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번창하다 / 번철 / 번폐 / 번홍화 / 벌1 / 벌2(하다)

번창하다 increase

한창 잘 되어 성함을 나타내는 말로서, 시편 기자는 여호와를 경외하는 사람들의 자손이 번창하게 되기를 기도하였다(시115:14).

번철 griddle

빵이나 떡을 구울 수 있게 만든 무쇠 그릇.솥뚜껑 또는 접시 모양으로, 밑바닥에 구멍이 많이 있다. 소제물을 구울 때 사용되기도 하였다(레2:5;6:21;7:9, 공동번역 '빵 굽는 판').

번폐 weariness

번거로운 폐단. 하나님께 제물을 드릴 때는 정결하고 흠없는 것으로 골라 바쳐야 하는데, 이러한 것을 번거롭고 짐스럽게 여겨 아무것이나 드리는 이스라엘의 제사에 있어서의 타락을 책망하는 하나님의 말씀 속에서 사용되었다(말1:13, 공동번역 '귀찮다', 새번역 '싫증나다').

번홍화 saffron

고대 근동지방에서 자라던 붓꽃과(科)의 다년초 식물로, '샤프론' 이라고도 불리웠으며, 그 꽃은 담자색이었고, 줄기는 귀한 방향제로 사용되었다. 솔로몬은 술람미 여인을 샘이 있는 아름다운 동산에 비유해 거기에 각종 꽃들과 과수와 나무들이 나는 것으로 묘사하였는데, 그 꽃 중 하나가 번홍화였다(아4:14).

벌1 bee

꿀을 생산하는 곤충. 강한 독성을 가진 침을 지니고 있으며, 무리를 지어 행동하기 때문에 성경에서 집단적인 공격자 또는 추적자를 표현할 때 사용되었다. 즉, 하나님의 명령을 어긴 이스라엘을 대적하기 위한 아모리인들(신1:44)이나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를 대적하는 대적자들(시118:12), 그리고 유다를 심판하기 위해 예비된 앗수르 제국(사 7:18)을 벌 또는 벌떼로 묘사하였다. 한편 삼손 기사에서 야생벌과 꿀에 대한 언급은 있으나(삿14:8), 성경에 양봉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구약시대에는 양봉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벌2/-하다 punishment

일반적으로 지은 죄에 대하여 깨달음을 주기 위해 취해지는 조치를 가리킨다. 이 말은 신학적으로는 죄를 짓거나 잘못을 저지름으로 인해 손상된 하나님의 의를 회복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스라엘에서 범죄에 대하여 가해지는 벌은 철저한 보복법이었다. 이것은 모세의 율법에도 자세히 언급되어 있지만(출21:23-25; 레 24:17-20) 고대 근동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형벌 원칙이었다. 그러나 후대로 갈수록 복수보다는 질서 유지와 보호의 차원으로 발전되었다.

벌은 일반적으로 도덕적, 윤리적 실수나 법률적 과오에 대해 조치되는 벌을 가리키지만(출21:20), 성경에서는 하나님을 불신하고 그분의 명령을 어김으로써 받는 벌이 대부분이었다(신 18:19;사 13:11; 렘 5:9;25:29). 벌을 받게 되는 경우는 성물에 대한 규례를 어기거나(렘 2:3), 위선적인 제사(호8:13)와 같은 제의적인 죄나 육적·영적 행음이나(렘 5:7-9;호2:13) 교만(렘50:31) 또는 가증함(겔5:8-9)과 같은 잘못된 여러가지 행위(렘21:14; 겔7:4) 때문이었다. 벌은 여러 형태로 나타나는데, 칼, 기근, 염병(렘27:8)이나, 땅이 황무하게 되거나(25:12) 하나님으로부터 외면당하거나(겔 7:4) 사나운 짐승(14:21)이나 재난(16:41) 등의 형태가 있다. 벌이 임하는 대상은 하나님 앞에서 차별이 없는데 할례자나 무할례자(참고. 롬3:30), 더 나아가 신들까지라도 하나님께서 내리시는 벌을 피할 수는 없었다(민33:4;렘51:44,47). 벌을 가하는 가장 근본적인목적은 악을 제하며(시59:5;사13:11), 완전한 순종(고후10:6)으로 하나님의 존재를 깨닫게 하기 위함(겔25:11)이다. <참조> 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