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마르다(thirst)
물이 먹고 싶은 상태, 혹은 무엇을 몹시 바라는 상태이다. 성경에서 이 단어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어떤 나라 사람들보다도 물을 귀하게 여겼기 때문이다. 즉 팔레스타인은 물이 귀하다는 지역적 특성을 배경으로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성경에는 물과 관련된 많은 사건들이 등장한다. 목마름은 상징적으로 영적 결핍이나 갈망을 뜻한다(시42:1). 하나님은 끊임없이 솟아나는 생수의 근원이시다(렘2:13;요7:38).
목매어 달다(hang)
죽으려고 또는 죽이려고 목을 줄에 걸어 높은데 매어다는 것이다. 성경에서는 형벌의 한 가지로 사용되었는데, 아마 목을 매어 사형시키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사형을 시킨 뒤 공개하여 다른 사람에게 경각심을 심어주기 위해 목을 매단 것으로 보인다(민25:4; 삼하21:6,9). 스스로 목매는 경우도 있는데 더이상 희망이 없는 상황에서나(삼하17:23), 죄책감을 이기지 못한 경우에 그렇게 하였다(마27:5). 한편 예루살렘교회에서 이방인 그리스도인이 지켜야 할 금지 조항 중의 하나로, 목매어 죽인 짐승과 그 짐승의 피를 언급하고 있다(행15:20,29;21:25). 목매어 죽인 동물의 고기는 완전히 피가 제거되지 않았기 때문에 먹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다(레17:14).
목백(prince)
고관 대작 또는 통치자를 가리킨다. 세스바살(스룹바벨)을 가리키는데 쓰이기도 했던 이 말은 총독에 해당하는 고위 관직을 가리키는 말이며(스1:8), 이들은 상당한 부와 권력을 소유하였다(욥3:15). 포로로 잡혀가는 비애와 슬픔을 노래하는 예레미야애가에서는 시드기야 왕과 그의 신하들을 가리키는 듯하다(애1:6).
목베다(behead)
목을 자르다. 구약에서 언급된 이 말은 사울 왕가의 완전한 몰락을 고하게 된 이스보셋의 피살 사건에서 언급된다(삼하4:7). 신약에서는 헤롯에 의해 목베어 죽은 세례 요한을 언급할 때 사용되었다(마14:10;막6:27).
목사(pastor)
개신교에서 교회를 맡아 가르치고 다스리고 신자를 인도하는 교역자를 일컫는 말로, 이 명칭은 신자와의 관계를 목자와 양떼의 관계로 보아 붙여진 명칭이다. 원어상의 의미는 '양치는 자' 이며, 개역성경에서는 '목자'로 번역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마9:36;요10:2;벧전2:25). 목사는 초대교회 때 부르심을 받은 여러 직분 중의 하나로 에베소서에서 언급되었다(엡4:11). 초대교회에서는 감독(행20:28), 장로(17절), 목사의 직분이 하나로서 분리되지 않았으며, 기능상으로만 구별되어 교회의 지도자로 봉사하였다. 현재의 목사는 종교개혁 이후에 교회의 교역자에 대한 일반적인 호칭으로 이해되었고, 신자들의 영혼을 사랑과 보호로 돌보고 양육하는 자이다.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목욕(통) / 목자 / 목자장 / 목장 / 목적 (0) | 2022.09.05 |
---|---|
(성경사전) 목상 / 목석 / 목수 / 목숨 / 목엽 (0) | 2022.09.05 |
(성경사전) 목공 / 목구멍 / 목기 / 목도하다 / 목도리 (0) | 2022.09.05 |
(성경사전) 목1 / 목2 / 목거리 / 목걸이 / 목격자 (0) | 2022.09.05 |
(성경사전) 모퉁이 돌 / 모퉁이 문 / 모해하다 / 모형1 / 모형2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