(창5:3;왕하1:7;겔1:5) 물건의 생김새(출39:8;민11:7), 불의 모습(민9:15;겔1:13)에 대해 쓰였다. 또한 건물의 모습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다(대하24:13;겔42:11). 

 

모여들다(gather together)

어느 한 곳으로 사람들이 다가온다는 의미로, 군중들이 예수께 모여드는 장면에서 사용되었다(마13:2;막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