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삭 Pasach
아셀 지파의 야블렛의 세 아들 중 한 사람(대상7:33).
바산 Bashan
요단 동편의 북부 지역을 형성하고 있는 넓고 비옥한 지대. 북으로는 헤르몬산에 이르고, 남으로는 길르앗 산지와 야르묵 강에까지, 그리고 서쪽으로는 갈릴리 호수, 동쪽으로는 아라비아 서북쪽의 하우란 산맥에까지 이르는 거대한 곡창지대였다. 이곳에는 르바임 족속 바산의 마지막 왕 옥이 다스릴 때 에드레이와 아스다롯을 비롯한 60성읍이 있었다(신1:43:4). 바산은 출애굽한 이스라엘에 의하여 정복되었으며(신3:3), 므낫세 반지파의 기업으로 돌아갔다(신3:13;4:43). 솔로몬 시대에는 열두 행정구역 중 한 구역으로 설정되었고, 벤게벨이라는 관장이 주관하였다(왕상4:13). 분열 왕국 때는 북 이스라엘에 속해 있었으나 지리적 이유 때문에 빼앗고 빼앗기는 순환이 되풀이되었고, 결국 앗수르의 디글랏 빌레셀에 의해 완전히 정복되어 앗수르 제국의 일부가 되어 버렸다(왕하15:29). 그 후에는 바사, 로마 등 강대국에 복속되어 있었으며, 신약시대에는 바산이 이두래와 드라고닛으로 명명되었고 분봉왕 빌립에 의해 다스려졌다(눅3:1).
성경에서 바산은 상징이나 비유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바산은 비옥한 목초지로, 때로는 목장으로 묘사되어 이스라엘의 번영을 상징하였다(렘50:19;미7:14). 또한 레바논, 샤론, 갈멜과 함께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아름답고 비옥한 곳을 대표하기도 하였다(사33:9;나 1:4). 바산은 비옥한 목초지여서 그곳의 가축들은 건강하고 힘이 셌다. 따라서 시편에서 인용된 바산의 황소는 난폭하고 힘이 센 악한 자들을 상징한다. 바산에는 또한 상수리나무도 많이 있었으며 이 나무들은 두로로 수출되기도 하였다(사2:13;겔27:6). 선지자 스가라는 이 나무를 잣나무, 백향목과 함께 이스라엘의 영화를 나타내는 데 비유했으며 이 나무가 훼멸되는 것으로 이스라엘의 영화가 하나님의 징계를 받아 사라지는 것을 나타냈다(슥 11:2). 또한 아모스는 가난한 자를 착취하여 부를 축적한 사마리아의 부유층을 바산의 암소에 비유하기도 했다(암4:1).
바산다다 Parshandatha
페르시아의 도성 수산에서 유다인에게 죽임당한 함므다다의 손자이며 하만의 아들이다(19:7).
바세아 Paseah
1. 유다 지파의에스돈의 아들(대상4:12).
2. 느헤미야 시대에 성벽 재건 공사 중에 옛 문을중수했던 요다의 아버지(느3:6).
3.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의 포로 생활에서 귀환한 느디님 사람들의 선조(스2:49;느7:51).
바스담밈 Pas-dammim
다윗의 용사 중 하나인 도도의 아들 엘르아살이 다윗과함께 블레셋을 물리쳤던 장소이며(대상11:13), 소고와 아세가 사이에 있는 에베스담밈과 동일한 곳(삼상17:1)이다. <참조> 에베스담밈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바아나1 / 바아나2 / 바아라 / 바아래 / 바아사 (0) | 2022.09.08 |
---|---|
(성경사전) 바스맛 / 바스훌 / 바슬룻 / 바슬릿 / 바실래 (0) | 2022.09.08 |
(성경사전) 바벨 / 바벨론 / 바보 / 바사 / 바사바 (0) | 2022.09.08 |
(성경사전) 바마 / 바마스다 / 바메나 / 바못 / 바못바알 (0) | 2022.09.08 |
(성경사전) 바르와임 / 바르훔 / 바리 / 바리새인(파) / 바리야 (0) | 2022.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