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 rock
브올의 아들 발람 선지자가 발락의 청을 받아서 이스라엘을 저주하려 했으나 도리어 여호와의 말씀에 따라 축복하게 되었을 때 가인 족속을 보고 보금자리가 '바위'에 있으나 거처가 견고하다고 노래했다. 바위는 발람의 예언 가운데 나오는 것처럼 보금자리와 언제든지 피할 수 있는 피난처(삼하22:3;시71:3), 특히 이스라엘이 환난 가운데 피할 수 있는 하나님으로 표현되곤 했다(삼하22:32;92:15). 하나님 대신 바위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그 견고하심과 변치 않는 속성을 설명하면서 바위이신 하나님을 찬송한다고 표현하기도 하였다(삼하22:47;23:3). 그러므로 다윗은 하나님께서 그를 구원하여 바위 위에 높이 세워주실 것을 기대했던 것이다(시27:5). 그러나 이스라엘은 사막에서 물을 얻기 위하여 바위를 깨뜨려야만 했으며(사48:21), 예수의 무덤도 바위 속의 묘혈이었다(마27:60;눅23:53).
바이 Pai
에돔의 왕 가운데 바알하난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하닷이 정한 수도로서(대상 1:50), 창세기에는 하닷이 하달로, 바이가 바우로 표기되어 있다(창36:39).
바잇 Bajith
사해의 남쪽에 있는 모압의 성읍(사15:2).
바지 breeches
레위인 제사장들이 성전에서 하나님을 섬기는 일을 할 때 입는 옷, 가는 배로 직접 다리에 닿도록 만들었으며 이것 외에 가는 배 옷을 입고, 관을 머리에 썼으며 양털 옷은 입을 수 없었고, 제사장들이 입는 이 거룩한 옷은 바깥뜰에 나갈 때는 입어서는 안 되었다(겔44:18).
바치다 render
이스라엘이 여호와께 드리는 사람, 짐승, 밭 등은 정가의 오분의 일을 더 내야만 무를 수 있었지만 완전히 바쳐진 경우에는 무엇이거나 무를 수 없었고, 오직 하나님께 극히 거룩한 것이 되었다. 사람을 아주 바치면 다시 속할 수 없으며 반드시 죽여야만 하였다(레27:28-29). 바치는 대상은 하나님이나 강대국이었다. 여리고를 마지막으로 돌기에 앞서서 여호수아는 여호와께 바친 물건을 다시 취하면 재앙이 닥칠 것임을 백성들에게 알렸으나 아간은 바쳐진 물건을 다시 취함으로 범죄하고 말았다(수6:18;7:1,11). 암몬 사람들은 유다왕 웃시야에게 조공을 바쳤으며, 이스라엘도 아닥사 스다 왕에게 조공을 바쳤다(스4:13). 이스라엘에 왕정이 성립되기 전 모압이 이스라엘에게서 공물을 받기도 했는데, 공물을 바치러 갔던 사사 에훗은 모압 왕에글론을 암살해 버리기도 했다(삿3:18-22).
예수께서는 포도원과 농부의 비유에서 악한 농부들을 진멸하고 실과를 제때에 '바칠'사람에게 포도원을 주겠다고 비유로 말씀하시기도 하였다(마21:4041). 바리새인들과 헤롯 당원들은 예수를 시험하고자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은 것인지 그른 것인지를 물었으나, 예수께서는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는 지혜로운 대답을 하셨다(마22:21-22;막12:17;눅20:25). 또한 성경은 국가의 권위가 하나님의 목적에 사용되기 때문에 마땅히 내야할 세금을 '바치는' 것과 두려워하며 존경할 것을 가르치고 있다(롬13:6-7), 그리고 그리스도가 강림하실 때는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삶을 얻게 될 것이며, 그리스도께서 모든 정사와 권세, 능력을 멸하시고 이 세상 나라를 아버지 하나님께 '바칠 것이다(고전15:22-24).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바핫모압 / 바후림 / 박 / 박넝쿨 / 박다 (0) | 2022.09.08 |
---|---|
(성경사전) 바퀴 / 바탕1 / 바탕2 / 바트 / 바하룸 (0) | 2022.09.08 |
(성경사전) 바왜 / 바요나 시몬 / 바우 / 바울 (0) | 2022.09.08 |
(성경사전) 바알하난 / 바알하몬 / 바알하솔 / 바알헤르몬 / 바예수 (0) | 2022.09.08 |
(성경사전) 바알살리사 / 바알세불 / 바알세붑 / 바알스본 / 바알의 산당 (0) | 2022.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