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목욕(통) / 목자 / 목자장 / 목장 / 목적

목욕/-통(wash/washpot)

팔레스타인은 고대부터 지역 여건상 덥고 먼지가 많은 곳이기 때문에 자주 씻어야만 하였다. 하지만 물이 흔하지 않았기 때문에 몸을 다 씻는 일은 흔하지 않았다. 따라서 주로 발을 씻었으며, 이러한 문화적 관습은 신약 시대까지 계속되었다(창18:4; 요13:10). 목욕은 정결의 의미를 갖는 행위 중의 하나였다. 바로의 딸이 목욕하러 하수에 내려온 것은 순수한 목욕이라기보다는 정결을 위한 제의적 행위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출2:5), 이스라엘에서도 정결 의식의 일환으로 목욕을 해야 하였다(신23:11). 고대 근동의 집 구조는 폐쇄된 안마당의 형태를 지니고 있는데 밧세바는 그곳에서 목욕을 했던 것 같다(삼하11:2). 창녀들의 경우는 따로 목욕하는 곳이 정해져 있었고(왕상22:38), 수리아의 장군 나아만은 요단 강에서 몸을 씻는 일에 복종하여 문둥병을 치료받았다(왕하5:10-14). 에스겔서에서는 이방 사내들을 만나기 위해 목욕하고 단장하는 음녀의 행위를 묘사하였으며(겔23:40), 신약에서는 구속의 속죄를 의미하기도 한다(요13:10), 한편 목욕통은 적을 모멸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시60:8;108:9).

목자(herdsman)

직업적으로 가축떼를 돌보고 기르는 사람을 일컫는 말. 팔레스타인에서는 기후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목축을 많이 했고, 따라서 목자는 아주 흔한 직업 중의 하나였다. 목자는 이스라엘 족장시대 때부터 내려온 직업이었고(창13:7), 하나님과 성도의 관계를 설명하는 방편으로도 많이 사용하였다(시23:1). 성경에 나타난 목자들은 그들의 양떼와 항상 함께 있어야 했으며(눅2:8), 푸른 초장을 찾아 그곳으로 양떼를 인도해야 하였다(시23:2). 또한 사나운 짐승들로부터 양떼를 지켜야 했으며(암3:12), 양들이 길을 잃지 않도록 잘 보호해야 하였다(눅15:46). 만일 길 잃은 양이 있으면 찾아 나서야 했으며(마18:12;겔34:8), 찾지 못하면 배상해야 하였다(창31:39). 목자는 양들을 인도하거나 짐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막대기나 물매, 또한 물매에 쓸 매끄러운 돌을 무기로 사용하였으며(삼상17:40), 때로는 개의 도움을 받기도 했다(욥30:1). 목자는 상징적으로 국가의 지도자, 왕, 제사장들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의 행위에 의해 신실한 목자로(렘3:15;23:4), 또는 악한 목자로(사56:11-12;렘10:21;23:1-2) 불리워지기도 하였다. 또한 이스라엘 백성을 사랑으로 보호하시는 하나님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였다(시23장;80:1;사40:11;렘31:10).
신약에서는 예수의 탄생 이야기에 등장하는 목자(눅2:8) 외에는 비유나 상징으로 사용되었는데, 대부분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켰다(마2:6;26:31;계7:17). 그는 양을 위해 목숨을 버리는 목자이며(요10:11), 양과 염소를 구별하는 심판의 목자(마25:32)로 묘사된다. 그외에도 교회의 지도자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벧전2:25).

목자장(chief shepherd)

양 치는 사람 가운데 우두머리 되는 사람이다. 구약에서는 사울의 목자장 '도엑'에 대해 기록되어 있으며(삼상21:7), 신약에서는 모든 목자의 머리가 되신 그리스도에 대한 표현으로 사용되었다(벧전5:4).

목장(pasture)

풀이 많아 소, 양 등의 가축을 놓아 기르는 들판이나 언덕을 가리킨다(삼하7:8). 이스라엘은 기후 조건상 목축업이 성행하였다. 따라서 목장에 대한 이권 다툼도 치열하였다(대상4:39-41). 성경에서 광활한 목장은 하나님의 백성에게 내려주시는 하나님의 복으로 이해되었고(사30:23), 목축업이 성행한 이스라엘의 기업을 상징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했다(시83:12;렘9:10;23:1;50:19). 다윗은 목장에서 양을 치던 자였는데(삼하7:8) 여기서는 목장이 권좌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미천함을 상징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였다(대상17:7).

목적(end)

이룩하거나 도달하려고 하는 목표나 방향을 가리키는 말이다. 성경에서 이 말은 어떤 일의 결론이나 결과를 가리키기도 하는데, 바울은 이단에 대한 경계의 목적은 '깨끗한 마음과 맑은 양심과 순수한 믿음에서 우러나오는 사랑을 불러일으키는 것' 이라고 언급하였다(딤전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