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본처1 / 본처2 / 본체 / 본토(인) / 본향

본처1 one's own place

일반적으로 어떤 물건이나 건물 따위가 원래 있었던 자리를 가리키는 말로, 블레셋에 빼앗겼던 법궤나(삼상 5:11;62) 성전의 금은 기명(스6:5)에 대하여 사용되었는데, 본처는 이것들이 원래 있었던 자리를 가리킨다. 또한 에스라의 성전재건 때 성전이 세워져야 할 자리, 즉 이곳은 모리아 산에 이삭을 제물로 바쳤던 장소(창22:2) 이기도 하면서 솔로몬 성전이 세워지기도 하였던장소(대하3:1)를 가리킨다.

본처2 wife

본부인, 정실을 가리키는 말(창28:9)이다. 예수께서는 아내를 버리고 다른 데 장가드는 자는 본처에게 간음을 행하는 것이라고 하셨다(막10:11).

본체 being in the form

영원히 변하지 않는 그 사물의 실제의 모습, 본바탕을 뜻하는 말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과 하나됨, 그리고 그분의 신성을 설명할 때 사용되었다. 바울은 예수그리스도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라고 말하고 있다(빌2:6). 이 말은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형상이며 본래 하나님이시라는 뜻이다. 성육신하기 전에 예수께서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신적 위엄을 지니시고 계셨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영광의 가장 높은 곳에서 비천한 지상으로 내려오시기까지 자신을 낮추셨다. 이것은 바로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한 하나님의 뜻이었다.

본토/-인 one's own country

성경에서는 주로 이스라엘 공동체를 타국인이나 이방인과 구별하여 부를 때 사용되었는데(수8:33), 특별히 종교 제의적인 부분에서 본토인은 이방인과 달리 구별되었다(참고. 출12:43-47;민15:13). 하지만 속죄일의 규례는 이방인이나 본토인이나 똑같이적용되었고(레16:29), 유월절의 경우도 본토인에게 우거하는 자 가운데 할례를 받은 자는 종교적으로 이스라엘 공동체와 똑같이 그 율례가 적용되었다(출12:49;민9:14). 이 말은 또한 자신의 땅이나 나라(단11:28) 또는 자신이 삶을 살아온 터전을 가리키기도 하는데, 아브라함에게 있어서 본토는 '갈대아 우르' 였다(창11:28;12:1).

본향 one's own land

일반적으로 자기가 태어나 살던곳, 고향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지만(민22:5;삿11:9; 왕상22:36;잠27:8;사13:14) 바벨론에서 포로생활을 하던 이스라엘 백성이 귀환할 고국 이스라엘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였다(렘42:12). 한편 신약에서는 천국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었는데, 믿음의 선진들이 살면서 외국인과 나그네로 자신을 묘사한 것은돌아갈 본향, 즉 천국을 사모하였기 때문이다(히11:14).